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미학적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흙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 노자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stainable Earth Architecture Characteristic from Ecological Aesthetic Point of View - Focus on the thoughts of Lao-tzu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0 no.4 = no.87, 2011년, pp.54 - 62  

김설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설계) ,  허범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t industrialization caused from Descartes' dichotomy has enormously developed our world, but endangered the ecosystem. In this study, the ecosystem aesthetics is not only a critique against existing growth-ideology and technical civilization, but also the art pursuing the life as an artistic 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양의 사고체계가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이라 사료하며 21세기에 걸맞은 도가의 노자사상에 의해 그 돌파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와 더불어 환경의 위기를 공리주의적 가치가 아닌 미적, 감각적 차원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생태 미학적 관점을 통해 현시대의 친환경론적 디자인관을 논해보고자 한다. 세계는 '인간-자연。건축'이 서로 공존하고 협력하여 존재하므로 기본적인 사유의 대안과 건축의 대안으로 흙이 적합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 흙 건축의 범주는 포괄적이나 각기 처한 사항과 다른 여건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부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건죽의 생태- 문화적, 생태-중심적 디자인3)을 흙을 이용한 건축물4)의 특성으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노자의 생태미학의 특성을 연구하며 새로운 관점으로 그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양사상 중 노자 사상으로 한정하여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논문을 진행하였으며, 생태적 세계관의 패러다임과 함께 미래의 미학자 디자인 대안으로서의 생태미학을 바탕으로 흙 건축과의 연계성을 찾고, 흙건축을 생태-문화적, 생태-중심적 입장으로 구체화하여 표현방법 및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건축으로 주된 재료가 흙의 역할이 강조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생태-문화적 입장은 환경적, 문화적 측면에서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들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쪽에 가치를 두고 지역성과 장소에 밀접한 연관⑸이 있는 문화적 지속 가능 디자인 방법을 말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분류 중 생태-문화적, 생태-중심적 논리에 분류되는 흙의 역할이 강조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사례에서 분석할 것이다. 그로 인해 보여지는 흙건축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 방법은 어떤 객관적이고 특정한 하나의 디자인 방법론이기 보다는 각기 처한 사항에 다른 여건과 해석의 차이로부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넷째, 구축된 틀에 맞춰 흙 건축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의미와 가능성을 모색하여본다 도가의 노자사상과 흙의 정신은 관계성이 있다고 생각되나,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자료들은 전무하다 싶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관점으로 흙건축을 바라봄으로서 그 의미과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흙에 대한 자연환원적인 측면과 인간에게 이로운 부분은 선행연구에 의해 증명된 바 있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흙의 역할을 바탕에 두고 기존의 흙건축 관련 선행문헌들과는 달리, 생태미학의 특성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생태위기의 대안으로 대두되는 동양의 노자적 세계관으로 풀어보려 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흙 건축의 특성으로서 가이 (Simon Guy)와 파머 (Graham Fanner) 가분류한 문화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으로 정리하여 흙건축을 다시금 현 상황에 순화될 수 있고 적합한 사상적 방식으로 계승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본 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2장과 3장을 통해 도출된 생태 미학 특성인 무위적 유위, 시공간의 무한화, 자율적 생성, 변화와 순환&으로 표현되는 국내의 흙건축 사례를 분석하며, 사례의 공간적 표현과 생태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갖고 있다.
  • 우리는 많은 발전을 하였지만 그와 함께 생태계의 위기는 찾아왔다. 서양의 사고체계가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이라 사료하며 21세기에 걸맞은 도가의 노자사상에 의해 그 돌파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와 더불어 환경의 위기를 공리주의적 가치가 아닌 미적, 감각적 차원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생태 미학적 관점을 통해 현시대의 친환경론적 디자인관을 논해보고자 한다.
  • 보이는 것이다. 자연과 인위를 통합하여 천연의 상태를 실현하고자 함이며, 더욱더 자연스럽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과 인간 뿐만 아니라 자연과 예술, 건축 공간이 함께 공존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가설 설정

  • 세계는 '인간-자연。건축'이 서로 공존하고 협력하여 존재하므로 기본적인 사유의 대안과 건축의 대안으로 흙이 적합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1)흙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오랜 시간 사용된 물성이다. 흙은 그 자체만으로도 끊임없는 작용을 통해 자연과 인간을 친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호한 경계의 역할을 한다.
  • 그는 내재적이고 항상스러움을 잃지 않는 미(美), 정신적인 미(美)는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다.8) 인류는 미(美)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미(美)를 추구한다고 오히려 자신의 생명 과 자유를 희 생 시키거나 자신을 지배하게 해서는 안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구승회,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2.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국제, 2001 

  3. 김개천.이찬.김지은, 노자 사상과 공간 문화 컨텐츠,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9 

  4. 김충렬, 김충렬교수의 노자철학강의, 예원서원, 1995 

  5. 리쩌허우, 중국미학사, 권덕주 역, 대한교과서, 1992 

  6. 이동철.최진석.신정근, 21세기 동양철학, 을유문화사, 2009 

  7. 왕필.임채우, 왕필의 노자, 예문서원, 1998 

  8. 최진석,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소나무, 2001 

  9. 황혜주, 흙건축, 씨아이알, 2008 

  10. 김용민, 새로운 녹색미학 또는 생태미학의 가능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11호, 1997.6 

  11. 류전희,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보들,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ol.8 No.5, 2008.10 

  12. 박정식.심소희.김형수.이경희, 흙건축의 생태적 의미와 현대적 이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 2호, 2000.10.28 

  13. 양은지.김개천,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3호 통권80호, 2010.06 

  14. 김용옥, 흙 건강 디자인(Soil, Health, Design), 월간디자인, 도올故新, 제29신,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