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지방대도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계획요소 중요도 분석
Critical Regeneration Elements of the Old Housing Estate in Local Metropolitan in Term of Sustainable Aspects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6, 2011년, pp.3 - 12  

박귀동 (충남대학교 대학원) ,  오덕성 (충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is focused on financing. To solve the variety of problem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 plan need to apply more elements to improve sustainability.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ain strategies to amend sustain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이상인 계획요소를 재도출하고, 다시 관련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분석측면별 계획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계획요소의 중요도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현재 분석측면 계획요소의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적용실태와 중요도 우선순위를 비교함으로써 주거환경정비사업 시행에 있어서 적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앞으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기존 연구가 대부분 선진사례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측면별 계획요소를 도출 및 적용 실태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는 주거환경정비사업 계획단계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공무원, 공기업실무자, 엔지니어링실무자, 도시계획연구원을 대상으로 하여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 별 계획요소의 상대적 중요도 우선순위를 수립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분석 측면을 선정하여, 각각의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5점 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였고, 분석 측면 별 계획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위해 AHP(계층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점에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국내 사례지를 통해 현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 계획요소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가능성 측면 별 계획요소의 통합적인 적용을 위해 전문가 설문을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별로 계획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 우선순위를 정하여 주거환경정비사업에 우선 적용 하도록 제안하였다는데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측면으로 설정하고 현재 주거환경정비사업 사례대상지에 계획요소의 적용실태를 평가해보았다. 그리고 분석측면 별로 계획요소를 5점 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관련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가 3.
  • 이는 토지이용, 사회통합, 환경, 에너지 이용, 교통·통신체계, 역사적·문화적 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는 개발을 의미하며 경제·사회개발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결국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전략 및 계획요소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서 지속가능성 측면 별로 계획요소의 중요도 및 상대적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의하면 이것은 무엇을 중시하고 강조합니까?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것은 우리의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념3)으로 최초 정립되었다. 이 개념에 의하면, 지속가능한 개발은 물리·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용량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세대 간 평등, 자연환경보호, 우수 등의 재생자원의 이용, 경제 활성화의 다양성, 지역사회의 자족성, 개인복지와 인간의 기본수요 충족 등을 강조하는 것이다.4)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주거지를 정의하면, 생태계수용능력의 한계 내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환경에 대한 악영향의 예방을 원칙으로 하며 모든 사람에게 자연과 문화적 유산을 통한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면서 건강하고 안정되며 생산적인 생활을 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터전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은 무엇입니까?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것은 우리의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념3)으로 최초 정립되었다. 이 개념에 의하면, 지속가능한 개발은 물리·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용량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세대 간 평등, 자연환경보호, 우수 등의 재생자원의 이용, 경제 활성화의 다양성, 지역사회의 자족성, 개인복지와 인간의 기본수요 충족 등을 강조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측면별 주요 전략중에서 경제적 측면의 세부사항은 무엇입니까?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역사문화적인 지속성, 도시정체성 확립, 커뮤니티활성화, 주민참여, 사회적 혼합 및 통합, 도시의 존속과 성장이 조화로운 사회적 구조형성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도심산업 육성을 통한 자족적 경제기반구축, 지역 내 고용 및 투자확대, 자본유치 등을 통한 도심지역 경제 활성화, 각종 활성화 사업 확대, 생산성 향상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엄준호, "지속가능한 콤팩트 시티 계획요소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 장우연,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요소 도출 및 탄소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3. 권상우, "재정비촉진 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항목 및 지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뉴타운 사업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4. 오덕성, 염인섭,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1호, 2008.1 

  5. 김영환,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계획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제36권 1호, 2001.2 

  6. 김정곤, 오덕성, "독일 생태주거단지의 발전 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과 단지설계 특성의 심층사례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8권 제4호, 2007.12 

  7. 이재준,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제40권 제4호, 2005.8 

  8. 최정은, 서동구, 오덕성,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덜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12호, 2008.12 

  9. 오덕성, 염인섭, "도심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영국 노팅엄시와 한국 대전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1호, 2008.3 

  10.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전2020 Urban Renaissance 발전구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공공문제 연구소, 2007 

  11. 2020대전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대전광역시, 2011 

  1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여행, 국토해양부, 2010 

  13. 주거지 정비기법 개발,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도시재생사업단,2010 

  14. Sustainable Residential Development : Planning and Design for Green Neighborhoods, Avi Friedman, 2007 

  15. Sustainable Urbanism Urban Design with Nature, Douglas Farr,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