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선에서 가설교량 시공에 따른 열차의 주행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rain Running Safety During Construction of Temporary Bridge on Existing Railway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4 no.3 = no.64, 2011년, pp.234 - 239  

엄기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 인프라시스템 연구단) ,  배재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 인프라시스템 연구단) ,  최찬용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 인프라시스템 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로하부를 굴착한 후의 가설교량 설치공법은 이동형 가로보를 갖는 공법으로 시공시 전차선 차단 및 레일절단이 불필요하고 열차운행 횟수가 많은 복선부에서도 적용 가능한 공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사구간이 곡선부(R400)구간으로 가설교량 공법 시공 후의 변위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변위계를 설치하고 열차 통과 시의 윤중 횡압을 계측하여 곡선부(R400)의 주행안전성 검토를 평가하였다. 측정결과 가설교량을 통과시 열차종별 윤중과 횡압의 최대값은 각각 국외 궤도성능평가 기준의 51%, 81% 수준으로 분석되어 윤중, 횡압 발생에 따른 궤도 안전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행안전성의 평가기준이 되는 최대 탈선계수와 최대 윤중감소율은 열차종별에 관계없이 허용한계치의 49% 수준으로 그 기준치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열차 통과시의 주행안전성 확보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stalling the temporary bridge after excavating the railway requires installing movable cross beam, but as it doesn't requires isolating the catenary or cutting the rail, it's applicable to double-track with frequent operation. In this study, a displacement meter was placed on temporary bridge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PMT 공법은 열차의 주행안전성 등에 대한 계측사례가 많이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곡선부(R400)구간인 PMT 가설교량 구간을 열차가 통과할 경우 궤도 각부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윤중, 횡압 및 변위 등에 대한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이때 주행안전성 평가항목으로는 탈선계수(Q/P)와 윤중감소율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로부터 가설교량에 대한 열차의 궤도부담력 및 주행안전성을 검토하여 실제 운행 중인 열차가 가설교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1].
  • 본 논문에서는 가설교량의 변위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곡선부(R400)구간에 대한 열차 주행시 윤중, 횡압 및 변위 등에 대한 현장계측을 통하여 열차의 주행안전성을 평가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설교량의 변위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곡선부(R400)구간에 대한 열차 주행시 윤중, 횡압 및 변위 등에 대한 현장계측을 통하여 열차의 주행안전성을 평가하고 비교·분석한 결과는? (1) 윤중 측정결과, 가설교량의 측정위치는 열차가 저속주행을 하였던 구간으로서 열차종별에 무관하게 내측 윤중이 외측 윤중보다 약 13~31KN 정도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차종별 윤중의 크기는 측정속도대역에서 화물열차와 새마을열차가 무궁화 열차보다 높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횡압 측정결과, 각 열차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값은 윤중과 유사한 수준으로 열차종별에 관계없이 내측 횡압이 외측 횡압보다 약 7~23KN정도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차의 속도 증가에 따라 내·외측레일의 횡압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횡압의 크기는 측정속도대역에서 새마을 열차가 다른 열차에 비해 내·외측레일에서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열차종별 동적 처짐 및 진동가속도를 측정한 결과, 동적 처짐의 결과를 보면 각 열차는 철도교 설계기준의 한계치 기준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값을 나타내었고, 진동가속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판형교에서 발생하는 수직진동가속도 범위 내로 안정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4) 가설교량 주행시 열차종별 탈선계수 및 윤중감소율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주행안전성을 확인한 약 20~50km/h 속도대역에 대해 측정치 모두 허용한계치(0.8) 이내로 나타나 열차의 주행안전성이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가설교량 공법으로 어떤 공법이 많이 시공되고 있는가? 현재 가설교량 공법으로 가받침 공법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가받침 공법은 공사용 가교량을 설치하여 열차하중을 임시로 지지하고 선로하부를 굴착한 후 하부횡단 구조물을 축조해 나가며 가교량을 철거 및 복구하는 공법이나, 이러한 가설교량공법으로 공사 진행시 열차운행을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가받침 공법은 어떤 공법인가? 현재 가설교량 공법으로 가받침 공법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가받침 공법은 공사용 가교량을 설치하여 열차하중을 임시로 지지하고 선로하부를 굴착한 후 하부횡단 구조물을 축조해 나가며 가교량을 철거 및 복구하는 공법이나, 이러한 가설교량공법으로 공사 진행시 열차운행을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PMT(Push in cross beam Moving with Temporary bridge method) 공법은 동일한 개착식 공법이나 기존선의 선로를 굴착 한 후 이동형 가로보를 갖는 공법으로 시공시 열차 상간을 이용하여 기존선로(전차선 및 궤도)를 유지하고 열차운행 횟수가 많은 복선부에서도 열차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이 기대되는 공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Y.G. Park, J.Y. Choi, D.Y. Sung, D.S. Chun (2007) Characteristics of Curved Track Behaviors according to Traveling Tilting 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0(6), pp. 692-700. 

  2. K.Y. Eum (2010) Push in cross beam Moving with Temporary bridge method,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3. K.Y. Eum, S.S. Kim, Y.H. Kim, M.S. Lee, et al. (2009) Comparisonand analysis of the running safety followed by derailment coefficient and wheel off-loading at the cur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p. 347-358.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IT(Japan) (2002) A technical standard about the railroad, Appendix-2: Evaluation technique of train operation stability, pp. 724-731. 

  5.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1998) The design standard of the railroad bridg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6.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04) Analysis on the Dynamic Behaviors of Railway Plate Girder Bridges according to speed of Train, Inha University. 

  7. H.M. Kim, J.T. Park, E.S. Cho, W.S. Hwang (2004) An Experimental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Plate Girder Railway Bridge having a Rail Joint,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yeongchang-gun, Gangwon-do, pp. 6-11. 

  8. J.Y. Yoo (2009) The Vibration serviceability Estimation of Railway Bridges subjected to Moving Train, A graduate degree thesis, Woosong University. 

  9. S.S. Kim (2010) Evaluation of the running safety of tilting train when accelerating at curved track roadbed (R600), A graduate degree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