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지 덱스트린 첨가가 냉동 소프트롤 반죽 및 빵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ched Dextr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Soft Roll Dough and its Bread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7 no.5, 2011년, pp.507 - 522  

박진희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소재솔루션센터) ,  임춘선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소재솔루션센터) ,  김일환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소재솔루션센터) ,  김문용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소재솔루션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amples of wheat flour and dough were prepared by adding of 1, 3, or 5% branched dextrin, which is produced from the amylopectin of waxy corn starch using a cyclization reaction with a branching enzyme. The samples were then evaluated qualitatively in terms of farinogram, viscogra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냉동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Han IJ 등(2007)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실온에서 중심온도가 20℃가 되도록 2시간 30분 해동한 후 반죽 20 g을 취해 100 mL의 메스실린더에 넣고 상부의 표면을 평평하게 한 후 2차 발효 조건인 온도 35℃, 상대습도 80%의 발효기에서 90분 동안 10분마다 9번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 Ltd, Dui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AACC 54-10(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00 g의 시료와 6 g의 소금을 사용하였고, 물의 양은 farinogram 흡수량보다 2% 적게 하였으며, 3분 동안 반죽을 한 다음 5분간 방치하고 다시 2분간 반죽을 하면서 farinogram의 중심이 500 BU에 도달하도록 흡수량을 조절하였다. 반죽이 끝난 다음 150±1 g로 분할한 후 라운더에서 20번 둥들리기 하고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30℃ 항온조에서 45분간 방치한 후 측정하였다.
  • Ltd, Dui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AACC 22-10(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65 g의 시료를 450 mL 증류수에 현탁시켜서 보울에 넣고, 현탁액을 1분간 1.5℃의 비율로 25℃에서 95℃까지 가열시키면서 값을 측정하였다.
  • Extensogram은 -20℃에 4주간 저장한 150 g 냉동 반죽을 실온에서 중심온도가 20℃가 되도록 3시간 해동한 후 extensograph를 이용하여 150 g의 반죽을 라운더에서 20번 둥들리기 하고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30℃ 항온조에서 45분간 방치한 후 측정하였다.
  • 관능검사는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연구원 10명을 패널로 선정하여 기본 역치 테스트 및 실험 목적을 숙지시켜 훈련 시킨 후 9점 척도법(9 point likert scale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기호도의 평가 항목은 부피(volume), 색상(color), 부드러움(softness), 맛(taste), 전반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로서 매우 많이 좋다 : 9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 5점, 매우 많이 싫다: 1점으로 나타내었고, 특성강도의 평가항목은 겉껍질 색상(crust color), 단맛(sweetness), 이취(off-flavor)를 매우 많이 강하다 : 9점, 보통이다 : 5점, 매우 많이 약하다 : 1점으로 나타내었다.
  • 시료의 준비 및 제시는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1일간 저장한 후 1인분 분량을 10 g으로 정하여 흰 플라스틱 접시에 담아서 제공하였다. 관능검사에 참여한 연구원은 나이와 성별 등을 기록하고 각 시료는 물컵, 시료를 뱉는 컵과 정수기에서 받은 물을 시료 사이에 제공하며, 검사 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총 검사시간은 15~20분 이내로 실시하였다.
  • 소프트롤 빵의 무게와 부피는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1일간 저장한 후 무게는 저울로 측정하였고, 부피는 부피측정기(Volscan Profiler, Stable Micro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비용적(mL/g)으로 나타내었다. 굽기 손실률의 측정은 굽기 전의 중량과 구운 후의 중량 차이로 굽기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 제조된 반죽은 플로어 타임(floor time)없이 150 g 3개(extensogram 분석)와 35 g 40개(빵 품질 분석)로 분할하여 둥글리기 한 후 평철판에 배열하여 -35℃의 급속 냉동고(RXP 4-D, Panem, France)에서 중심온도를 -15℃까지 40분간 냉동시킨 후 polyethylene bag에 덕용포장하여 -20℃의 냉동저장고(RXP 4-D, Panem, France)에서 온도변화 없이 4주간 저장하였다. 냉동 반죽을 평철판에 12개씩 배열하여 냉동 반죽의 중심온도를 20℃가 되도록 2시간 30분 해동한 후 둥글리기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중간 발효(bench time)시킨 다음 다시 둥글리기 하여 가스를 뺀 후 평철판에 다시 배열하였다. 발효기(FPC 3HR, Panem, France)에서 60분간 발효(온도 38℃, 상대습도 80%)한 후 윗불 210℃, 아랫불 170℃로 예열된 오븐(Type CO 4.
  • 냉동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Han IJ 등(2007)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실온에서 중심온도가 20℃가 되도록 2시간 30분 해동한 후 반죽 20 g을 취해 100 mL의 메스실린더에 넣고 상부의 표면을 평평하게 한 후 2차 발효 조건인 온도 35℃, 상대습도 80%의 발효기에서 90분 동안 10분마다 9번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찰옥수수 전분을 브랜칭엔자임으로 처리하여 분지 덱스트린을 제조하였고, 1, 3, 5%(w/w) 첨가한 혼합분 및 반죽의 특성인 farinogram, extensogram, viscogram, 냉동 소프트롤 반죽의 -20℃에서 4주 냉동 후 발효 팽창력 및 extensogram, 빵의 비용적, 굽기 손실률, 외·내부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분지 덱스트린이 냉·해동 안정성 및 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빵을 20℃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함량, 수분 활성도, 색도 및 조직감의 변화를 분석하여 신선도와 품질 유지에 관계하는 노화방지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분지 덱스트린의 냉동 반죽 및 빵에서의 냉·해동 안정제 및 노화 억제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밀가루의 흡수율은 밀의 종류, 밀가루의 입도, 손상 전분 및 단백질의 양에 영향을 받으며(Bae JH 등 2006), 본 실험에서 분지 덱스트린 첨가에 따른 흡수율의 감소는 분지 덱스트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이 감소되는 글루텐 단백질의 희석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죽 형성시간은 분지 덱스트린 5% 첨가군이 7.2분으로 높았고, 분지 덱스트린 1%와 3% 첨가군, 대조군은 각각 5.8분, 5.7분, 5.5분으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세 시료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죽형성시간은 단백질의 질과 흡수율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보편적으로 글루텐 함량이 높은 강력분이 박력분보다 흡수율이 높고, 반죽 시간이 길어 제빵 적성에 적합하다(Kim YS 등 2008).
  • 냉동 반죽을 평철판에 12개씩 배열하여 냉동 반죽의 중심온도를 20℃가 되도록 2시간 30분 해동한 후 둥글리기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중간 발효(bench time)시킨 다음 다시 둥글리기 하여 가스를 뺀 후 평철판에 다시 배열하였다. 발효기(FPC 3HR, Panem, France)에서 60분간 발효(온도 38℃, 상대습도 80%)한 후 윗불 210℃, 아랫불 170℃로 예열된 오븐(Type CO 4.1208, Condo, MIWE, Germany)에서 10분 동안 구워 소프트롤 빵을 제조하였다. 완성된 소프트롤 빵은 실온(20℃)에서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분지 덱스트린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냉동 소프트롤 반죽의 재료 배합 및 비율은 Table 1과 같았으며, 월간 제과제빵(1993)의 노타임 반죽법(No-time dough method)을 일부 수정하여 제조하였다. 분지 덱스트린은 밀가루 건물당 1, 3, 5%(w/w)의 비율로 첨가하였고, 수분은 첨가된 분지 덱스트린의 양만큼 감소시켰다. 제조 공정은 밀가루를 체에 친 후, 버터를 제외한 모든 재료를 반죽기(HL200, Hobart, USA)에 넣어 1단에서 3분, 2단에서 5분 반죽한 후 버터를 반죽기에 넣고 1단에서 3분 2단에서 3분, 3단에서 1분, 다시 2단에서 1분간 더 반죽하였으며, 반죽의 최종온도는 22±1℃로 하였다.
  • 분지 덱스트린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냉동 소프트롤 반죽의 재료 배합 및 비율은 Table 1과 같았으며, 월간 제과제빵(1993)의 노타임 반죽법(No-time dough method)을 일부 수정하여 제조하였다. 분지 덱스트린은 밀가루 건물당 1, 3, 5%(w/w)의 비율로 첨가하였고, 수분은 첨가된 분지 덱스트린의 양만큼 감소시켰다.
  • 소프트롤 빵 속살의 수분 함량은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1, 2, 3, 4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고루 분쇄한 후 적외선 수분측정기(ML-50,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소프트롤 빵 속살의 수분 활성도는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1, 2, 3, 4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고루 분쇄한 후 수분활성측정기(Aquaspector AQS-31, NAGY,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소프트롤 빵의 무게와 부피는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1일간 저장한 후 무게는 저울로 측정하였고, 부피는 부피측정기(Volscan Profiler, Stable Micro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비용적(mL/g)으로 나타내었다. 굽기 손실률의 측정은 굽기 전의 중량과 구운 후의 중량 차이로 굽기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 소프트롤 빵의 외·내부 표면 관찰은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1일간 저장한 후 디지털 카메라(8.1 megapixels digital camera, VLUU L830, Samsung, Korea)로 식빵의 내상을 하얀 배경의 무대에서 플래시가 터지지 않도록 촬영하였다.
  • 소프트롤 빵의 조직감은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1, 2, 3, 4일 간격으로 texture analyzer(TA. XTplus, Stable Micro Systems, England)를 이용하여 P/100(100 mm compression plate)을 장착하고 시료를 2회 연속적으로 침입시켰을 때 나타난 force-time curve로부터 견고성(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씹힘성(chewiness), 복원성(resilience)을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분석 조건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 이때 기호도의 평가 항목은 부피(volume), 색상(color), 부드러움(softness), 맛(taste), 전반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로서 매우 많이 좋다 : 9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 5점, 매우 많이 싫다: 1점으로 나타내었고, 특성강도의 평가항목은 겉껍질 색상(crust color), 단맛(sweetness), 이취(off-flavor)를 매우 많이 강하다 : 9점, 보통이다 : 5점, 매우 많이 약하다 : 1점으로 나타내었다. 시료의 준비 및 제시는 -20℃에 4주간 저장한 냉동 반죽을 해동, 발효 및 굽기로 제조한 제품을 1시간 30분 냉각 후 포장한 다음 20℃의 항온기에서 1일간 저장한 후 1인분 분량을 10 g으로 정하여 흰 플라스틱 접시에 담아서 제공하였다. 관능검사에 참여한 연구원은 나이와 성별 등을 기록하고 각 시료는 물컵, 시료를 뱉는 컵과 정수기에서 받은 물을 시료 사이에 제공하며, 검사 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총 검사시간은 15~20분 이내로 실시하였다.
  • 제조 공정은 밀가루를 체에 친 후, 버터를 제외한 모든 재료를 반죽기(HL200, Hobart, USA)에 넣어 1단에서 3분, 2단에서 5분 반죽한 후 버터를 반죽기에 넣고 1단에서 3분 2단에서 3분, 3단에서 1분, 다시 2단에서 1분간 더 반죽하였으며, 반죽의 최종온도는 22±1℃로 하였다. 제조된 반죽은 플로어 타임(floor time)없이 150 g 3개(extensogram 분석)와 35 g 40개(빵 품질 분석)로 분할하여 둥글리기 한 후 평철판에 배열하여 -35℃의 급속 냉동고(RXP 4-D, Panem, France)에서 중심온도를 -15℃까지 40분간 냉동시킨 후 polyethylene bag에 덕용포장하여 -20℃의 냉동저장고(RXP 4-D, Panem, France)에서 온도변화 없이 4주간 저장하였다. 냉동 반죽을 평철판에 12개씩 배열하여 냉동 반죽의 중심온도를 20℃가 되도록 2시간 30분 해동한 후 둥글리기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중간 발효(bench time)시킨 다음 다시 둥글리기 하여 가스를 뺀 후 평철판에 다시 배열하였다.
  • 찰옥수수 전분을 브랜칭엔자임으로 처리하여 분지 덱스트린을 제조하였고, 1, 3, 5%(w/w) 첨가한 혼합분 및 반죽의 특성인 farinogram, extensogram, viscogram, 냉동 소프트롤 반죽의 -20℃에서 4주 냉동 후 발효 팽창력 및 extensogram, 빵의 비용적, 굽기 손실률, 외·내부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분지 덱스트린이 냉·해동 안정성 및 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빵을 20℃에서 4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함량, 수분 활성도, 색도 및 조직감의 변화를 분석하여 신선도와 품질유지에 관계하는 노화방지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분지 덱스트린의 냉동 반죽 및 빵에서의 냉·해동 안정제 및 노화 억제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5)을 이용하여 5% 용액을 준비하였고, 이를 끓는 물에서 20분간 유지시켜 호화시켰으며, 호화된 전분 용액을 75℃에서 브랜칭엔자임(branching enzyme, Novozymes, Denmark)을 100 U/g(찰옥수수 전분 1 g 당 100 unit) 넣어주고, 3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 정지를 위하여 반응액을 30분간 끓여 제조하였다. 밀가루(강력밀가루 1등, CJ제일제당), 이스트(생이스트, 제니코), 소금(본소금 99%, 한주), 설탕(백설하얀설탕, CJ제일제당), 탈지분유(매일유업), 제빵 개량제(S500 Kimo, Puratos, Belgium), 유화제(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일신웰스), 가공버터(PEF 225, Fonterra Co-operative Group, New Zealand), 계란(신선란)을 본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SPSS 12.0 for windows, SPSS Inc.)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 평균값간의 유의성은 p<0.05 수준으로 Duncan의 다중범위시험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Extensograph는 반죽된 밀가루를 잡아 당겨 신장력 및 신장 저항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밀가루의 발효나 산화·환원제의 영향을 farinograph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Han IJ 등 2007). Extensogram의 면적(area), 신장도(extensibility), 저항도(resistance), 최고저항도(maximum resistance), R/E 비율 (resistance/extensibility ratio)은 extensograph(Type 860000, Brabender Co. Ltd, Dui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AACC 54-10(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00 g의 시료와 6 g의 소금을 사용하였고, 물의 양은 farinogram 흡수량보다 2% 적게 하였으며, 3분 동안 반죽을 한 다음 5분간 방치하고 다시 2분간 반죽을 하면서 farinogram의 중심이 500 BU에 도달하도록 흡수량을 조절하였다.
  • Farinograph는 밀가루를 반죽하면서 일정한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적의 가수량을 측정함으로써 이것을 토대로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등의 분질(粉質)을 검토할 수 있다(Han IJ 등 2007). Farinogram의 흡수율(water absorption), 반죽형성시간(dough development time), 안정도(stability), 연화도(weakness)는 fariongraph(Type 810145001, Brabender Co. Ltd, Dui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AACC 54-21(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00 g의 시료를 혼합하는 동안 커브의 중앙이 500±10 BU(Brabender Unit)에 도달할 때까지 흡수량을 조절하였다.
  • 5℃)로 가열시키면서 paste의 점도 변화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장치로서 paste의 제조 및 점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밀가루의 점도에 미치는 amylase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빵 과정 중 α-amylase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Han IJ 등 2007). Viscogram의 호화개시 온도(beginning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최고점도 온도(temperature of maximum viscosity), 최고점도(maximum viscosity)는 Viscograph-E(Type 602726, Brabender Co. Ltd, Duisburg, Germany)를 이용하여 AACC 22-10(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65 g의 시료를 450 mL 증류수에 현탁시켜서 보울에 넣고, 현탁액을 1분간 1.
  • 밀가루와 분지 덱스트린의 수분은 식품영양실험핸드북(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고, 백도는 백도계(C-100-3 Whitenessmeter, Kett Electric Laboratory, Japan), 입도는 입도 분석기(LS 13 320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ser,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밀가루의 회분은 식품영양실험핸드북(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고, 조단백질은 단백질 분석기(FP 528 Nitrogen/Protein Determinator, Lec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손상 전분은 손상 전분 분석기(SDmatic, CHOPIN, France)를 이용하여 AACC 76-33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습부 글루텐은 글루텐 분석기(Glutomatic 2200, Perten, Sweden)을 이용하여 AACC 38-12.
  • 밀가루와 분지 덱스트린의 수분은 식품영양실험핸드북(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고, 백도는 백도계(C-100-3 Whitenessmeter, Kett Electric Laboratory, Japan), 입도는 입도 분석기(LS 13 320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ser,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밀가루의 회분은 식품영양실험핸드북(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고, 조단백질은 단백질 분석기(FP 528 Nitrogen/Protein Determinator, Lec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손상 전분은 손상 전분 분석기(SDmatic, CHOPIN, France)를 이용하여 AACC 76-33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습부 글루텐은 글루텐 분석기(Glutomatic 2200, Perten, Sweden)을 이용하여 AACC 38-12.02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동 반죽의 기본 개념은? 냉동 반죽은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 이외에도 제조업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품목을 소량 생산 할 수 있으며, 노동력이 절약되고 휴일과 야간작업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빵 산업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 받고 있다(Lee JM 등 2001). 냉동 반죽의 기본 개념은 반죽을 -38~-40℃에서 급속 동결시켜 -18~-20℃에서 냉동보존하여 효모 및 효소의 활동을 억제시키고 gluten 조직의 약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반죽의 제빵 적성을 장기간 유지 보존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냉동 반죽을 장기간 저장하면 품질이 저하되는데 품질저하 현상은 효모의 품질, 반죽의 구조와 제조방법 및 냉동과 해동의 조건에 좌우된다(Lee MG 등 2000).
냉동 반죽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냉동 반죽은 1945년경 미국에서 시작하여 1960년대 들어서 현저히 신장하였으며, 1970년대부터는 in-store bakery 및 franchise bakery에서 주로 생산되어 왔다. 냉동 반죽은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 이외에도 제조업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품목을 소량 생산 할 수 있으며, 노동력이 절약되고 휴일과 야간작업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빵 산업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 받고 있다(Lee JM 등 2001). 냉동 반죽의 기본 개념은 반죽을 -38~-40℃에서 급속 동결시켜 -18~-20℃에서 냉동보존하여 효모 및 효소의 활동을 억제시키고 gluten 조직의 약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반죽의 제빵 적성을 장기간 유지 보존시키는 것이다.
분지 덱스트린은 영양생리학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 분지 덱스트린은 이화학적으로는 단맛과 분취(粉臭)가 거의 없고, 수용성과 용액의 냉·해동 안정성이 높으며, 점도와 삼투압이 낮고, 갈변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노화 지연에 효과적이다(Choi SS 등 2009, Song EB 등 2008, Takata H 등 2006, Takata H 등 1997, Nakamura 등 1997). 영양생리학적으로는 체내의 소화효소에 의해 모두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위내용물 배출시간이 단축되며, 장내에서 효소에 의한 분해가 천천히 이루어져 갑작스런 혈당치의 상승을 막아주고, 지속적인 열량공급으로 인하여 운동 능력 향상의 효과를 줄 수 있는 신규 기능성 물질이다(Takii H 2007, Takii H 등 2005, Takii H 등 2004, Kometani T 등 2003, Takii H 등 1999). 그러나 최근 식품분야에서 이화학적·영양생리적 기능성으로 맛 개선제, 분무건조 보조제, 스포츠 영양 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분지 덱스트린을 이용한 냉동빵 등의 가공식품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성곤, 조남지, 김영호. 1999. 제과제빵과학. 비앤씨월드. 서울. pp 119-120 

  2. 송재철, 박현정. 1995. 식품물성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울산. pp 159-160 

  3. 월간 제과제빵. 1993. 제과제빵 기능검정. 비앤씨월드. 서울. pp 35-37 

  4.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도서출판 효일. 서울. pp 96-110 

  5.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6. Bae JH, Woo HS,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3):311-318 

  7. Choi DR, Lee JH, Yoon YC, Lee SK. 2005. Effect of vital wheat glute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frozen after 1st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55-60 

  8. Choi SS, Danielewska-Nikiel B, Ohdan K, Kojima I, Kuriki T. 2009. Safety evaluation of highly-branched cyclic dextrin and a 1,4-alpha glucan branching enzym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Regul Toxicol Pharmacol 55(3):281-290 

  9. Freund W, Kim MY, Lons M. 2006. Methoden zur Untersuchung von Weizenund Roggenmahlerzeugnissen. pp 1-83. In: Handbuch Backwaren Technologie. Freund W(ed). Behr's Verlag GmbH & Co. KG. Hamburg, Germany. 

  10. Han IJ, Kim MY, Chun SS. Characteristics of dough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3):371-378 

  11. Hahn YS. 2004. Study on the freezing conditions for the frozen-dough preparation of b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5):443-448 

  12. Kim EJ, Kim SM. 198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42-547 

  13. Kim KC, Jang SG, Do DH. 1997. Effects of thawing-fermentation condition of frozen dough on frozen bread quality. Korean J Food Nutr 10(3):287-294 

  14. Kim KE, Lee YT. 2009. Effect of additives in making frozen rice dough on the quality of rice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0):1438-1443 

  15. Kim MY, Chun SS. 2009. Changes in shelf-life, water activity, and texture of rye-wheat mixed bread with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rye sourdough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170-179 

  16. Kim YS, Jung ST, Kim MY, Chun SS.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wheat composite flour and dough with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6):757-762 

  17.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Korean J Food Nutr 21(4):448-456 

  18. Kometani T, Takii H, Shiraki T. 2003. Effects of cyclic cluster dextrin on endurance performance. Food Style 217(10):62-65 

  19. La IJ, Lee MC, Park HD, Kim KP. 2004. Effects of azodicarbonamide on the rheology of wheat flour doug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1566-1572 

  20. Lee JH, Choi DR, Lee SK, Lee JK. 2004. Effect of emulsifiers on properties of the bread made by the dough frozen after first ferment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107-112 

  21. Lee JH, Choi DR, Lee SK, Min SG. The effect of vitamin C on properties of the breads made by dough frozen after 1st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92-96 

  22. Lee JM, Lee MK, Lee SK, Cho NJ, Cha WJ, Park JK. 2000. Effect of gum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in making frozen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604-609 

  23. Lee JM, Lee MK, Lee SK, Cho NJ, Kim SM. 2001. Effect of gums added in making frozen dough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190-194 

  24. Lee MG, Lee JM, Chang JH, Park CK. 2000. The effect of addition of potato starch on the frozen dough. Korean J Food Nutr 13(5):403-410 

  25. Lee SJ, Choi YH. 2004. Effect of microwave radiation on physical quality of normal, high amylose and waxy corn starches. J Appl Tourism Food Beverage Manage Res 15(1):113-125 

  26. Lee YC, Jeong HW, Yoon SK. 2004. Effects of additives on the improvement of frozen dough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217-225 

  27. Lee YC, Kang YY, Lee KH. 1991. Improvement of frozen yeast dough stability for doughnu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3(40):510-516 

  28. Nakamura H, Okamoto H, Miyaki Y, Kuriki T, Okada S. 1997. Cluster-dextrin decreases viscosity and increases transparency of gelatinized starch paste. J Jpn Soc Food Sci Technol 44(2):160-163 

  29. Park BJ, Sihn EH, Park CS. 2006. Influence of emulsifiers and α -amylases on the quality of frozen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59-67 

  30. Shon JH, Jeung JI, Jung DS, Lee HY, Eun JB. 2009a. Quality attributes of bread made of frozen dough added with milk protein-polysaccharide mix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3):265-271 

  31. Shon JH, Jeung JI, Oh DH, Kim JM, Eun JB. 2009b. Quality attributes of frozen dough mixed with milk proteinpolysaccharide materials. Korean J Food Preserv 16(4):518-524 

  32. Song EB, Min BC, Hwang ES, Lee HJ.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tarch-derived branched dextrin produced by a branching enzyme. Food Sci Biotechnol 17(2):234-240 

  33. Takata H, Kojima I, Taji N, Suzuki Y, Yamamoto M. 2006. Industrial production of branching enzyme and its application to production of highly branched cyclic dextrin(Cluster DextrinTM). Seibutsu Kogakkaishi 84(2):61-66 

  34. Takada H, Takaha T, Nakamura H, Fujii K, Okada S, Takagi M, Imanaka T. 1997. Production and some properties of a dextrin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by the cyclization reaction of branching enzyme. J Ferment Bioeng 84(2):119-123 

  35. Takii H. 2007. Application of cluster dextrin ${\circledR}$ to sports nutrition foods. Food Style 21 11(7):52-54 

  36. Takii H, Kometani T, Nishimura T, Kuriki T, Fushiki T. 2004. A sports drink based on highly branched cyclic dextrin generates few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untrained men during bicycle exercise. Food Sci Technol Res 10(4):428-431 

  37. Takii H, Ishihara K, Kometani T, Okada S, Fushiki T. 1999. Enhancement of swimming endurance in mice by highly branched cyclic dextrin. Biosci Biotechnol Biochem 63(12):2045-2052 

  38. Takii H, Takii N, Kometani T, Nishimura T, Nakae T, Kuriki T, Fushiki T. 2005. Fluids containing a highly branched cyclic dextrin influence the gastric emptying rate. Int J Sports Med 26(4):314-319 

  39. Yanase M, Takata H, Kitamura S. 2004. Large-ring cyclodextrins and highly branched cyclic dextrin. Foods Food Ingredients J Jpn 209(4):7 

  40. Yun MS, Lee JH.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frozen dough after fermentation with sweet dough bread. Korean J Food Nutr 14(4): 317-321 

  41. Yun Y, Kim YH, Kim YS, Choi SH, Eun JB. 2006. Effects of milk protein-gum conjugat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and staling of bread made of frozen dough during freeze-thaw cycles. Korean J Food Preserv 13(1):30-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