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농경지의 저류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Flood Storage Plans of Farmlands for Extreme Flood Reduct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10, 2011년, pp.787 - 795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순환연구실) ,  조성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순환연구실) ,  송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실효성 검증을 위해 낙동강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에 대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저감효과분석에는 LISFLOOD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를 저류지로 활용 하였을 경우 5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최대 약 0.53 m의저감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대상농경지의저류지화를위해해외선진사례분석을통한다각적공간확보방안들이 검토되었으며 그 중 평상시 활용가능성, 비용효과, 토지의 공공성 확보와 계약과 보상에 따른 마찰 등을 고려하여 지역권 설정 및 재해보상제를 활용한 방안들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낙동강 대상지에서의 토지매수제와 지역권 설정을 통한 공간확보 비용을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treme flood. To suppor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극한홍수는 대상하천에서의 설계 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량으로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홍수량을 극한홍수라 정의하였다. 따라서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에서 제시된 홍수량 중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가장 큰 홍수량인 5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해 모의하였다. 시간에 따른 500년 빈도 유량 조건은 Fig.
  • 앞서 언급된 내용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극한기후에 대응하여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 제시를 위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횡적 하천공간의 홍수위 저감 효과와 다각적 공간확보 방안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1(b)와 같이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 구간을 대상 하천공간으로 가정하고 홍수 시 저류지로 활용할 경우에 대한 치수효과를 분석하였다.
  • 6은 저류 공간으로서의 농경지 확보 유무에 따른 구미수위표 위치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위 차이 변화를 보여주며 이때 음의 값은 공간 확보에 의한 홍수위 저하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위가 계획홍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농경지로 월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의하였다. Fig.
  • 따라서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에서 제시된 홍수량 중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가장 큰 홍수량인 5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해 모의하였다. 시간에 따른 500년 빈도 유량 조건은 Fig. 4와 같이 SWAT 모형으로부터 구축하였으며 2006년 강우량에서 홍수기 때 극한 강우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Fig. 4와 같은 유량 조건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SWAT 모형은 강형식 등(2011)에 의해 낙동강 유역에 대해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해의 발생빈도와 그 규모가 점차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편차가 커지면서 재해의 발생빈도와 그 규모가 점차 급증하고 있으며, 2009년 대만의 모라꼿 태풍, 2010년 파키스탄 및 중국 대홍수, 2011년 미국 미시시피 대홍수 등재해 발생 규모가 점차 대형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만의 모라꼿 태풍의 경우, 불과 3일 동안에 3,000 mm에 육박하는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대만의 연평균 강우량(약 2,515 mm)이 우리나라 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매우 위협적인 국지적 집중호우로서 이러한 슈퍼태풍이 국내에 상륙할 경우 그 피해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치수대책으로서 하천의 횡적공간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은 무엇인가? 따라서 이러한 극한홍수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대비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과거의 홍수 사례에서 또 한가지 주목할 만한 사항은 1998년 양쯔강 유역 대홍수 및 2011년 미국 미시시피 대홍수와 같이 하류의 대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농촌지역 제방을 인위적으로 폭파하여 홍수 저감을 시도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치수대책으로서 하천의 횡적공간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1980년대의 태풍과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액은 얼마인가? 특히, 대만의 모라꼿 태풍의 경우, 불과 3일 동안에 3,000 mm에 육박하는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대만의 연평균 강우량(약 2,515 mm)이 우리나라 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매우 위협적인 국지적 집중호우로서 이러한 슈퍼태풍이 국내에 상륙할 경우 그 피해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 태풍과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가 1980년대에 2,580억원에서 1990년대에 5,190억원으로 약 2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최근 2002년에서 2006년 동안에는 약 2조 7,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하였다(소방방재청, 2006, 2007). 더욱이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한 사망자 수가 각각 246명, 131명 발생된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역시 홍수 및 태풍 재난의 위험으로부터 절대 안전지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2007). "홍수범람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 권, 제6B호, pp. 583-590. 

  2. 강형식, 장재호, 안종호, 김익재(2011).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한국수자 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7호, pp. 577- 589. 

  3. 건설교통부(2006). 한국수문조사연보. 

  4. 국토해양부(2008). 천변저류지 조성 촉진 및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5. 금강수계관리위원회(2007). 금강수계 토지매수 및 관리기본계획 수립 연구. 

  6. 국토해양부(2009). 낙동강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7. 국토해양부(2009). 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8. 김덕길,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2008). "천변저류지 조성 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483-489. 

  9. 곽재원, 김재근, 김형수, 유병국(2010).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1B호, pp. 13-21. 

  10. 박창근, 박재현, 이종진(2007).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2007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31- 335. 

  11. 소방방재청(2006). 재해연보. 

  12. 소방방재청(2007). 주요통계 및 자료. 

  13. 안태진, 강인웅, 백천우(2008).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 기반의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 권, 제7호, pp. 725-735. 

  14. 안태진, 변천일, 노희성, 백천우(2010). "경제성 분석에 의한강변저류지최적위치선정에대한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8호, pp. 681- 694. 

  15. 이미연(2005). 천변저류지의 토지보상방안에 대한 비용 효과분석: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경수, 김원, 윤병만(2006).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 분석." 2006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67-270. 

  17.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2010). 2010년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게획수립 지침. 소방방재청. 

  18.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2005).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2005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3-236. 

  19. 환경부(2001). 토지임차제.휴경보상제 등 매수제 대안의 타당성 연구. 

  20. Bates, P.D., and De Roo, A.P.J. (2000).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plain inund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 54-77. 

  21. Bates, P.D., Dawson, R.J., Hall, J.W., Horritt, M.S., Nicholls, R.J., Wick, J., and Hassan, M.A.A.M. (2005). "Simplifie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ling of coastal flooding and example applications." Coastal Engineering, Vol. 52, pp. 793-810. 

  22. Bates, P.D., Horritt, M., Wilson, M., and Hunter, N. (2005). LISFLOOD-FP User manual and technical note, University of Bristol, UK. 

  23. Dawson, R.J., Hall, J.W., and Bates, P.D. (2005). "Quantified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flooding in the thames estuary under the imaginable worst-case sea level rise scenari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Vol. 21, No., pp. 577-591. 

  24. Hunter, N.M., Bates, P.D., Horritt, M.S., and Wilson, M.D. (2007). "Simple spatial-distributed models for predicting flood inundation: A review." Geomorphology, Vol. 90, pp. 208-225. 

  25. Purvis, M.J., Bates, P.D., and Hayes, C.M. (2008). "A probabilistic methodology to estimate future coastal flood risk due to sea level rise." Coastal engineering, Vol. 55, pp. 1062-1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