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외식업체 메뉴의 영양 표시 인지도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282 - 290  

유진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recognition and interest in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consumer interest levels in health and to suggest its application to restaurant lunches. By considering various statistics and data on the frequency of reasons for di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 시범 운영 중인 외식업체 영양표시제는「어린이먹거리 안전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외식의 빈도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직장인들로써 적어도 한끼 이상의 식사로 외식을 하고 있었다(Kim & Beik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 영양 표시의 지속적인 확대와 올바른 정착을 위하여 직장인의 점심 외식을 연구의 표본으로 삼았으며, 건강 관심도에 따라서 영양 표시 관심 및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관심영양정보 및 선호 표기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 봄으로써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또 영양 표시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여 외식업체 영양 표시 개선과 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식 서비스의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이유는? 국내 외식소비의 형태는 경제 상황과 사회적인 분위기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인다. 국민 소득 수준 상승, 여성 경제활동 인구 증가, 핵가족화 및 독신 가정 증가, 주 5일 근무제 실시 등으로 외식 서비스의 관심과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한국외식정보 2009).
어린이먹거리안전종합대책으로 1차 시범 실시한 영양표시제 대상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은「어린이먹거리안전종합대책」일환으로 2007년부터 본격 추진된 외식업계 영양표시제에 따라 패스트푸드를 대상으로 한 1차(2008년 1~6월) 시범 실시에 이어 피자와 커피업체를 대상으로 2차(2008년 7월) 시범 실시했다. 이어 3차(2008년 11월)로 제빵(도넛 포함)과 치킨업체에서 자율적으로 영양성분 표시를 시범 실시하였다.
직장인의 점심 외식을 중심으로 조사한 외식 시 건강관심도와 그에 따른 외식업체 영양 표시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 그리고 적용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는? 연구 결과, 직장인의 점심 외식 빈도수가 높은 것에 반해 외식 시 건강이나 영양적인 면에 대한 고려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레스토랑 이용자는 외식업체 영양 표시가 메뉴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영양 표시는 영양교육의 도구가 되고 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외식업체에서는 꾸준한 연구와 개발을 통하여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영양 표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양 표시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장순옥. 1998. 영양표시의 현황과 제도의 개선방향. 한국영양학회 98년 워크샵, pp.29-39 

  2. 한국외식정보. 2009. 한국외식연감, pp.173-191 

  3. Choi MK. 2008. An analysis of groups with problems associated with dining out. Korean J Food & Nutr 21:536-544 

  4. Chung JY,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417-425 

  5. Clay JM, Emenheiser DA, Bruce AR. 1995. Healthful menu offering in restaurants: A survey of major US chain. Journal of Food service System 8:91-101 

  6. Hong SM, Chung HJ. 2007. Model Development of Nutrition Labeling on Restaurant and Fast-food.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pp.13-22 

  7. KFDA. 2004. Study for Improvement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pp.176-177 

  8. Kim DH, Beik GY. 2005. A study on the eating-out behavior of city workers(1) -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ating-out behavior. Korean J Food & Nutr 18:241-253 

  9. Kim TH, Chang HJ. 2003. Family restaurant Patrons's percep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of restaurant menus. Korean J Food Culture 18:270-278 

  10. Kim TH, Lee SH, Park HH. 2006. Analisis of consumer pattern according to dining-out orientation. Korean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313-323 

  11. Lee KO, Kim YS. 2007. Consumer's practicality, acknowledgement, trust, satisfaction, necessity degrees about food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Human Ecology 16:761-773 

  12. Sitia JA, Galanko,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 and psyc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5:392-402 

  13. Sonia A, Lynn DS. 2008. Calorie Labeling in New York City Restaurants: An Approach to Inform Consumers. NYC Department of Health, pp.1-41 

  14. Yoon CK. 2005.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J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29:37-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