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표면처리된 AlPO4에 대한 납 이온의 흡착 거동 분석
Analysis of adsorption behavior of lead ion on to surface modified AlPO4 material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4 no.4, 2011년, pp.275 - 281  

김용호 (공주대학교 화학과) ,  길현석 (공주대학교 화학과) ,  강광철 ((주)마이크로필터) ,  최석남 (공주대학교 화학과) ,  이석우 (공주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제 제조시설 폐수의 유기물을 틀로 하여 $Al(OH)_3$$H_3PO_4$의 반응으로 $AlPO_4$-계 물질을 합성하였다. 소성된 $AlPO_4$-계 물질을 APTMS, 석신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표면을 카르복실기로 바꾸었다. 분말 XRD 결과, 특징적인 $AlPO_4$-계 물질의 패턴을 얻었으며, 물질의 형태는 SEM으로 조사하였고, 작용기FT-IR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증류수에 분산시킨 고체의 표면 전위 측정 결과, $AlPO_4-NH_2$는 양의 표면 전하를 갖는 반면, $AlPO_4$-COOH는 음의 표면 전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된 $AlPO_4$-계 물질을 이용하여 수용액에서 유해 중금속의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납 이온은 표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와 착물을 형성하며 물질에 흡착되었고, 흡착 분배계수는 91.1 mL/g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찰한 $AlPO_4$-계 물질은 수환경에서 유해 중금속 이온의 제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PO_4$-type material was synthesized by a reaction of $Al(OH)_3$ and H3PO4 with organic templates from wastewater of detergent manufacturer. The surface of material was coated with carboxylate groups by the reaction of succinic anhydride with surface amino groups which were 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를 도입하였으며, 석신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COOH 작용기를 도입하여 특성을 규명하였다. 최종적으로 고체 표면에 도입된 카르복실산과 수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납 이온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제조된 물질에 의한 납 이온의 흡착 및 제거 특성을 평가하여 폐자원의 재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 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제조 시설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계면활성제, 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제조 시설은 각종 형태의 비누 및 원료상태의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및 합성세제, 두발용 조제품, 인체방향성 제품,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조제품 및 기타 화장품, 치약 및 구강위생용품, 실내방향제품 및 방취제품, 표면광택제 및 조제왁스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지칭한다.1 세제 제조시설에서 사용하는 주원료들은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sodium salt of linear alpha olefin sulphonate (AOS), linear alkybenzenesulfonate (LAS), dimethyl lauryl amine oxide (AO), ole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trimethylamine (TEA) 등이 있고, 섬유유연제용으로 tetraalkylammonium salt 등이 포함되며, 치약의 제조 공정에서 연마제로 사용되는 실리카와 죽염의 NaCl 등이 포함된다.
세제 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어떻게 처리되는가? 세제 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뒤 최종적으로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방류한다.1 집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중화반응, 응집, 가압부상과정을 거쳐 처리하며, 생물학적 처리 후 고도처리인 모래여과 및 활성탄여과를 병행하고 있다. 치약 제조시설의 경우에는 세제 제조시설에 비해 비교적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폐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치약 제조시설의 폐수처리는 주로 물리 · 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후 필요시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한다. 폐수를 집수조에 집수한 후 중화조에서 중화시켜 응집침전 후 부상분리 또는 가압부상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폭기조를 설치하고,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를 한다. 필요시 여과 등의 후속처리를 실시한다. 부산물인 고형슬러지는 탈수 후 소각 또는 매립처리 된다.
세제 제조시설에서 사용하는 주원료들은 무엇인가? 계면활성제, 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제조 시설은 각종 형태의 비누 및 원료상태의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및 합성세제, 두발용 조제품, 인체방향성 제품,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조제품 및 기타 화장품, 치약 및 구강위생용품, 실내방향제품 및 방취제품, 표면광택제 및 조제왁스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지칭한다.1 세제 제조시설에서 사용하는 주원료들은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sodium salt of linear alpha olefin sulphonate (AOS), linear alkybenzenesulfonate (LAS), dimethyl lauryl amine oxide (AO), ole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trimethylamine (TEA) 등이 있고, 섬유유연제용으로 tetraalkylammonium salt 등이 포함되며, 치약의 제조 공정에서 연마제로 사용되는 실리카와 죽염의 NaCl 등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2. S. T. Wilson, B. M. Lok, C. A. Messina, T. R. Cannan and E. M. Flanigen, J. Am. Chem. Soc., 104(4), 1146-1147 (1982). 

  3. Y. Wan, C. D. Williams, J. J. Cox and C. V. A. Duke, Green Chem., 1(3), 169-171 (1999). 

  4. M. E. Davis and R. F. Lobo, Chem. Mater., 4(4), 756-768 (1992). 

  5. I. Braun, G. Schulz-Ekloff, D. Wohrle and W. Lautenschlager, Micropor., Mesopor. Mat., 23(1-2), 79-81 (1998). 

  6. T. Kodaira, K. Miyazawa, T. Ikeda and Y. Kiyozumi, Micropor. Mesopor. Mat., 29(3), 329-337 (1999). 

  7. J. H. Park, S. H. Park and S. H. Jhung, J. Kor. Chem. Soc., 53(5), 553-559 (2009). 

  8. B. V. S. Kumar, K. Byrappa, K. M. L. Rai, M. K. Devaraju, M. S. V. Kumar and C. Ranganathaiah, Ind. J. Chem., 46A(1), 86-90 (2007). 

  9. A. Ulman, Chem. Rev., 96(4), 1533-1554 (1996). 

  10. N. L. Jeon, K. Finnie, K. Branshaw and R. G. Nuzzo, Langmuir, 13(13), 3382-3391 (1997). 

  11. A. Suwalski, H. Dabboue, A. Delalande, S. F. Bensamoun, F. Canon, P. Midoux, G. Saillant, D. Klatzmann, J.-P. Salvetat and C. Pichon, Biomaterials, 31(19), 5237-5245 (2010). 

  12. Y. An, M. Chen, Q. Xue and W. Liu, J. Colloid Interface Sci., 311(2), 507-513 (2007). 

  13. J. M. Cervantes-Uc, J. V. Cauich-Rodriguez, H. Vazquez-Torres, L. F. Garfias-Mesias and D. R. Paul, Thermochim. Acta, 457(1-2), 92-102 (2007). 

  14. N. Huang and J. Wang, J. Anal. Appl. Pyrolysis, 84(2), 124-130 (2009). 

  15. J. M. Hwu, G. J. Jiang, Z. M. Gao, W. Xie, and W. P. Pan, J. Appl. Polym. Sci., 83(8), 1702-1710 (2002). 

  16. H. Ren and F. Xin, Catal. Commun., 7(11), 848-854 (2006). 

  17. D. Chakrabortty, J. N. Ganguli and C. V. V. Satyanarayana, Micropor. Mesopor. Mat., 137(1-3), 65-71 (2011). 

  18. D. L. Pavia, G. M. Lampman, G. S. Kriz and J. R. Vyvyan, "Introduction to Spectroscopy", 4th Ed., pp. 15-86, Brooks/Cole, Cengage Learning, Belmont, U.S.A., 2009. 

  19. W. Mekky and P. S. Nicholson, J. Mater. Proc. Technol., 190(1-3), 393-396 (2007). 

  20. Y. Ma, N. Li and S. Xiang, Micropor. Mesopor. Mat., 86(1-3), 329-334 (2005). 

  21. N. Venkatathri, Mater. Lett., 58(1-2), 241-244 (2003). 

  22. E.-P. Ng, L. Delmotte and S. Mintova, Green Chem., 10(10), 1043-1048 (2008). 

  23. D. A. Kron, B. T. Holland, R. Wipson, C. Maleke and A. Stein, Langmuir, 15(23), 8300-8308 (1999). 

  24. B. Parlitz, U. Lohse and E. Schreier, Micropor. Mater., 2(3), 223-228 (1994). 

  25. M. I. Goller, C. Barthet, G. P. McCarthy, R. Corradi, B. P. Newby, S. A. Wilson, S. P. Armes and S. Y. Luk, Colloid. Polym. Sci., 276(11), 1010-1018 (1998). 

  26. T. U. Aualiitia and W. E. Pickering, Talanta, 34(2), 231-237 (1987). 

  27. A. Chadlia, K. Mohamed, L. Najah and M. M. Farouk, J. Hazard. Mater., 172(2-3), 1579-1590 (2009). 

  28. O. Karnitz Jr., L. V. A. Gurgel, J. C. Perin de Melo, V. R. Botaro, T. M. S. Melo, R. P. F. Gi and L. F. Gil, Biores. Technol., 98(6), 1291-129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