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산정
Estimation of Capacity at Two-Lane Freeway Work Zone Using Traffic Flow Models of Each Vehicle-Type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3 no.3 = no.49, 2011년, pp.195 - 202  

박용진 (계명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종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용량 값을 산정하는 것이다. 공사구간의 교통류 모형은 공사구간의 유입부 및 유출부를 대상으로 차종별 모형과 승용차 환산계수를 적용한 전체 차량에 대한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차종별 모형에서 산정된 최대교통류율은 승용차환산계수 및 중차량 비율을 적용하여 공사구간의 용량 값으로 전환하였다. 차종별 모형의 유입부 및 유출부 최대교통류율 값은 각각 1,845pcphpl과 1,884pcphpl로 산정되었으며 차량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의 최대교통류율은 차종별 결과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모형의 비교 검증을 위하여 최대밀도에 따른 거리 차두간격을 적용하였다. 공사구간의 용량은 공사구간의 흐름이 안정된 유출부 용량보다 공사구간 진입을 위한 차선 변경 등으로 교통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유입부 용량에 좌우되므로 유입부 교통류 모형의 최대교통류율 값인 1,800pcphpl을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값으로 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apacity of two-lane freeway work zone blocking one lane using traffic flow models of each vehicle-type. Firstly, three traffic flow models of three different vehicle-types were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each at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사구간의 교통흐름은 중차량에 영향을 받으므로 본연구의 목적은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이용하여 편도 2 차로인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용량을 산정하여 교통량에 승용차 환산계수를 적용한 자료를 이용한 교통류 모형에서 제시된 용량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로 고속도로의 주행차로의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공사구간의 용량은 l, 800pcphpl을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고속도로의 이상적인 조건의포화교통류율의 약 82%에 해당하는 값이다.
  • 현재 건설 중인 고속도로까지 포함하면 고속도로의 70% 이상이 편도 2차로 고속도로인 점을 감안한다면 장래의 고속도로 공사로 인한 신뢰할 만한 교통영향 분석을 위해서는 공사 구간의 용량이 주요한 변수로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도 2차로 고속도로에서 주행차로에서 공사를 하는 구간의 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차종별 교통류모형을 이용한 용량을 산정하였다.
  • 또한 공사구간의 용량은 유입부에 의하여 전체 구간의 용량이 좌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입부 최대교통류율에 십단위를 절삭한 l, 800pcphpl< 단기공사구간의 용량 값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도출하고 승용차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단기 공사구간의 용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1996),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2. 김동녕, 이승환(1998), "공사로 인한 차로 감소구간의 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8권 제III-4호, pp445-462 

  3.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대한교통학회 

  4. 정준화(1994), "도로점용 공사의 손실비용 최소화 방안", 건설기술정보. 

  5. 한국도로공사 노선안내 web-site (www.ex.co.kr) (2011) 

  6. Ahmed Al-Kaisy and Fred Hall(2003), "Guidelines for Estimating Capacity at Freeway Reconstruction Zone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pp572-577 

  7. Dudek, C., and S. Richards(1982). Traffic Capacity Through Urban Freeway Work Zones in Texas.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869.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14-18. 

  8. Dudek, C.(1984), Note on Work Zon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9. Edara. P.K, Cottrell,Jr. B.H.(2007), "Estimation of Traffic Mobility Impacts at Work Zones: State of the Practice", the 86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January, 2007. 

  10. Highway Capacity Manual 2000(199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1. HCM Special Report 209(199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 C. 

  12. Krammes, R.A.,and G.O. Lopes(1994), Updated Capacity Manual Values fro Short-Term Freeway Work Zone Lane Closur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42,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 C., pp.49-56 

  13. Kim, T, Lovell, D. J., Paracha,(2001) J.,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Capacity for Freeway Work Zon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14. Maze. T. H., Schrock. S. D., KAMYAB. A.(2000), "Capacity of Freeway Work Zone Lane Closures", MID-CONTINENT TRANSPORTATION SYMPOSIUM 2000 PROCEEDINGS, pp178-183 

  15. Sarasua, W., W. Davis, D. Clarke, J. Kotapally, and P. Mulukutla(2004). Evaluation of Interstate-Highway Capacity for Short-term Work Zone Lane Closures.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877.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2004, pp. 85-94. 

  16. Qiang, F., Fei, H.L. Hong, C.X.,Ye. L.(2007), "INFLUENCE OF HEAVY VEHICLE TO TRAFFIC FLOW IN FREEWAY WORK ZONE", the 86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