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발광법에 의한 수용액 중의 선택적 수은(II) 이온 정량
Selective determination of mercury (II) ion in aqueous solution by chemiluminescence method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4 no.4, 2011년, pp.243 - 248  

김경민 (경북대학교 화학과) ,  장택균 (경북대학교 화학과) ,  김영호 (경북대학교 차세대에너지기술연구소) ,  오상협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기환경표준센터) ,  이상학 (경북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luminol-$H_2O_2$)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을 선택적으로 정량분석 하였다. 루미놀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에서 촉매작용을 하는 구리(II), 철(III), 크롬(III) 이온 등 다양한 금속이온의 농도를 정량분석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은(II) 이온이 루미놀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에서 다른 금속이온과 같이 촉매작용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수용액 중 수은(II) 이온의 정량분석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시간, pH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은이온이 갖는 1가와 2가 산화수 중에서 수은(I) 이온은 루미놀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에 있어서 촉매작용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반응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수은(I)과 수은(II) 이온이 공존하는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의 분석과정에서 수은(I) 이온의 방해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만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과와 함께 화학발광분석법과 ICP분석법으로부터 얻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수은 이온의 산화수별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의 최적 분석조건 하에서, 수용액 중의 선택적 수은(II) 이온의 정량분석을 위해 얻은 검정곡선에서 직선성이 성립하는 농도범위는 $1.25{\times}10^{-5}{\sim}2.50{\times}10^{-3}M$이며, 이때 상관계수는 0.991이고, 검출한계$1.25{\times}10^{-7}M$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lective determination method of mercury (II) ion in aqueous solution by luminol-based chemiluminescence system (luminol CL system) has been developed. Determination of metal ions such as copper (II), iron (III), chromium (III) ion in solution by the luminol CL system using its catalytic rol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luminol-H2O2)에서 수은(II) 이온이 촉매작용을 하여 화학발광 세기가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고,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 정량분석을 위한 최적 분석조건을 구하기 위해서 화학발광에 영향을 미치는 루미놀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시간, 최적농도, pH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은(II) 이온의 선택적 정량을 위한 수은(I) 이온의 방해작용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의 최적 반응 조건 하에서 극미량 수은(II) 이온 정량분석을 위한 검정곡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발광에 의한 방출 스펙트럼은 어떤 범위에서 측정하였는가? 화학발광에 의한 방출 스펙트럼 측정과 데이터 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방출 스펙트럼은 350~530 nm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각 수은(II) 이온 농도별로 측정된 스펙트럼에서의 화학발광세기는 스펙트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가 위치하는 42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이 때의 신호세기로 검정곡선을 도식하였다.
무엇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을 선택적으로 정량분석하였는가? 루미놀 화학발광 시스템(luminol-$H_2O_2$)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수은(II) 이온을 선택적으로 정량분석 하였다. 루미놀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에서 촉매작용을 하는 구리(II), 철(III), 크롬(III) 이온 등 다양한 금속이온의 농도를 정량분석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은을 정량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는? 미량의 수은을 선택적으로 정량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분리·분석법에 대한 연구가 지난 이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은을 정량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는 colorimetry13, cold vap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CV-AAS)14, 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ry15, microwave-induced plasma coupled with cold-vapor method (CV-MIP)16, neutron activation analysis17,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18, electrometry19,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20-21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형광발광법에 기반한 quantum dots22이나 optical chemical sensor23를 이용하여 수은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분석방법 중에서 형광발광법은 형광 전구체를 들뜨게 만드는 광원과 단색화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소형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 H. Sipple and J. Swartout, 'Mercury study report to Congress', Vol 5,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997. 

  2. C. Baird and M. Cann, 'Environmental chemistry', 3rd Ed., W. H. Freeman & company, New York, 2004. 

  3. M. Gochfeld, Ecotox. Environ. Safety, 56(1), 174-179 (2003). 

  4. C. Anthony, Water Air Soil Poll., 98(2), 241-254 (1997). 

  5. Y. Wu, S. Wang, D. Streets, J. Zhao, M. Chen and J. Jiang, Environ. Sci. Technol., 40, 5312-5318 (2006). 

  6. D. Streets, J. Hao, Y. Wu, J. Jiang, M. Chan, H. Tian and X. Feng, Atmos. Environ., 39, 7789-7806 (2005). 

  7. M. S. Landis, G. J. Keeler, K. I. Al-Wali and R. K. Stevens, Atmos. Environ., 38, 613-622 (2004). 

  8. WHO-IPC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http://www.inchem.org/documents/ehc/ehc/ehc101.htm#PartNumber:10 

  9. P. B. Tchounwou, W. K. Ayensu, N. Ninashvili and D. Sutton, Environ. Toxicol., 18(3), 149-175 (2003). 

  10. H. A. Young, D. A. Geier and M. R. Geier, J. Neurol. Sci., 271(1), 110-118 (2008). 

  11. G. A. Westpha, S. Asgari, T. G. Schulz, J. Bunger, M. Muller and E. Hallier, Arch. Toxicol., 77(1), 50-55 (2003). 

  12. A. Cebulska-Wasilewska, A. Panek, Z. Zabinski and P. Moszczynski, Mutat. Res., 586, 102-114 (2005). 

  13. N. Strafford and P. F. Wyatt, Analyst, 61, 528-535 (1936). 

  14. H. Smith, Anal. Chem., 35, 635-636 (1963). 

  15. J. D. Winefordner and R. A. Staab, Anal. Chem., 36(7), 1367-1369 (1964). 

  16. K. Tanabe, K. Chiba, H. Haraguchi and K. Fuwa, Anal. Chem., 53, 1450-1453 (1981). 

  17. J. Tolgyessy and E. H. Klehr, 'Nuclear Environmental Chemical Analysis', Wiley, New York, 1987. 

  18. A. Stroh, U. Voellkopf, E. R. Denoyer, J. Anal. At. Spectrom., 7, 1201-1206 (1992). 

  19. J. D. Winefordner and T. J. Vickers, Anal. Chem., 36, 161-168 (1964). 

  20. B. Aizpun, M. L. Fernandez, E. Blanco and A. Sanz-Medel, J. Anal. At. Spectrom., 9(11), 1279-1284 (1994). 

  21. J. Qvarnstrom, Q. Tu, W. Frech and C. Ludke, Analyst, 125(6), 1193-1197 (2000). 

  22. H. Li, Y. Zhang and X. Wang, Microchim. Acta., 160, 119-123 (2008). 

  23. M. Yuan and Y. Li, Org. Lett., 9(12), 2313-2316 (2007). 

  24. I. P. A. Morais, I. V. Toth and O. S. S Gangel, Talanta, 66(2), 341-347 (2005). 

  25. A. M. Powe, S. Das, M. Lowry, B. El-Zahab, S. O. Fakayode, M. L. Geng, G. A. baker, L. Wang, M. E. McCarroll, G. Patonay, M. Li, M. Aljarrah, S. Neal and I. M. Warner, Anal. Chem., 82(12), 4865-4894 (2010). 

  26. C. Xiao, D. A. Palmer, D. J. Wesolowski, S. B. Lovitz and D. W. King, Anal. Chem., 74(9), 2210-2216 (2002). 

  27. J. C. Miller and J. N. Miller, 'Statistics for Analytical Chemistry', 2nd Ed., Ellis Horwood, Chichester, England, 1988. 

  28. Z. Zhang, S. Zhang and X. Zhang, Analytica. Chimica. Acta., 541(1-2), 37-47 (2005). 

  29. J. P. Auses, S. L. Cook and J. T. Maloy, Anal. Chem., 47, 244-249 (1975). 

  30. X. F. Wang and L. Andrews, Inorg. Chemi., 44(1), 108-11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