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 전동차 객실에서의 PM10 오염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PM10 in the Subway Passenger Cabins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5, 2011년, pp.523 - 533  

오미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박덕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박은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d the aim of characteristics of $PM_{10}$ in subway cabins. $PM_{10}$ was measured by times of day (rush and non rush hours) and seasons with real time $PM_{10}$ sampler on the subway cabins of line 7. Filter samples were collected for evaluation of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그 화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이 완료된 시료를 수용모델(receptor model)에 적용하여 전동차 객실 내부 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동차 공기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동차 내 쾌적한 실내공기질 개선 방안 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전동차 객실 내부의 미세먼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지하철 노선 중 7호선을 대상으로 PM10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그 화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이 완료된 시료를 수용모델(receptor model)에 적용하여 전동차 객실 내부 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전동차 객실 내부의 미세먼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철 7호선 전동차 객실을 대상으로 2009년 봄철과 2010년 봄, 여름, 가을, 겨울철, 혼잡시간대 및 비혼잡 시간대로 구분하여 PM10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시료에 대한 성분 분석을 통해 그 화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이 완료된 시료를 PMF를 적용하여 전동차 객실 내부 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 내 미세먼지의 발생경로는 어떻게 되는가? 미세먼지는 지하철의 주요 오염물질로서 열차의 운행, 승객들의 이동, 환기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등 다양한 경로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 연구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질병률 및 사망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체 위해성이 높고 체감 오염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승객 및 작업자들과 지하철역 주변 지하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오염물질에 장기간 노출 시 건강상의 위해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지하철은 대부분 밀폐된 지하공간이라는 입지 조건에 근거를 두고 있어 지상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공공건물의 실내보다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수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사람들에 의해 유입되거나 지하철역 내부 공간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지하철 승객 및 작업자들과 지하철역 주변 지하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오염물질에 장기간 노출 시 건강상의 위해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Kim et al.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과 건강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미세먼지는 지하철의 주요 오염물질로서 열차의 운행, 승객들의 이동, 환기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등 다양한 경로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 연구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질병률 및 사망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체 위해성이 높고 체감 오염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일반 대기 중에서의 농도보다 비교적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독성이 크기 때문에(Nieuwenjuijs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dams, H.S., M.J. Nieuwenhuijsen, R.N. Colvile, M.A. McMullen, and P. Khandelwal (2001) Fine particle (PM2.5) personal exposure levels i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London, UK.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79(1-3), 29-44. 

  2. Brains, M., L. Rezacova, and M. Domasova (2005)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PM_{10}$ , $PM_{2.5}$ and $PM_1$ in a classroom, Environ. Res., 99, 143. 

  3. Brains, M. (2006) The contribution of ambient sources to particulate pollution in spaces and trains of the Prague underground transport system, Atmospheric Environment, 40, 348-356. 

  4. Bukowiecki, N., R. Gehrig, M. Hill, P. Lienemann, C.N. Zwicky, B. Buchmann, E. Weingartner, and U. Baltensperger (2007) Iron, mangamese and copper emitted by cargo and passenger trains in Zurich (Switzerland): Size-segregated mas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Atmospheric Environment, 41, 878-889. 

  5. Campbell, S.W., M.C. Evans, and N.D. Poor (2002) Predictions of size-resolved aerosol concentrations of ammonium, chloride and nitrate at a bayside site using EQUISOLV II, Atmospheric Environment, 36(27), 4299-4307. 

  6. Chan, L.Y., W.L. Lau, S.C. Lee, and C.Y. Chan (2002) Commuter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in public transportation modes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6, 3363-3373. 

  7. Chillrud, S.N., D. Epstein, J.M. Ross, S.N. Sax, D. Pederson, J.D. Spengler, and P.L. Kinney (2004) Elevated airborne exposures of teenagers to manganese, chromium, and iron from steel dust and New York City's subway system,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8, 732-737. 

  8. Fromme, H., D. Twardella, S. Dietrich, D. Heitmann, R. Schierl, B. Liebl, and H. Ruden (2007) Particulate matter in the indoor air of classrooms-exploratory results from Munich and surrounding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41, 854-866. 

  9. Funasaka, K., M. Sakai, M. Shinaya, T. Miyazaki, T. Kamiura, S. Kaneco, K. Ohta, and T. Fujita (2003) Size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inorganic particles by regional comparative study in urban Osaka,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37, 4597-4650. 

  10. Gehrig, R., M. Hill, P. Lienemann, C.N. Zwicky, N. Bukowiecki, E. Weingartner, U. Baltensperger, and B. Buchmann (2007) Contribution of railway traffic to local $PM_{10}$ concentrations in Switzerland, Atmospheric Environment, 41(5), 923-933. 

  11. Han, J.S., K.J. Moon, S.J. Lee, Y.J. Kim, S.Y. Ryu, S.S. Cliff, and S.M. Yi (2006) Size-resolved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particles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t Gosan background site in East Asi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 211-223. 

  12. Hwang, I.J., T.O. Kim, and D.S. Kim (2001) Source identification of PM-10 in Suwon using the method o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7(2), 133-145. 

  13. Johansson, C. and P.A. Johansson (2003) Particulate matter in the underground of Stockholm, Atmospheric Environment, 37, 3-9. 

  14. Kang, S.N., H.J. Hwang, Y.M. Park, H.K. Kim, and C.U. Roh (2008) Chemical compositions of subway particles in Seoul, Korea determined by a quantitative single particle analysi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 9051-9057. 

  15. Karlsson, H.L., L. Nilsson, and L. Moller (2005) Subway particles are more genotoxic than street particles and induce oxidative stress in cultured human lung cells,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18, 19-23. 

  16. Khoder, M.I. (2002) Atmospheric conversion of sulfur dioxide to particulate sulfate and nitrogen nitric acid in an urban area, Chemosphere, 49, 675-684. 

  17. Kim, E., P.K. Hopke, and Y. Qin (2005) Estimation of organic carbon blank values and error structures of the speciation trend network data for source apportionment, Air and Waste Manage. Assoc., 55, 1190-1199. 

  18. Kim, E., T.V. Larson, P.K. Hopke, C. Slaughter, L.E. Sheppard, and C. Claibom (2003) Source identification of $PM_{2.5}$ in an arid Northwest U.S. City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tmospheric Research, 66, 291-305. 

  19. Kim, J.K. and N.W. Paik (2004) Characteristics on airborne particle in subway of Seoul city, Korea J. of Env. Health., 30(2), 154-160. 

  20. Kim, K.Y., J.B. Park, C.N. Kim, and K.J. Lee (2006) Assessment of airborne bacteria and particulate matters distributed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Kor. J. of Env. Health., 32(4), 254-261. 

  21. Lee, E., C.K. Chan, and P. Paatero (1999) Application o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in source apportionment of particulate pollutants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3(19), 3201-3212. 

  22. Lee, J.H., Y. Youshida, B.J. Turpin, P.K. Hopke, R.L. Poirot, P.J. Lioy, and J.C. Oxley (2002) Identification of sources contributing to Mid-Atlantic regional aerosol, Air & Waste Manage. Assoc., 52(10), 1186-1205. 

  23. Lee, T.J., J.S. Kim, S.D. Kim, and D.S.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a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before/after installing platform screen do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5), 543-553. 

  24. Li, T.T., Y.H. Bai, Z.R. Liu, J.F. Liu, G.S. Zhang, and J.L. Li (2006) Air quaility in passenger cars of the ground railway transit system Beijing, China,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67, 89-95. 

  25. Nieuwenjuisen, M.J., J.E. Gomez-Perales, and R.N. Colvile (2007) Level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its elemental composition, determinants and health effects in metro systems, Atmospheric Environment, 41, 7995-8006. 

  26. Oh, M.S., T.J. Lee, and D.S. Kim (2009) Source identification of ambient size-by-size particulate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 on the border of Yongin and Suw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2), 108-121. 

  27. Paatero, P. and U. Tapper (1994)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 non-negative factor model with optimal utilization of error estimates of data values, Environmetrics, 5, 111-126. 

  28. Park, D.S., Y.M. Cho, C.K. Lee, and B.H. Park (2004) Study on the quality of air inside tun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8, 363-364. 

  29. Park, D.U. and K.C. Ha (2008) Characteristics of $PM_{10}$ , $PM_{2.5}$ , $CO_2$ and CO monitored in interiors and platforms of subway train in Seoul, Korea, Environment International, 34(5), 629-634. 

  30. Paterson, K.G., J.L. Sagady, D.L. Hooper, S.T. Bertman, M.A. Carroll, and P.B. Shepson (1999) Analysis of air quality data using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Environ. Sci. & Technol., 33(4), 635-641. 

  31. Polissar, A.V., P.K. Hopke, P. Paatero, W.C. Malm, and J.F. Sisler (1998) Atmospheric aerosol over Alaska, 2. Elemental composition and sources, J. of Geophysical Research, 103(D15), 19045-19057. 

  32. Pope, C.A., D.V. Bates, and M.E. Raizenne (1995)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time for reassessment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03, 472-480. 

  33. Seaton, A., J. Cherrie, M. Dennekamp, K. Donaldson, J.F. Hurley, and C.L. Tran (2005) The London underground: dust and hazards to health,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2, 355-362. 

  34. Seoul (2009) http://stat.seoul.go.kr 

  35.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2010). 

  36. http://www.smrt.co.kr/Intro/General/General_state.jsp 

  37. http://www.smrt.co.kr/News/Library/Library_usable_view.jsp 

  38. Sitzmann, B., M. Kendall, J. Watt, and I. Williams (1999) Characterisation of airborne particles in London by commuter-controll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41(1-3), 63-73. 

  39. Song, X.H., A.V. Polissar, and P.K. Hopke (2001) Source of fine particle composition in the northeastern US, Atmospheric Environment, 35(31), 5277-5286. 

  40. Wilson, W.E., J.C. Chow, C. Claiborn, W. Fusheng, J. Engelbrecht, and J.G. Watson (2002)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 outdoors, Chemosphere, 49, 1009-1043. 

  41. Zhao, W., P.K. Hopke, G. Noris, R. Williams, and P. Paatero (2006) Source apportionment and analysis on ambient and personal exposure samples with a combined receptor model and adaptive blank estimation strategy, Atmospheric Environment, 40, 3788-38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