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관복 담홍포 담론 연구 (제1보)
A Study on Arguments over the Light Pink Color of Official Uniforms in the Joseon Dynasty (Part I)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9, 2011년, pp.1125 - 1137  

박현정 (전주대학교 패션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when and why the light pink Dan-ryoung appeared as part of the official uniform of the Joseon Dynasty and which official uniform used the light pink colo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ooks written by scholars, and related law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The foll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조 때부터 최상위 관복 색으로 제정된 것은? 홍색은 태조 때부터 최상위 관복 색으로 제정된다. 태조1년(1392) 12월 12일 이듬해 원정부터 시행할 관복 제도를 정했다.
세종 8년에서 지정한 공복 착용할 때는? 이 태조1년에 정한 관복은 구체적으로 어느 관복이라고 명시하지 않았지만 홀이 포함되어 있는 것과 세종8년의 기록을 통해 공복임을 알 수 있다. 세종 8년(1426) 2월 26일 “임금께 알현하거나 사은 또는 부임 전에 배사하러 뵈올 때에는 공복을 착용하며, 1품은 홍포·서각대·상홀이며, 2품 이하 정3품 이상은 홍포·여지금대·상홀이며, 종3품 이하는 청포·흑각대·상홀이며, 5, 6품은 청포·흑각대·목홀이며, 7, 8, 9품은 녹포·흑각대·목홀이다. 이상 각 품의 검정 신[黑靴]과 복두는 같다.
태조1년(1392) 12월 12일 이듬해 원정부터 시행한 관복 제도의 내용은?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품은 홍포·서대, 2품에서 판각문 이상은 홍포·여지금대, 3, 4품은 청포·흑각혁대·상홀, 5, 6품은 청포·흑각혁대·목홀, 7품 이하는 녹포요, 대와 홀은 5, 6품과 같고, 신[靴]은 모두 검은 색[ 色]이다.” 관복의 색은 품급을 구분하는 항목의 하나였으며 홍색은 홍포, 청포, 녹포의세 단계 구분체계에서 가장 상위의 품급인 1~2품의 색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 H. S. (2000). A study on the costumes of 18th century through Bongsado. Journal of Asia Culture, 4, 79-107. 

  2. Cho, O. S. (1986). A study on Danryeo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 Choi, B. S. (1981). The col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official uniforms; Especially on the kinds of red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Korean portrait painting; Encountering with people in history]. Seoul: Nulwa. 

  5. Jeon, Y. S. (1972). A study on the color of Korean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Lee, C. K. (2005). Study on traditional Danryeong and modern Danrye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7. Lee, E. J. (2005). Development process of Sibok and Sangbok for officer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6), 38-50. 

  8. Moon, K. H. (2004). A study on dress codes and actual Samples of 'Dan-ryung'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9. Nam, Y. J., Kim, S. Y., & Park, S. S. (2005). The meaning of redseries color nam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0. Son, K. J., & Kim, Y. S. (1982). 한국복식사자료선집 조선편 III [The selected sources of Korean historical costume: The Joseon dynasty III]. Seoul: Kyomunsa. 

  11.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ranslated into the modern Korean. (199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etrieved January 16 to February 28, 2010, from http://sillok.history.go.kr 

  12. Yu, H. G. (1975). 한국복식사연구 [Study on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histor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