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공동체 이미지와 연계된 녹색 관광 개발 가능성 연구 : 대전지역 사례
Possibility to Develop the Green Tourism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of the Local Community: the case of Daeje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9, 2011년, pp.506 - 514  

이일열 (세종사이버대학교) ,  박문규 (건양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이미지를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여가 관광적인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여 보는데 있다. 지역 이미지화 연구를 종합적인 지역 연계성과 관련 지어 추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 근교 정뱅이 마을 사례를 문헌연구와 현지 조사법을 병행하여 분석해 보았고, 외국의 성공 사례를 도입하여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의 이미지화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상품화와 지역상생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둘째로는 녹색 루트를 형성하여 도시인들에게 전원으로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미지화에 성공한 농촌 마을은 농촌 체험과 미술 작품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여 교육적 기회의 장으로 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 근교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의 녹색관광개발과 이미지화 연계 작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실무자들에게 지역 경영 및 관리방향에 대한 실절적인 지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o develop the image of the local community in conjunction with green tourism, thus to explore the concrete ways to vitalize local community with diversified green tourism programs. In the pursuit of relating the research of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녹색관광과 이미지 개발에 대한 논의가 제한된 사례 중심으로 이루어져 종합적이고 일반화된 결론 도출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다양 하게 촬영된 영상물과 현지 대담자료 등을 지면상의 제약으로 일일이 소개하지 못한 점도 밝히고자 한다. 향후 종합적인 제학문적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계점을 보완 한다면 장소마케팅과 접목된 녹색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이미지화에 구체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사실상 본 논문이 지역에 대한 고찰임을 감안할 때 지역에 대한 연구는 그 지역의 특성이 내재된 공간의 본질을 규명하여야 한다는 지리학적인 지역 참여 조사론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4]. 아울러 특히 최근 들어 기존의 설문지나 인터뷰 방식 외에도 영상과 이미지 자료들을 활용하는 빈도가 사회과학 분야에서 그 질적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 가운데[15] 본 연구는 이러한 질적 방법론을 중용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논문 내용 구성은 선행 문헌 연구를 참조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면담과 구술을 통해 도출된 내용 그리고 지역 방문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정리된 영상 자료들을 중심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 이런 점에서 녹색관광의 수단과 개발 방식은 소프트웨어적 지향이며 소규모 지역 개발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관광영상 이미지화를 통한 새로운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상품화와 지역상생의 길을 도모하고자 하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뱅이 마 을이 가지는 미래적 함의는 단순한 마을의 이미지화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 연계된 녹색 루트를 설정하여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찾아와 일상속의 녹색 공간과 관광을 즐기는 대상지로 승화하여야 한다는데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을 규정하는 개념 속에는 어떤 시선들이 공존하고 있나요? 지역을 규정하는 개념 속에는 외부의 시선과 지역 주민들에 의하여 내재화된 시선이 공존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것은 다시 말해 지역은 다양한 이미지가 표출되고 있는 사회적 공간이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사회 일상에서의 공간적 이미지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이것은 다시 말해 지역은 다양한 이미지가 표출되고 있는 사회적 공간이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즉, 사회 일상에서의 공간적 이미지는 중첩된 역사적 사회,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복합적인 환경의 공간성은 현재를 살고 있는 그 해당 지역의 문화를 표출하는 이미지로 귀결되어 진다고 할 것이다[1]. 따라서 많은 지자체들은 지역의 이미지, 상징화 작업을 하나의 전형적인 지역특성화(상품화나 글로벌 경쟁력 제고) 개발의 지름길로 여겨 많은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할 것이다.
마을의 상징물을 향토적 이미지로 조성해 더욱 풍성한 미관을 유지하도록 하는것은 서구에서 어떤 역할과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나요? 또한 마을의 상징물을 향토적 이미지로 조성해 더욱 풍성한 미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는 마치 서구에서 지역개발의 자발적 주체로서 주민들이 능동적으로 참여 하는 건축물 미관 위원회나 지역 브랜드 기획 위원회의 역할과 유사한 경우라 할 것이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 Claval, La geographie culturelle, Paris: Nathan, 1995. 

  2. J. Sarrkom Traditions of Sustainability in tourism stud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3, No.4, pp.1121-1140, 2006. 

  3. 김남조 지속가능한 관광자원개발계획 강릉:도서출판 동우, 2007. 

  4. J. J. Rousseau, Du Contrat social, Paris: LGF-Livre de Poche, 1996. 

  5. M. 야마자키, Y. 오야마, and J. 오오시마, 강신겸 역, 김정연 역, 녹색관광, 山崎光博.小山善彦.大島順子, グリ-ン, ツ-リズム, 서울:일신사, 1997. 

  6. Baron-Yelles, N.France, Amenager et developper les territoires,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Coll. Documentation photographique, $n^{\circ}$ 8067, 2009. 

  7. 강신겸, 농촌관광:새로운 농촌 활성화 전략, 서울:대왕사, 2007. 

  8. C. Ghora-Gobin, Les espaces publics a l'heure globale: reinventer le sens de la ville, Paris: L'Harmattan, 2001. 

  9.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서울:논형출판, 2005. 

  10. P. Dubrule, Tourisme en France : les enjeux pour 2020, Paris; le cherche midi, 2005. 

  11. P. Dujardin, Lyon, lumiere de Decembre, Revue Urbanisme, No.331, pp.64-66, 2003. 

  12. 윤희정, 녹색관광 마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CI통합계획, 한국조경학회지, Vol.34, No.2, pp.72-79, 2006. 

  13. Yin. Robert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Newburry Park. CA: SAGE Publication, 2003. 

  14. P. Claval, La geographie comme genre de vie, Paris: L'Harmattan, 1996. 

  15. 옥한석, 사진 예술 작품을 통한 지리 경관 읽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8, No.4, :pp.39-49, 2008. 

  16. 마을 주민 인터뷰 대담 : 2010년 1-3월과 동영상 촬영. 

  17. 이기진, 100년 뒤에도 살고 싶은 농촌 정뱅이 마을을 아십니까, 동아일보 (2009.2.11 기사), 2009. 

  18. 이일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의 지역 관광자원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프랑스의 사례-, 관광연구, Vol.23, No.3, pp.447-469, 2008. 

  19. P. Mathieux and M. Cougouliegne, Une promenade quifait son chemin, Les Cahiers de L'IAURIF, No.111, pp.103-113, 1995. 

  20. J. D. Urbain, L' idiot du voyage: Histoire de touristes, Paris: Payot, 1993. 

  21. Cazes G, Le tourisme en France. Paris: P.U.F(Coll. Q-S-j 2147), 2005. 

  22. www.tourismeloiret.com/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