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 분출물 확산 예측에 대기흐름장 평균화가 미치는 영향
Impact of Meteorological Wind Fields Average on Predicting Volcanic Tephra Dispersion of Mt. Baekdu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4, 2011년, pp.360 - 372  

이순환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화산분출물의 이류와 확산 예측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차원 대기역학 모형인 WRF와 입자 확산 모형인 FLEXPART를 결합하여 다양한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상자료의 시간 평균화에 따른 영향을 보기 위하여 네가지 서로 다른 평균화 기간을 가진 수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기상자료의 평균화 기간은 각각 1개월, 10일, 3일이다. 또한 평균화를 실시하지 않은 실시간자료를 이용한 수치실험도 실시하였다. 기상자료의 평균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주풍성분인 동서 방향의 운동이 뚜렷해지고, 짧을수록 주풍의 법선 방향인 남북 운동이 명확하게 나타나며, 화산분출물을 가정한 입자의 확산 역시 동일한 특성이 나타난다. 상하층의 바람은 강도의 차이가 명확하고, 평준화 기간에 따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상층입자와 하층입자의 이동과 지상 침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한반도의 지상 침적은 방출고도 2 km 이하의 입자가 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상자료의 평균화 시간 간격이 화산분출물의 지상 침적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확산 실험 전에 적절한 기상자료의 시간평균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larify the advec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volcanic tephra to be emitted from the Mt. Baekdu,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atmospheric dynamic model, Weather and Research Forecast (WRF) and Laglangian particles dispersion model FL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백두산 폭발적 분화에 따른 분출물의 확산과 침적을 정확히 예측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백두산 화산 분출물의 확산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상자료에 대한 시간적인 평균화가 백두산 화산 분출물의 이류 및 확산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수치모형은 3차원 대기역학모형인 WRF와 분출물 확산에 적용된 FLEXPART이다.

가설 설정

  • , 201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분출량 자체보다는 기상장의 시간 평균에 따른 풍하측의 분포를 주로 분석하기 때문에, 72시간 연속적인 분출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입자확산 수치 적분 시간은 72시간으로 설정하고 이때 적용된 각 수치실험별 기상장은 24시간씩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입자 분포 및 침적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분출량 자체보다는 기상장의 시간 평균에 따른 풍하측의 분포를 주로 분석하기 때문에, 72시간 연속적인 분출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입자확산 수치 적분 시간은 72시간으로 설정하고 이때 적용된 각 수치실험별 기상장은 24시간씩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입자 분포 및 침적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 백두산의 분출이 천지 부근에서 시작된다고 판단하여, 입자 발생원은 점오염원으로 설정하고 배출은 지상에서부터 고도 10 km 고도까지 동일하게 방출된다고 가정하였다. 방출된 입자는 밀도가 2000 kg/m3의 밀도를 가진 화산재로 설정하고, 대기중에서 반응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입자는 분당 10개씩 연직고도 10 km까지 균등하게 방출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백두산의 분출이 천지 부근에서 시작된다고 판단하여, 입자 발생원은 점오염원으로 설정하고 배출은 지상에서부터 고도 10 km 고도까지 동일하게 방출된다고 가정하였다. 방출된 입자는 밀도가 2000 kg/m3의 밀도를 가진 화산재로 설정하고, 대기중에서 반응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본 연구에서 화산 분출물의 방출지역은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걸쳐있는 장백산맥의 중심에 위치한 고도 2750 m의 백두산(북위 41o 01', 동경 128o 05')으로설정하였다. 백두산은 북한의 량강도와 중국의 길림성의 경계에 위치하며 압록강, 두만강, 중국 송화강의 발원지이다. 또한 정상부에는 폭발적인 화산 분화와 산정부의 함몰에 의하여 생성된 칼데라호인 천지가 있다.
화산 분출물의 확산예측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화산 분출물의 확산예측을 위하여서는 대기 기상장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연구에서는 3차원 대기 역학 모형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을 통하여 기상장을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소원주, 윤성효, 1999, 백두산 화산의 홀로세 대분화 연구: 개관. 한국지구과학회지, 20, 534-543. 

  2. 윤성효, 히로미추 타니구치, 하이첸 웨이, 지아치 류, 2007, 백두산 화산위기. 대한자원 환경지질학회 2007년 춘계대회 논문초록집, 130-132. 

  3. 윤준희, 서은경, 박영산, 김학성, 2010, 종관 바람 관측 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의 풍력자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225-233. 

  4. 이순환, 이화운, 김유근, 2002, 복잡지형에서 도시화에 따른 대기오염 확산에 관한 시뮬레이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 67-83. 

  5. 이순환, 이화운, 김동혁, 김민정, 김현구, 2009, 한반도 풍력 자원지도의 공간해상도가 풍력자원 예측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8, 885-897. 

  6. 이화운, 이현미, 이순환, 최현정, 2010, 라그랑지안 입자확산모델을 이용한 광양만 권역에서의 공기괴 재순환 현상의 수치모의. 한국환경과학회지, 19, 157-170. 

  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http://www.aks.ac.kr/ (검색일: 2011.05.25) 

  8. Bitar, L., Duck, T.J., Kristiansen, N.I., Stohl, A., and Beauchamp, S., 2010, Lidar observations of Kasatochi volcano aerosols in the troposphere and stratosphe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 doi:10.1029/2009JD013650. 

  9. Corradini, S., Merucci, L., and Folch, A., 2011, Volcanic Ash Cloud Properties: Comparison Between MODIS Satellite Retrievals and FALL3D Transport Mode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8, 248-252. 

  10. Costa, A., Macedonio, G., and Folch, A., 2006, A three-dimensional Eulerian model for transport and deposition of volcanic ashe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41, 634-647. 

  11. Gangalea, G., Pratab, A.j., and Clarissec, L., 2010, The infrared spectral signature of volcanic ash determined from high-spectral resolution satellite measuremen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414-425. 

  12. Glaze, L.S. and Self, S., 1991, Ashfall dispersal for the 16 September 1986, eruption of Lascar, Chile, calculated by a turbulent diffusion mode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8, 1237-1240. 

  13. Flentje, H., Claude, H., Elste, T., Gilge, S., Kohler, U., Plass-Dulmer, C., Steinbrecht, W., Thomas, W., Werner, A., and Fricke, W., 2010, The Eyjafjallajokull eruption in April 2010 - detection of volcanic plume using in-situ measurements, ozone sondes and lidar-ceilometer profil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10085-10092. 

  14. Furuta, T., Fujioka, K., and Arai, F., 1986, Widespread submarine tephras around Japan-Petrographic and chemical properties. Marine Geology, 72, 125-142. 

  15. Glaze, L.S. and Self, S., 1991, Ashfall dispersal for the 16 September 1986, eruption of Lascar, Chile, calculated by a turbulent diffusion mode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8, 1237-1240. 

  16. Jin, B. and Zhang, X., 1994, Researching volcanic geology in Changbai Mt, Northeast Korea. Nation Education Press, Changchun, China, 223 p. 

  17. Kang, S.D. and Kimura, F., 1998, A numerical study on the Karman vortex generated by divergence of momentum flux in flow past an isolated mountain.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76, 925-935. 

  18. Koo, H.S., Kim, H.D., Kang, S.D., and Shin, D.W., 2007, A Numerical Study on the Formation Mechanism of a Mesoscale Low during East-Asia Winter Monso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613-619. 

  19.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rg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20. Miller, T.P. and Casadevall, T.J., 2000, Volcanic ash hazards to aviation, Encyclopaedia of volcanoe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930 p. 

  21. Prata, A.J., Carn, S.A., Stohl, A., and Kerkmann, J., 2007, Long range transport and fate of a stratospheric volcanic cloud from Soufrie`re Hills volcano, Montserrat. Atmosphere Chemistry and Physics, 7, 5093-5103. 

  22. Schumann, U., Weinzierl, B., Reitebuch, O., Schlager, H., Minikin, A., Forster, C., Baumann, R., Sailer, T., Graf, K., Mannstein, H., Voigt, C., Rahm, S., Simmet, R., Scheibe, M., Lichtenstern, M., Stock, P., Ruba, H., Schauble, D., Tafferner, A., Rautenhaus, M., Gerz, T., Ziereis, H., Krautstrunk, M., Mallaun, C., Gayet, J.-F., Lieke, K., Kandler, K., Ebert, M., Weinbruch, S., Stohl, A., Gasteiger, J., Olafsson, H., and Sturm, K., 2010, Airborne observations of the Eyjafjalla volcano ash cloud over Europe during air space closure in April and May 2010.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Discussions, 10, 22131-22218. 

  23. Simkin, T. and Siebert, L., 1994, Volcanoes of the World. Geoscience Press, Washington DC, USA, 349 p. 

  24. Skamarock, W.C., Klemp, J.B., Dudhia, J., Gill, D.O., Barker, M., Duda, M.G., Huang, X.Y., Wang, W., and Powers, J.G.,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nical note, NCAR/TNu2013475+STR, 123 p. 

  25. Stohl, A., Forster, C., Frank, A., Seibert, P., and Wotawa, G., 2005, Technical note: The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FLEXPART version 6.2.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5, 2461-2474. 

  26. Suzuki, T., 1983, A theoretical model for dispersion of tephra. In Shimozuru, D. and Yokoyama, I. (ed.), Arc Volcanism: Physics and Tectonics. Terra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Tokyo, 95-113. 

  27. Wiegnera, M., Gasteigera, J., $Gro{\ss}a$ , S., Schnella, F., Freudenthalera, V., and Forkelb, R., 2011, Characterization of the Eyjafjallajokull ash-plume: Potential of lidar remote sensing.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now print). 

  28. Witham, C.S., Hort, M.C., Potts, R., Servranckx, R., Husson, P., and Bonnardot, F., 2007, Comparison of VAAC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using the 1 November 2004 Grimsvotn eruption.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4, 27-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