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
A Study on the Evaluating Indicators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in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0 no.4, 2009년, pp.131 - 142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태경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built and supplied on a large scale in the 1st period of the New Town project in metropolitan areas since the late 1980s. Now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those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serious deterioration problems for aging m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층고밀 아파트단지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국내외 주택성능평가제도 및 기타지표에 대해 개발목적과 평가 항목의 내용 및 구성특징을 비교정리하고, 국내 주거 여 건과 주거 환경 구성 요소들을 이 해 하고자 국내 아파트를 대상으로 시행된 주거만족도 및 거주후평가 연구들을검토하였다<;표 1>.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지속가능한 재생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아파트단지의 노후도를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아파트 노후도 평가지표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평가지표의 체계를 설정하고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제안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항목간의 중요도가 반영된 아파트노후도 평가지표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대도시와 수도권 신도시에 집중 공급되었던 대규모아파트단지의 노후화 문제에 대한 관심과 정비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고층 고밀 아파트단지의 지속가능한 재생을 위해 아파트단지 노후상태를 포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아파트단지 노후도 평가의 개념 설정단계, 평가항목개발단계, 평가척도개발단계를 진행하였고 AHP기법을 활용한 실증조사를 통해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단지의 노후도 평가라는 복잡한 문제에 대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계층적 구조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평가를 여러 단계를 갖는 계층적 구조로 개념화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단지의 노후도 평가는 우선 하위단계의 평가항목별로 성능 수준이 측정될 수 있고, 각각의 평가항목의 결과는 항목의 성격에 따라 상위단계인 평가속성으로 합산되며, 평가속성의결과는 다시 상위단계인 평가차원으로 합산되고, 차원별 결과를 최상위단계의 노후도 평가결과로 종합할 수 있도록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였다<그림 2>.
  • 이에 따라 국내외 평가지표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표 1> 각각의 지표들은 그 목적에 따라 항목구성에서 특정부분의 성능에 집중되어 있거나 너무 세분화되어 있는 등 적용상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평가항목 선정을 위하여 관련 문헌 분석과정에서 1회 이상 나타난 항목들을 모아 정리하였다. 이 중 주거환경의 다양성 측면과 국내 고층 고밀 아파트단지의 현황 및 노후도 평가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488개 항목을 추출하여 평가항목개발을 위한 구성항목의 pool을 만들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 Baird et al. (1996), Building Evaluation Techniques, MaGraw-Hill 

  2. Peter Roberts (2000), The Evolution, Definition, and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3. UK DETR (2007), HQ Version 4, Housing Corporation 

  4. 國土交通省住宅局住宅生産課(2007), 新築住宅の住宅性能表示制度ガイド 住宅性能表示制度(平城 19年) 

  5. IBEC(2004, 2008), CASBEE-Technical Manual 

  6. 최무현.현택수(1998), 도심 소규모 노후아파트의 주거환경개선 방안연구, 건설교통부 

  7.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2000), 재건축 판정을 위한 평가방안, 건설교통부 

  8. 건설교통부.환경부(2002),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9. 건설교통부(2006),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 

  10. 임창일(1998), 노후고층아파트 재건축의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42 

  11. 최상희(2005), 서울시 노후 공동주택 재생 결정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31 

  12. Kim, K. B. (2002), Towards Sustainable Neighborhood Design, Ph.D. Dissertation, Cardiff Univ. 

  13. 민병호.임상돈.도건효(1991), 건물 노령화의 이해와 대책,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35(1), 65-66 

  14. 문홍길(1995), 재생의 주거환경적 의미,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39(7), 12-16 

  15. 김수암(2009), 장수명 주택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방향,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53(2), 24-25 

  16. 강민정.김주현.하재명(2008), 도심재생을 위한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평가지표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2), 227-234 

  17. 김선숙.김광우.양인호(2004), 공동주택 거주성능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9), 265-272 

  18. 김재익(1998), 주거만족도 구성요인의 가격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논문집 국토계획, 33(2), 105-117 

  19. 서붕교(2000), 노후 공동주택의 재생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 92-94 

  20. 오덕성.염인섭(2008),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1), 174-175 

  21. 이춘호(1997),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논문집 도시행정학보 10권, 63-80 

  22. 임상돈.유완(1992), 아파트 노후화 평가모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논문집 국토계획, 27(4), 140-141 

  23. 제해성.이재혁.홍수진(2006), 초고층 공동주택의 삶의 질에 근거한 주거환경지표 체계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8), 89-96 

  24. 조성희.강혜경(2000), 주거환경 구성요소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1), 45-56 

  25. 조성희.이태경.오덕성(2009), 1기 신도시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재생을 위한 개발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9(2), 17-26 

  26. 허영숙.조성희(1994), 부산지 집합주택계획의 기본방향 설정을 위한 거주후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1), 61-72 

  27. 현택수.이병태(2006), 노후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2), 77-85 

  28. 조성희.이태경(2008), 아파트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9, 225-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