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 농도가 어류 병원체 Edwardsiella tarda의 운동성과 편모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on Motility and Expression of Flagellin Genes in the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10 = no.138, 2011년, pp.1487 - 1493  

유종언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박준모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강호영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농도에 따른 E. tarda CK41의 운동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와 3.5%의 염농도를 가지는 운동성 측정 배지에서 집락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운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과 3.5% 염농도 조건에서의 생육도를 측정해본 결과 각 염농도 조건에 따른 생균수의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보아, 높은 염농도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생육정체가 아닌 실질적인 운동성의 차이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염농도에 의한 운동성의 차이가 편모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관찰을 해본 결과, 3.5% 염농도에서는 편모의 형성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E. tarda는 PFAD와 FDP 두개의 편모 유전자를 가지며 이들간의 아미노산 상동률은 93%로 높은 편이다. 편모의 발현양의 확인을 위하여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PFAD를 과발현시키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BP793을 구축하여 대장균 발현시스템으로 발현시켜 정제한 후, 토끼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특이 항체를 제작하였다.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 assay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배양한 E. tarda CK41의 경우 1.0% 염농도에서 보다 반응하는 면역 활성 단백질 밴드가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농도가 높은 해수환경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E. tarda CK41의 편모 단백질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기능적인 편모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예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 어떠한 메카니즘에 의해 염농도가 flagellin의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 tarda, a fish pathogen, can survive in seawater under relatively high salt conditions as well as in fish under physiological salt conditions. Bacterial growth under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may influence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bacterial structure and physiology. The growth r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삼투압에 의한 반응기작은 비단 병원체의 생육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체의 병원성에도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4].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수조건 및 생리적 조건의 염농도에서 E. tarda CK41의 주요한 병원성 인자인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편모에 의한 운동성은 주화성에 의한 방향성을 가지는 운동에 관여할 뿐만아니라 부착과 숙주내 집락형성과정을 비롯한 병원성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다[12].
  • tarda는 편모 구조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완전한 유전자를 염색체내에 가지고 있으며, 유전체 정보 분석 결과 편모 합성 조절자인 FlhDC, class-2 편모 조절자 FliA, 편모의 회전에 필수적인 MotA 단백질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5,9,24]. 본 연구에서는 해수(3.5%)와 숙주내부(0.85%)의 염농도의 차이와 같은 환경조건의 차이가 E. tarda의 병원성 요소들 중 하나인 운동성과 편모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 tarda란? E. tarda는 통성혐기성의 그람 음성의 간균으로 어류에게에드와드증(edwardsiellosis)이라는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20]. E.
E. tarda의 감염 경로와 감염시키는 세포는 무엇인가? E. tarda는 어류의 장 내, 외의 감염을 위한 복잡한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 항문, 장을 통하여 어류에 감염을 하고 상피세포와 대식세포와 같은 다양한 세포로 침투하여 전신성 감염을 유발한다[23,25]. 이러한 전신 감염성 질병의 발병은 type III 또는 VI secretion system (TTSS or T6SS)에 의해 분비되는 hemolysin, chondroitinase 및 effector 단백질과 같은 병원성 인자들과 연관되어 있다[27,28].
E. tarda과 같은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에 있는 표면 구조물의 역할은?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편모, 선모, TTSS와 같은 미생물의 표면 구조물들이 초기 숙주와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침투 및 집락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9,26]. 편모는 어류 병원체인 Edwardsiella tarda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세균에서 운동성을 담당하는 섬유상 부속기관으로 flagell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tinok, I. 2001. Effects of low salinities on Flavobacterium columnare infection of euryhaline and freshwater stenohaline fish. J. Fish. Dis. 24, 361-367 

  2. Attridge, S. R. and D. Rowley. 1983. The role of the flagellum in the adherence of Vibrio cholerae. J. Infect. Dis. 147, 864-872. 

  3. Bertani, G. 1951. Studies on lysogenesis I.: The mode of phage liberation by lysogenic Escherichia coli. J. Bacteriol. 62, 293-300. 

  4. Bhagwat, A. A., W. Jun, L. Liu, P. Kannan, M. Dharne, B. Pheh, B. D. Tall, M. H. Kothary, K. C. Gross, S. Angle, J. Meng, and A. Smith. 2009. Osmoregulated periplasmic glucan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re required for optimal virulence in mice. Microbiology 155, 229-237. 

  5. Blair, D. F., and H. C. Berg. 1990. The MotA protein of E. coli is a proton-conducting component of the flagellar motor. Cell 60, 439-449. 

  6. Chhabra, G., T. Upadhyaya, and A. Dixit. 2011. Molecular cloning, sequence analysis and structure modeling of OmpR, the response regulator of Aeromonas hydrophila. Mol. Biol. Rep. Published online. 

  7. Chng, C. P. and A. Kitao. 2008. Thermal unfolding simulations of bacterial flagellin: insight into its refolding before assembly. Biophys. J. 94, 3858-3871. 

  8. Chowdhury, M. B. R. and H. Wakabayashi. 1990. Survival of four major bacterial fish pathogens in different types of experimental water. Banglad. J. Microbiol. 7, 47-54. 

  9. Clarke, M. B. and V. Sperandio. 2005.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flhDC by QseBC and sigma (FliA) in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Mol. Microbiol. 57, 1734-1749. 

  10. Decostere, A. and F. Haesebrouck. 1999. Influence of water quality and temperature on adhesion of high and low virulence Flavobacterium columnare strains to isolated gill arches. J. Fish. Dis. 22, 1-11. 

  11. Gao, H., Y. Zhang, Y. Han, L. Yang, X. Liu, Z. Guo, Y. Tan, X. Huang, D. Zhou, and R. Yang. 2011. Phenotypic and transcriptional analysis of the osmotic regulator OmpR in Yersinia pestis. BMC Microbiol. 11, 39. 

  12. Graf, J., P. V. Dunlap, and E. G. Ruby. 1994. Effect of transposon-induced motility mutations on colonization of the host light organ by Vibrio fischeri. J. Bacteriol. 176, 6986-6991. 

  13. Kodama, H., T. Murai, and Y. Nakanishi. 1987. Bacterial infection which produces high mortality in culture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Hokkaido. Jpn. J. Vet. Res. 35, 227-234. 

  14. Samatey, F. A., K. Imada, S. Nagashima, F. Vonderviszt, T. Kumasaka, M. Yamamoto, and K. Namba. 2001. Structure of the bacterial flagellar protofilament and implications for a switch for supercoiling. Nature 410, 331-337. 

  15. Sambrook, J. and D. William Russell. 2001. Molecular Cloning, 3rd eds. CSHL Press, New York. 

  16. Shoemaker, C. A., P. H. Klesius, C. Lim, and M. Yildirim. 2003. Feed deprivation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Rafinesque), influences organosomatic indices, chemical composition and susceptibility to Flavobacterium columnare. J. Fish. Dis. 26, 553-561. 

  17. Steinum, T., A. Kvellestad, D. J. Colquhoun, M. Heum, S. Mohammad, R. N. Grøntvedt, and K. Falk. 2010. Microbial and pathological findings in farm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with proliferative gill inflammation. Dis. Aquat. Org. 91, 201-211. 

  18. Sun, M., M. Wartel, E. Cascales, J. W. Shaevitz, and T. Mignot. 2011. Motor-driven intracellular transport powers bacterial gliding motility. Proc. Natl. Acad. Sci. USA 108, 7559-7564. 

  19. Tan, Y. P., J. Zheng, S. L. Tung, I. Rosenshine, and K. Y. Leung. 2005. Role of type III secretion in Edwardsiella tarda virulence. Microbiology 151, 2301-2313. 

  20. Thune, R., L. Stanley, and R. Cooper. 1993. Pathogenesis of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in warmwater fish. Annu. Rev. Fish. Dis. 3, 37-68. 

  21. Towbin, H., T. Staehelin, and J. Gordon. 1992. Electrophoretic transfer of proteins from polyacrylamide gels to nitrocellulose sheets: procedure and some applications. Biotechnology 24, 145-149. 

  22. Tremblay, J., and E. Deziel. 2010. Gene expression in Pseudomonas aeruginosa swarming motility. BMC Genomics 11, 587. 

  23. Wang, I. K., H. L. Kuo, Y. M. Chen, C. L. Lin, H. Y. Chang, F. R. Chuang, and M. H. Lee. 2005.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of Edwardsiella tarda infection. Int. J. Clin. Pract. 59, 917-921. 

  24. Wang, Q., M. Yang, J. Xiao, H. Wu, X. Wang, Y. Lv, L. Xu, H. Zheng, S. Wang, G. Zhao, Q. Liu, and Y. Zhang. 2009. Genome sequence of the versatile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provides insights into its adaptation to broad host ranges and intracellular niches. PLoS ONE. 4, e7646. 

  25. Wang, X., Q. Wang, J. Xiao, Q. Liu, H. Wu, L. Xu, and Y. Zhang. 2009. Edwardsiella tarda T6SS component evpP is regulated by esrB and iron, and plays essential roles in the invasion of fish. Fish Shellfish Immunol. 27, 469-477. 

  26. Wong, J. D., M. A. Miller, and J. M. Janda. 1989. Surface properties and ultrastructure of Edwardsiella species. J. Clin. Microbiol. 27, 1797-1801. 

  27. Xiao, J., Q. Wang, Q. Liu, L. Xu, X. Wang, H. Wu, and Y. Zhang. 2009. Characterization of Edwardsiella tarda rpoS: effect on serum resistance, chondroitinase activity, biofilm formation, and autoinducer synthetases express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83, 151-160. 

  28. Zheng, J., S. L. Tung, and K. Y. Leung. 2005. Regulation of a type III and a putative secretion system in Edwardsiella tarda by EsrC is under the control of a two-component system, EsrA-EsrB. Infect. Immun. 73, 4127-4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