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팽이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Flammulina velutip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10 = no.138, 2011년, pp.1434 - 1442  

김종봉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정자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S 염기서열과 RAPD를 이용하여 F. velutipes 29개의 팽이버섯 품종 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ITS 부위에서 720 bp의 염기서열을 확인 하였으나 29개의 팽이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16개였으며, 그 중 뚜렸한 다형성을 띄는 primer는 OPA-2,4,3,9,10,20 이었다. 이들 29개 품종에서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모두 3,030개 였으며, DNA 단편의 크기는 200~2,000 bp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3,030개의 scrabble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전체 29개 품종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3.3~45%였고, 특히 한국 야생팽이의 종내 유전적 변이도는 17~38.6%로 품종 간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RAPD 변이에 기초하여 neighbor-joining tree (NJ) 분석에서는 5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cluster는 품종, 지역 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RAPD와 실험을 통해 확인된 OPA, OPB primer의 경우 미확인 팽이품종들을 검색 하는데 분자 유전적 표지 maker로써 이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enetic variation within 29 strains of F. velutipes was analyzed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analysi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Seven hundred and twenty base pairs were sequenced during the analysis of the ITS region, but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팽이버섯을 가장 많이 육종, 생산, 이용하고 있는 한국, 일본, 중국의 야생 팽이버섯들과 상업용 육종 팽이버섯 등의 유전적 변이를 ITS 및 다양하게 개발된 primer들을 이용한 RAPD 방법으로 분석하여 지역 간 혹은 상업용 품종간의 유전적 유사도와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품종 개발에 활용할 수 있고 유전적 정보와 분자 유전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점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팽이버섯을 가장 많이 육종, 생산, 이용하고 있는 한국, 일본, 중국의 야생 팽이버섯들과 상업용 육종 팽이버섯 등의 유전적 변이를 ITS 및 다양하게 개발된 primer들을 이용한 RAPD 방법으로 분석하여 지역 간 혹은 상업용 품종간의 유전적 유사도와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품종 개발에 활용할 수 있고 유전적 정보와 분자 유전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팽이버섯이란 무엇인가?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은 Tricholomataceae과에 속하는 담자균으로 늦가을부터 이른 봄에 걸쳐 발생하는 겨울버섯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식용버섯의 하나다.
팽이버섯은 세계적으로 몇 종류의 품종이 있는가? 그러나 팽이버섯은 세계적으로 200여 종류의 품종이 있지만 품종들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배육종을 설계 혹은 품종평가를 할 수 있는 분자유전적 보고는 일부분에 불과하다. 한편 유연관계를 밝히고 분자 마커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STS(sequence target site) 등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primer의 개발로 인하여 ITS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등을 이용한 방법[23]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에 따른 성과를 얻고 있다[2,11,16,19].
ITS 염기서열과 RAPD를 이용하여 F. velutipes 29개의 팽이버섯 품종 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velutipes 29개의 팽이버섯 품종 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ITS 부위에서 720 bp의 염기서열을 확인 하였으나 29개의 팽이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16개였으며, 그 중 뚜렸한 다형성을 띄는 primer는 OPA-2,4,3,9,10,20 이었다. 이들 29개 품종에서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모두 3,030개 였으며, DNA 단편의 크기는 200~2,000 bp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3,030개의 scrabble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전체 29개 품종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3.3~45%였고, 특히 한국 야생팽이의 종내 유전적 변이도는 17~38.6%로 품종 간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RAPD 변이에 기초하여 neighbor-joining tree (NJ) 분석에서는 5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cluster는 품종, 지역 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RAPD와 실험을 통해 확인된 OPA, OPB primer의 경우 미확인 팽이품종들을 검색 하는데 분자 유전적 표지 maker로써 이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yun, M. O., W. S. Kong, Y. H. Kim, C. H. You, D. Y. Cha, and D. H. Lee. 1996.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ruitbody color in Flammulina velutipes. Korean J. Mycol. 24, 237-245. 

  2. Cho, K. H., S. Heo, J. H. Kim, I. S. Shim, S. E. Han, S. H. Kim, D. H Kim, and H. R. Kim. 2010.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apple cultivars using RAPD and SSRL makers. Korean J. Breed. Sci. 42, 525-533. 

  3. Chang, H. Y. 2008. SWOT analysis for direction of Korean mushroom industry. Korean J. Mushroom Sci. 6, 63-67. 

  4. Chang, H. Y., C. D. Goo, Y. S. Park, I. S. Ko, and Y. S. Kim. 2010. Approach on the multifunctionality of mushroom. Korean J. Mushroom Sci. 8, 1-5. 

  5. Farris, J. S., V. A. Albert, M. Kallersjo, D. Lipscomb, and A. G.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 99-124. 

  6.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J. Evolution 39, 783-791. 

  7. Lisa, A. W., R. G. Higuchi, S. Mark, A. E. Henry, A. Norman, and C. W. Allan. 1987. Length mutations in human mitochondrial DNA: direct sequencing of enzymatically amplified DNA. Nucleic Acids Res. 15, 529-541. 

  8. Hirashi, A. 1992. Direct automated sequencing of 16S rDNA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rom bacterial cultures without DNA purification. Lett. Appl. Microbiol. 15, 210-213. 

  9. Joh, J. H., K. Y. Kim, J. H. Lim, E. S. Son, H. R. Park, Y. J. Park, W. S. Kong, Y. B. Yoo, and C. S. Lee.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Flammulina velutip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J. Microbiol. Biotechnol. 19, 774-780. 

  10. Tanesaka, E., K. Kinugawa, K. Okabe, Y. Kitamura, M. Ogawa, and M. Yoshida. 2003. Electrophoretic Karyotype of Flammulina velutipes and its variation among monokaryotic progenies. Mycoscience 44, 67-69. 

  11. Kim, J. B. 2004. The base sequence of ITS and genetic variation in sarcodon aspratus. J. Life Sci. 14, 963-966. 

  12. Kong , W. S., C. H. You, Y. B. Yoo, G. H. Kim, and K. H. Kim. 2004. Molecular marker related to fruitbody color of Flammulina velutipes. Mycobiol. 32, 6-10. 

  13. Kong, W. S., D. H. Kim, Y. H. Kim, C. H. You, M. O. Byun, and K. H. Kim. 1997. Genetic variability of Flammulina velutipes monosporous isolates. Korean J. Mycol. 25, 111-120. 

  14. Kong, W. S., C. H. Yoo, D. Y. Cha, D. H. Kim, and K. H. Kim. 1997. Genetic relationship of Flammulina velutipes based on ribosomal DNA and RAPD analysis. RDA. J. Indus. Crop. Sci. 29, 28-40. 

  15. Lee, S. M. 1988. A rapid high yield mini-prep method for isolation of total genomic DNA from fungi. Fungal Genet. Newsl. 35, 23-24. 

  16. Lee, Y. S. 2004. A Studied o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 of Lepista nuda Ph. D.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 gu, Dae gu, Korea. 

  17. Nei, M. 1972.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Amer. Naturalist 106, 283-292. 

  18. Park, W. M., H. G. Ko, R. J. Park, K. S. Hong, and G. H. Kim. 1997. Differentiation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by isozyme polymorphism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DP) analysis. Korean J. Mycol. 25, 176-190 

  19. Lim, S. Y., H. J. Choi, T. S. Ryu, T. R. Kwon, J. K. Choi, and J. K. Son. 2010. Analysis of major traits native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ollected from Poonggi area in Korea using DNA marker. Korean J. Crop. Sci. 55, 253-258. 

  20. Smith, L. M., J. Z. Sanders, R. J. Kaiser, P. Hughes, C. Dodd, C. R. Connell, C. Heiner, S. B. H. Kent, and L. E. Hood, 1986. Fluorescence detecition in automated DNA sequence analysis. Nature 321, 674-679. 

  21. Sneath, P. H. A., and R. R. Sokal. 1973. Numerical taxonomy. pp. 573, W. H. Freeman, San Francisco 

  22. White, T. J., T. Bru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p. 315-322, Academic Press Inc., Sandiego, California. 

  23. Williams, J. G. K., A. R. Kubelik, K. J. Livak, J. A. Rafalski, and S. V. Tingey. 1990. DNA polymorphisms amplified by arbitrary primers and useful as genetic markers. Nucleic Acids Res. 18, 6531-6535. 

  24. Woo, J. R. and J. G. Kim. 2011. Flammuliana velutipes 18S ribosomal RNA,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l, 5.8 S ribosomal RNA,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2, 28S ribosomal RNA, intergenic spacer l, and 5S ribosomal RNA partial sequence. Genebank HQ660197.1. 

  25. Yamada, M., S. Sakuraba, K. Shibata, S. Inatomi, M. Okazaki, and M. Shimosaka. 2005.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coding for a hydrophobin, Fv-hyd1, specifically expressed during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the basidiomycete Flammulina velutip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7, 240-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