$\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말장애와 삼킴장애 치료
Improving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s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27 no.1, 2016년, pp.11 - 13  

권미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경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ysphagia incidence can be up to 90% of patients after CVA disease and most of the patients demonstrate speech problems as well as dysphagia. The term of swallowing includes the entire process of deglutition from the placement of food in the mouth until the food enters to the esophagus through th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실제로 미국언어청각협회(ASHA)의 보고에 따르면 종합병원이나 급성전문병원 등에서 일하는 언어치료사의 서비스 중 삼킴 장애에 할애하는 시간은 전체의 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환자들의 뇌병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삼킴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치료적 접근법을 말장애 치료와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발성뇌경색의 경우 회복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보통은 다발성뇌경색(multiple infarction)과 큰혈관(large vessels)의 문제로 인한 뇌졸중에서 자주 나타나고 대뇌반구의 손상보다는 뇌줄기(brainstem) 손상일 때 더흔하다고 알려져 있다. 다발성뇌경색의 경우 초기 뇌졸중 후에 회복이 되어 식사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더라도 삼킴 메커 니즘이 완전히 정상기능으로 회복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두 번째 혹은 세 번째 뇌졸중 후에 더 심한 영향을 받게 된고 회복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7)
신경학적인 문제로 인한 삼킴장애 유형에는 무엇이 있나? 신경학적인 문제로 인한 삼킴장애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은 뇌졸중(Stroke)과 같이 증세가 갑자기 발생하고 그 이후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삼킴 기능이 점차 악화되어가는 퇴행성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뇌졸중 급성기의 삼킴장애 발생률은 그 평가 시기와 방법 그리고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0%에서 많게는 90%에 이른 다는 보고도 있다.
뇌졸중 후의 삼킴장애 관리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신경학적인 문제로 인한 삼킴장애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은 뇌졸중(Stroke)과 같이 증세가 갑자기 발생하고 그 이후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삼킴 기능이 점차 악화되어가는 퇴행성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뇌졸중 급성기의 삼킴장애 발생률은 그 평가 시기와 방법 그리고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0%에서 많게는 90%에 이른 다는 보고도 있다. 1) 또한 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의 발생률은 19%에 달한다고 하며, 2) 뇌졸중 환자들이 발병 후 1달 내에 사망하게 되는 원인들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이고, 3) 뇌졸중 생존자들 중에서도 삼킴장애로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30% 이상이라고 한다. 4) 따라서 뇌졸중 후의 삼킴장애 관리는 환자의 합병 증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ller RM, Chang MW.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dysphagia caused by stroke. Phys Med Rehabil Clin N Am 1999;10:925-41. 

  2. Gordon C, Hewer RL, Wade DT. Dysphagia in acute stroke. Br Med J 1987;295:411-4. 

  3. Bounds JV, Wiebers DO, Whisnant JP, Okasaki H. Mechanisms and timing of deaths from cerebral infarction. Stroke 1981;12:474-7. 

  4. Broadley S, Croser D, Cottrel J, Creevy M, Teo E, Yiu D, et al. Predictors of prolonged dysphagia following acute stroke. J Clin Neurosci 2003;10:300-5. 

  5. El Sharkawi A, Ramig L, Logemann JA, Pauloski BR, Rademaker AW, Smith CH, et al. Swallowing and voice effects of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2;72:31-6. 

  6.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SLP health care survey 2015: Caseload characteristics. Rockville, MD: Author. 

  7. Logemann J.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1998. PRO-ED, Inc. 

  8. Mosier K, Bereznaya I. Parallel cortical networks for volitional control of swallowing in humans. Exp Brain Res 2001;140:289-9. 

  9. Cola MG, Daniels SK, Corey DM, Lemen LC, Romero M, Foundas AL. Relevance of subcortical stroke in dysphagia. Stroke 2010;41:482-6. 

  10. Kim JS. Pure lateral medullary infarction: clinical-radiological correlation of 130 acute, consecutive patients. Brain 2003;126:1864-72. 

  11. Kwon M, Lee JH, Kim JS. Dysphagia in unilateral medullary infarction: lateral vs medial lesions. Neurology 2005;65:714-8. 

  12. Smith Hammond CA, Goldstein LB, Zajac DJ, Gray L, Davenport PW, Bolser DC. Assessment of aspiration risk in stroke patients with quantification of voluntary cough. Neurology 2001;56:502-6. 

  13. Chang SJ, Sim HS, Kwon M. Relation between chewing skills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Korea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apan J Logop Phon 2012;53:20-6. 

  14. Odderson IR, Keaton JC, McKenna BS. Swallow management in patients on an acute stroke pathway: Quality is cost effective. Arch Phys Med Rehabil 1995;78:1130-3. 

  15. Bakheit AM. Management of neurogenic dysphagia. Postgrad Med J 2001;77:694-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