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신자도 해빈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Temporal Change of Grain Size of the Beach Sediments i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3 no.4, 2011년, pp.304 - 312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이상룡 (부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과학과) ,  김부근 (부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 신자도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남쪽 해빈의 상부, 중부 및 하부 조간대에 해당하는 3개의 횡단선(upper, middle 및 lower transect)을 따라 67개 정점에서 총 402개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자도 해빈 퇴적물은 단일 모드의 입도로 구성되었고, 2005년에는 $3.0{\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으며, 2006년에는 $2.5{\phi}$의 최빈값이 우세하였다. 이러한 퇴적물의 조립화는 신자도 해빈의 서쪽 지역과 중부 및 하부 정점들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위에 의해 구분된 횡단선 자료에 근거하여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횡단선간에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와 같은 퇴적물 조직 변수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적 검정법을 이용하였다. 평균입도는 해빈 중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분급도는 해빈 상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왜도는 해빈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는 2005년에 비하여 2006년에 더욱 뚜렷하였다. 2005년 11월에서 2006년 5월까지 신자도 해빈 퇴적물의 시간적인 변화는 평균입도와 분급도는 감소하였고, 왜도는 증가하였으며,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가 강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in size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2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67 sites along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transects corresponding to the high-, mid-, and low-intertidal zone of beach o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in Nov. 2005 and May 2006. Sinja-do beach sedim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김 등 (2009)과 마찬가지로 낙동강 하구의 신자도 해빈을 대상으로 상부, 중부 및 하부 조간대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채취한 표층퇴적물을 이용하여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와 같은 퇴적물 조직 변수의 시간적 변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비모수적 통계 검정법(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을 이용하여 조위로 구분된 횡단선 자료 사이에 퇴적물 조직 변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 이러한 통계 검정법은 일련의 정점들에서 어느 한 달에 채취된 시료들이 다른 달에 채취된 시료들과 쌍을 이루고, 쌍을 이룬 시료들에서 퇴적물 조직 변수의 차이를 서열화함으로써 두 시기의 자료를 비교한다 (Livingstone, 1989). 이 연구에서는 조위로 구분된 횡단선 자료(67개 정점의 자료)에 근거하여 횡단선간 퇴적물 조직 변수의 시간적 또는 공간적 차이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해빈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퇴적물의 입도가 어떻게 공간적으로 변화하는지를 규명하기 보다는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둔다. 퇴적물 조직 변수의 변화에 대하여 어떠한 가정을 도입하지 않더라도, 통계적인 검정법을 사용하여 퇴적물 조직 변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타리섬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울타리섬은 육지(mainland), 배후습지(backbarrier lagoon), 조석구 및 조석구 삼각주(inlet delta), 울타리섬, 울타리섬 대지(barrier platform), 해안 전면부(shoreface)등 6개의 퇴적지형으로 구성되어 상호작용하는 연안시스템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Oertel, 1985). 이러한 6개의 퇴적환경은 연안 모래 퇴적체를 ‘울타리섬’으로 인식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이며, 각 구성요소의 지형학적 그리고 퇴적학적 진화는 인접한 구성요소의 환경뿐만 아니라 연안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Oertel, 1985).
Mangoky 유형의 울타리섬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낙동강하부삼각주의 최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진우도, 신자도 및 도요등의 3개의 울타리섬은 Stutz and Pilkey (2002)가 제시한 삼각주 울타리섬 분류에서 Mangoky 유형에 속한다. 이 유형의 울타리섬은 섬의 길이와 폭이 짧고 좁으며, 조석구(tidal inlet)가 좁은 지형적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하천유량이 적거나 중간 정도이고, 파고가 중간에서 높은 정도이며, 중조차 (meso-tidal range)인 연안환경에서 주로 형성된다.
삼각주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낙동강 하구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삼각주 지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주는 하천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하중도(interdistributary island)로 구성된 상부삼각주와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사주 또는 울타리섬(barrier island), 간석지(tidal flat) 및 해안 퇴적평야로 구성된 하부삼각주로 구분된다(권, 1973). 낙동강하부삼각주의 최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진우도, 신자도 및 도요등의 3개의 울타리섬은 Stutz and Pilkey (2002)가 제시한 삼각주 울타리섬 분류에서 Mangoky 유형에 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혁재 (1973).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지리학, 8, 8-23. 

  2. 김기철, 양한섭, 김차겸, 문창호, 장성태 (1999).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2, 49-59. 

  3.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 361-374. 

  4. 김백운, 이창경 (2009).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 380-390. 

  5. 김부근, 김백운, 이상룡 (2009).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 444-452. 

  6.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 26-36. 

  7.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 268-278. 

  8.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 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 416-427. 

  9. 김성환, 류호상, 신영호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 43-53. 

  10.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지, 16, 180-188. 

  11. 반용부 (1986).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 부산여대논문집, 21, 463-518. 

  12.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언 축조 전후 주요환경 변화 조사. 부산지방환경청, 308pp. 

  13.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 변화. 한국 제4기학회지, 13, 67-78. 

  14.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 54-60. 

  15. 윤은찬, 이종섭 (2008).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 372-389. 

  16.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 22-34. 

  17. 이상화, 김진후 (2002). 낙동강 하구 사주(모래톱)의 지형조사와 해저토 이동방향에 관한 연구(II). 대한토목학회지, 22, 365-370. 

  18.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 13-20. 

  19. 이종섭, 윤은찬 (2003).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혼합거동해석. 대한토목학회지, 23, 347-358. 

  20.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바다, 11, 11-20. 

  21. Bascom, W.N. (1951). The relationship between sand size and beach-face slope. Trans. Amer. Geophys. Union, 32, 866-874. 

  22.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 Proc. Landforms, 26, 1237-1248. 

  23. Dubois, R.N. (1989). Seasonal variation of mid-foreshore sediments at a Delaware beach. Sediment. Geol., 61, 37-47. 

  24. Dubois, R.N. (1989). Seasonal variation of mid-foreshore sediments at a Delaware beach. Sediment. Geol., 61, 37-47. 

  25.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 Sediment. Petrol., 27, 3-26. 

  26.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9-94. 

  27. Ingram, R.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49-67. 

  28. Livingstone, I. (1989). Temporal trends in grain-size measures on a linear sand dune. Sedimentology, 36, 1017-1022. 

  29. Masselink, G. (1992). Longshore variation of grain size distribution along the coast of the Rhone delta, southern France: A test of the 'McLaren Model'. Jour. Coastal Res., 8, 286-291. 

  30. Oertel, G.F. (1985). The barrier island system. Mar. Geol., 63, 1-18. 

  31. Poizot, E., Mear, Y. and Biscara, L. (2008). Sediment trend analysis through the variation of granulometric parameters: A review of theories and applications. Earth-Sci. Rev., 86, 15-41. 

  32. Stutz, M.L. and Pilkey, O.H. (2002). Global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deltaic barrier island systems. Jour. Coastal Res., 36, 694-7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