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양인(少陽人) 치험례(治驗例)가 소양인(少陽人) 병리관(病理觀)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The influence of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 with Soyang-type patient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athology 원문보기

사상체질의학회지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3 no.3, 2011년, pp.275 - 284  

강미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체질의학) ,  이지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이준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이의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Objective: This literary review investigates Lee Jema's clinical experiences with Soyang-type patients and their influence on his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hysiology and pathology. 2. Methods: 1) The case reports in "Soyang constitutional type: Spleen Cold-based Exterior-Cold disease"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선 寒多熱少之病 치험례와 熱多寒少之病 치험례도 『辛丑本』에서 다시 기술되면서 변화된 부분에 대하여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지엽적인 표현 변화를 제외하고 내용이 변화한 부분을 살펴본다면 寒 多熱少之病 치험례13)에 환자에게 다시 眼病이 나타났을 때 『甲午本』에서는 石膏 2錢을 썼다고 하였으나 『辛丑本』에서는 石膏 1錢, 黃柏 1錢을 썼다고 하였다.
  • 1의 譫語壞證 연구, 권2의 亡陰證 연구에서도 치험례에 대한 분석을 일부 시행하였으나 병리론의 구성을 위한 것으로, 치험례가 병리관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이 위주가 되지는 않았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 치험례가 병리관의 형성 및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여 몇 가지 지견을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두번째로 傷寒譫語證이 『甲午本』에서 裏之裏 病에 자리 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病人의 증상 중에 陽毒發斑이 나타난 이후에 병세가 진행되는 것에 대한 관찰을 통해 傷寒譫語證이 裏之裏病으로부터 전변된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에 傷寒譫 語證을 裏之裏病에 배속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 치험례는 어떻게 기재되어 있는가? 東武의 의약경험을 정리한 연표3를 살펴보면 1875 년(乙亥年)에 少陽人 發狂譫語證 환자에게 六味 湯을 사용한 치험례가 시작으로, 1900년(庚子年)에 少陽人 譫語證 환자에 荊防地黃湯 加 石膏를 사용한 치험례가 마지막으로 서술되어 있다.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 치험례는 少陰人, 太陰人 치험례와는 다르게 저술년도 순으로 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처음 치험례는 乙亥年으로, 마지막 치험례는 己亥年부터 庚子年으로 실제 경험년도가 기재되어 있어 『東醫壽世保元』의 改草시기와 비교하여 東 武의 병리관 변화를 추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東醫壽世保元·辛丑本』(이하 辛丑本) 9-41, 9-42 조문은 東武가 의약경험을 시작한 이래로 『東醫壽世保元·甲午本』(이하 甲午本)이 저술되기 전까지의 의약경험으로 『甲午本』의 병리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으며, 9-43, 9-44 조문은 『甲午本』 저술 이후부터 『庚子本』 改草까지의 의약경험으로 『辛丑本』의 병리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초기 少陽 人 약방은 六味地黃湯을 중점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에 대한 근거는 어떤 것이 있는가? 첫째, 39세 이전에 이미 少陽人이라고 하는 체질적 분류에 대한 관점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초기 少陽 人 약방은 六味地黃湯을 중점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草本卷』의 「少陽人藥方」을살펴보면 六味地黃湯의 활투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3), 腰將軍湯, 參瓜湯, 瓜蔞仁地黃湯, 黃柏 地黃湯 등의 六味地黃湯의 응용방으로 볼 수 있는 처방의 비율이 높다. 당시 東武는 소양인에게 溫暖 한 약을 쓰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六味湯이 당시까지의 의약경험중에서는 가장 좋은 약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본 치험례의 病人에게 六味湯을 처방하였다.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의 마지막 치험례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東武의 의약경험을 정리한 연표3를 살펴보면 1875 년(乙亥年)에 少陽人 發狂譫語證 환자에게 六味 湯을 사용한 치험례가 시작으로, 1900년(庚子年)에 少陽人 譫語證 환자에 荊防地黃湯 加 石膏를 사용한 치험례가 마지막으로 서술되어 있다. 「少陽人 脾受寒表寒病論」 치험례는 少陰人, 太陰人 치험례와는 다르게 저술년도 순으로 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처음 치험례는 乙亥年으로, 마지막 치험례는 己亥年부터 庚子年으로 실제 경험년도가 기재되어 있어 『東醫壽世保元』의 改草시기와 비교하여 東 武의 병리관 변화를 추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東醫壽世保元·辛丑本』(이하 辛丑本) 9-41, 9-42 조문은 東武가 의약경험을 시작한 이래로 『東醫壽世保元·甲午本』(이하 甲午本)이 저술되기 전까지의 의약경험으로 『甲午本』의 병리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으며, 9-43, 9-44 조문은 『甲午本』 저술 이후부터 『庚子本』 改草까지의 의약경험으로 『辛丑本』의 병리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SH, Kim YH, Jang HS, Lee JH, Koh BH. A Study of Soyangin's Delirious Speaking Bad Disease in Exterior Cold Disease induced from the Spleen Affected by Cold.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3):14-20. (Korean) 

  2. Kwon OI, Lee JH, Kim YH, Hwang MW. The Study on the Mangeum-syndrome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1):44-52. (Korean) 

  3. National Sasang Constituional Medicine Department Associati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04:36-37. (Korean) 

  4. Hwang MW, Koh BH. The Study on the Pathology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3):1-16. (Korean) 

  5. Hwang MW, Koh BH. The Study on the Chronical Concept of Etiology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1):1-19. (Korean) 

  6. Lee JH, Lee SK,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 of ?Dongyi Suse Bowon? written in 1894. J Sasang Constitut Med. 2001;13(2):49-61. (Korean) 

  7. Lim JN, Lee EJ, Koh BH, Song IB. Comparison with 'Gu-Bon' and ''In-Bon' on Symptom of Soemin's Disease and Soyangin's Disease. J Sasang Constitut Med. 2003; 13(2):62-73. (Korean) 

  8. Han KS, Park SS. The Research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n The DongyiSuseBowon Gabobon. J Sasang Constitut Med. 2002;14(1):34-50. (Korean) 

  9. Lee SK, Song IB.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f Sasangin on the Dongyi Suse Bowon. J Sasang Constitut Med. 1999;11(2):1-26. (Korean) 

  10. Kyung Hee University Sasang Constituional Medicine Department. Sasang Constituional Medicine Department Clinical Manual: The Classical Manuscripts. Seoul: Hanmibook. 2010:36-47,54-57. 2010. (Korean) 

  11. Han KS, Park SS. The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Soyangin Pharmacology-Focused on Gabobon and Sinchukbon.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3): 38-48.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