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윔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증상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고찰
Pathophysiolog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uffering from emaciation 원문보기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v.24 no.1, 2011년, pp.11 - 18  

김이경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정준범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이무근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박수일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박명애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최미경 (수산자원사업단 제주사업소) ,  여인규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윔증상을 보이는 넙치의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여윔넙치가 발생한 수조 내의 정상넙치와 여윔넙치의 혈장 삼투압을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해산어의 삼투압(280~330 mOsm/L)보다 훨씬 높은 약 361과 405 mOsm/L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여윔넙치와 동일한 수조 내의 정상넙치의 삼투압 조절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외관상 증상을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여윔넙치가 발생한 수조의 정상적인 넙치는 여윔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초기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H&E염색을 통하여 여윔넙치의 장을 관찰한 결과, 여윔넙치의 전장에서는 상피세포가 남아 있기는 하나, 점막하 조직에서는 염증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전장의 영양물질 흡수 기능에 손상이 야기되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후장의 경우 점막상피는 거의 손실되었으며, 직장에서는 점막상피의 소실과 아울러 소화관 고유의 folding 구조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면역염색의 결과에서도 장의 상피조직이 손실됨으로써 점막상피에 존재하는 $Na^+/K^+/2Cl^-$ (NKCC) cotransporter 에 대한 면역반응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산어의 수분흡수의 중요한 장소인 후장과 직장의 상피조직이 심하게 손실됨으로써 넙치의 삼투조절기능의 균형이 깨지고 탈수현상이 보이고 따라서 여윔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전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통한 여윔증상에 대한 영양학적 관점에서의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식넙치의 여윔증 원인분석을 위해서 여윔증상 개체뿐만 아니라 여윔증상을 보이다가 회복된 개체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ical chang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uffering from emaciation. A plasma osmolality was higher in the emaciated and control flounders than that of normal teleost, suggesting osmoregulatory failure in both of them. Also, the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윔증상을 보이는 넙치의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여윔넙치가 발생한 수조 내의 정상 넙치와 여윔넙치의 혈장 삼투압을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해산어의 삼투압 (280~330 mOsm/L)보다 훨씬 높은 약 361과 405 mOsm/L로 각각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일본 자주복의 여윔증에 대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여윔 넙치의 장에 집중하여 우리나라 넙치 양식장에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여윔증상의 원인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혈장 삼투압을 측정해본 결과 여윔넙치와 동일한 수조 내의 정상넙치의 평균 삼투압은 361.
  • 빠져나가는 물을 체내에서 보충하기 위해서 장내에서의 물흡수와 이온흡수기능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주복의 장의 삼투압 기능이 상실됨으로써 여윔병이 발생하였다는 결론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식넙치의 여윔증상에 대해서 생리학적 관점에서의 원인분석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NKCC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of intestine from emaciated flounders. A: The intense immunoreactions for NKCC are observed in the apical surface of posterior intestine (arrows). B: No NKCC immunoreactions was detected in epithelial apical membrane of posterior intestine in emaciated flounders (arrow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 상피세포에 있어서의 NaCl 흡수에 관련된 이온채널 단백질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서 장 상피세포에 있어서의 NaCl 흡수에 관련된 이온채널 단백질에는 Na+/K+-ATPase (NAK), Na+/K+/2Cl- (NKCC)와 Na+/Cl- (NC) cotransporter 로 알려져 있다 (Marshall and Grosell, 2006). 이 모델에서는 NAK가 상피세포의 측저막에 위치하여 상피세포에 있어서의 이온수송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정단막에 위치한 NKCC 및 NC cotransporter를 통한 Na+ 와 Cl-이온이 상피세포 내로 흡수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경골어류의 삼투조절작용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다양한 염분 농도의 수생환경에서 생활하는 경골어류의 경우, 삼투압과 농도구배에 따라 물과 이온의 수동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골어류에 있어서의 삼투조절작용은 아가미, 장 그리고 신장에서의 통괄적인 물과 이온의 이동 활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서 물과 이온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삼투조절기관 중에서도 장은 해수 적응시 물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mith, 1930; Collie and Bern, 1982; Ando et al.
해수 장어의 장 내의 물 흡수는 어떤 원리로 이루어지는가? 장 내의 물 흡수의 주요한 구동력은 수동적이고 능동적인 이온 흡수에 의한 장내 소화액과 체액 사이에 일어나는 삼투압차 (osmotic gradient)이다. 해수 장어의 경우 (Hirano and Mayer-Gostan, 1976), 들이마신 해수는 식도를 통해 위에 달하는 동안에 탈염되어 Na+이온과 Cl-이온 농도가 약 반정도까지 저하된다. 이러한 이온 흡수는 장관 내 물이 이동하는 동안에 일어나는데, 이는 Na+/K+-ATPase에 의해서이다 (Loretz, 1995). 결과적으로 들이마신 해수의 삼투압은 체액 삼투압과 거의 비슷한 수준까지 감소된다 (Kim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o, M., Mukuda T. and Kozaka, T.: Water metabolism in the eel acclimated to seawater:from mouth to intestine. Comp. Biochem. Physiol. B., 136: 621-633, 2003. 

  2. Aoki, M., Kaneko, T., Katoh, F., Hasegawa, S., Tsutsui, N. and Aida, K.: Intestinal water absorption through aquaporin 1 expressed in the apical membrane of mucosal epithelial cells in seawater-adapted Japanese eel. J. Exp. Biol., 206:3495-3505, 2003. 

  3. Bentley, P.J.: Endocrines and osmoregulation, In Zoophysiology, vol.39, Springer, Berlin, 2002. 

  4. Collie, N.L. and Bern, H.A.: Changes in intestinal fluid transport associated with smoltification and seawater adaptation in coho salmon, Oncorhynchuskisutch(Walbaum)., J. Fish Biol. 21:337-348, 1982. 

  5. Cutler, C.P. and Cramb, G.: Differential expression of absorptive cation-chloride-cotransporters in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Comp. Biochem. Physiol. B. 149:63-73, 2008. 

  6. Evans, D.H.: Osmotic and ionic regulation, pp.315-341, CRC Press, Boca Raton, 1993. 

  7. Greger, R.: Ion transporter mechanisms in thick ascending limb of Henle's loop of mammalian nephron. Physiol. Rev. 65:760-797, 1985. 

  8. Hass, M. and Forbush, B.III.: The Na-K-Cl cotranspoters. J. Bioenerg. Biomembr. 30:161-172, 1998. 

  9. Hass, M. and Forbush, B.III.: The Na-K-Cl cotranspoters of secretory epithelia. Annu. Rev. Physiol., 62:515-534, 2000. 

  10. Hirano, T. and Mayer-Gostan, N.: Eel esophagus as an osmoregulatory organ. Proc. Natl. Acad. Sci., USA, 73:1348-1350, 1976. 

  11. Hiroi, J., Yasumasu, S., McCormick, S.D., Hwang, P.P. and Toyoji, K.: Evidence for an apical Na-Cl cotransporter involved in ion uptake in a teleost fish. J. Exp. Biol. 211:2584-2599, 2008. 

  12. Isenring, P., Jacoby, S.C., Chang, J. and Forbush, B.: Mutagenic mapping of the Na-K-Cl cotransporter for domains involved in ion transport and bumetanide binding. J. Gen. Physiol., 112:549-558, 1998. 

  13. Ishimatsu, A., Hayashi, M., Nakane, M. and Sameshima, M.: Pathophysiology of culture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suffering from the Myxosporean emaciation disease. Fish Pathol., 42:211-217, 2007. 

  14. Kim, Y.K., Ideuchi, H., Watanabe, S., Park, S.I., Huh, M.D. and Kaneko, T.: Rectal water absorption in seawater-adapt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omp. Biochem. Physiol. A Mol. Integr. Physiol., 151:533-541, 2008. 

  15. Knepper, M.A. and Brooks, H.L.: Regulation of the sodium transporter NHE3, NKCC2 and NCC in the kidney. Curr. Opin. Nephrol. Hypertens., 10:655-659, 2001. 

  16. Loretz, C.A.: Electrophysiology of ion transport in teleost intestinal cells. In: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es to Fish Ionic Regulation, pp.25-56, Academic, New York, 1995. 

  17. Marshall, W.S. and Grosell, M.: Ion transport, osmoregulation, and acid-base balance, In The physiology of fishes, pp.179-230, CRC Press, Boca Raton, 2006. 

  18. Mount, D.B., Delpire, E., Gamba, G., Hall, A.E., Poch, E., Hoover, R.S. and Herbert, S.C.: The electroneutral cation-chloride cotransporter. J. Exp. Biol., 201:2091-2102, 1998. 

  19. Ogawa, K. and Yokoyama, H.: Emaciation disease of culture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Bull. Natl. Res. Inst., Suppl., 5:65-70, 2001. 

  20. Smith, H.W.: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of water and salts by marine teleosts. Am. J. Physiol. 93:480-505, 1930. 

  21. Starremans, P.G., Kersten, F.F., Knoers, N.V., van den Heuvel, L.P. and Bindels, R.J.: Mutations in the human Na-K-2Cl cotransporter (NKCC2) identified in Bartter syndrome type I consistently result in nonfunctional transporters. J. Am. Soc. Nephrol., 14:1419-1426, 2003. 

  22. Tin Tun, Ogawa, K. and Wakabayashi, H.: Pathological changes induced by three myxosporeans in the intestine of culture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Temminck and Schlegel). J. Fish Dis., 25:63-72, 2002. 

  23. Yanagida, T., Nomura, Y., Kimura, T., Fukuda, Y., Yokoyama, H. and Ogawa, K.: Molecular and morphological redescriptions of enteric myxozoans, Enteromyxum leei (formerly Myxidium sp. TP) and Enteromyxum fugu comb. n. (syn. Myxidium fugu) from cultured tiger puffer. Fish Pathol., 39:137-143, 2004. 

  24. Veillette, P.A., White, R.J., Specker, J.L.: Changes in intestinal fluid transport i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during parr-smolt transformation. Fish Physiol. Biochem. 12:193-202, 1993. 

  25. Warth, R., Bleich, M., Thiele, I.I., Lang, F. and Greger, R.: Regulation of the $Na^+2Cl^-K^+$ cotransporter in in vitro perfused rectal gland tubules of squalus acanthias. Pflugers Arch., 436:521-52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