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양환오탕(補陽還五湯)이 흰쥐 뇌출혈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연구
Neuroprotective Effects of Boyanghwano-tang on Intracerebral Hemorrhage-Induced Rats Using Immunohistochemistry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5 no.5, 2011년, pp.799 - 806  

차재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이준석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신정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김성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강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  손낙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한의과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Boyanghwano-tang (BYT) water extract on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ICH was induced by the stereotaxic intrastriatal injection of bacterial collagenase type IV in Sprague-Dawley rats. BYT was orally given once a day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양환오탕이 뇌허혈 손상과 뇌신경세포 손상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이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뇌출혈 손상과 그에 따른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흰쥐의 대뇌 선조체에 콜라겐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여 뇌출혈과 뇌부종을 유발시키고 보양환오탕 물추출물을 3일간 경구투여한 다음 뇌출혈 크기 및 뇌부종 비율을 관찰하였으며, 뇌출혈 주변부의 염증소견에서 나타나는 호중구 침윤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신경세포 손상에서 나타나는 c-Fos, Bax 및 heat shock protein (HSP) 72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관찰한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중풍에 대한 한의학의 치법과 한약물의 효능을 관찰한 기존의 실험연구들은 주로 허혈성 뇌경색에 대한 접근들이 많았으며 뇌출혈에 대한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풍과 반신불수에 사용되는 처방 중 기존 연구를 통하여 뇌허혈 손상과 뇌신경세포 손상에 대해 보호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보양환오탕을3,7,8) 선정하여 뇌출혈에 대한 효능을 관찰하였다.
  • 그러므로 뇌조직 손상에서 호중구 침윤을 억제하는 것이 뇌부종과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이 된다26,27). 본 연구에서는 뇌출혈 유도 후 출혈주변조직의 호중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MPO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하였다. MPO는 H2O2와 반응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발휘하며28,29) 주로 호중구에서 발현되므로 호중구의 면역염색 표식자로 활용되고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양환오탕이 뇌허혈 손상과 뇌신경세포 손상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이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뇌출혈 손상과 그에 따른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흰쥐의 대뇌 선조체에 콜라겐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여 뇌출혈과 뇌부종을 유발시키고 보양환오탕 물추출물을 3일간 경구투여한 다음 뇌출혈 크기 및 뇌부종 비율을 관찰하였으며, 뇌출혈 주변부의 염증소견에서 나타나는 호중구 침윤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신경세포 손상에서 나타나는 c-Fos, Bax 및 heat shock protein (HSP) 72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관찰한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補陽還五湯이란? 補陽還五湯은 王淸任의 醫林改着 에서 처음 입방된 처방으로, 中風, 半身不隨, 偏枯, 筋肉 痙攣과 維縮의 元氣不足에 의한瘀血증상에 적용하기 위해 立方되었다1). 이 처방은 補氣하는 黃芪와 活血祛瘀하는 當歸尾, 赤芍藥, 川芎, 桃仁, 紅花 및 通經活血하는 地龍으로 구성된다1,2). 보양환오탕의 주 적응증인 中風은 허혈성 뇌졸중의 범주에 속하며, 현재의 각종 연구들은 보양환오탕의 뇌혈관질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여러 가지 성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보양환오탕의 주 적응증은 무엇인가? 이 처방은 補氣하는 黃芪와 活血祛瘀하는 當歸尾, 赤芍藥, 川芎, 桃仁, 紅花 및 通經活血하는 地龍으로 구성된다1,2). 보양환오탕의 주 적응증인 中風은 허혈성 뇌졸중의 범주에 속하며, 현재의 각종 연구들은 보양환오탕의 뇌혈관질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여러 가지 성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보양환오탕은 뇌혈관 질환에 의한 편마비 환자에 유의한 효능이 있다고 하였고3), 흰쥐에 일으킨 혈전증에 대해 혈액응고와 관련된 단백질이나 지표들을 감소시켰다4,5).
補陽還五湯의 약제 구성은? 補陽還五湯은 王淸任의 醫林改着 에서 처음 입방된 처방으로, 中風, 半身不隨, 偏枯, 筋肉 痙攣과 維縮의 元氣不足에 의한瘀血증상에 적용하기 위해 立方되었다1). 이 처방은 補氣하는 黃芪와 活血祛瘀하는 當歸尾, 赤芍藥, 川芎, 桃仁, 紅花 및 通經活血하는 地龍으로 구성된다1,2). 보양환오탕의 주 적응증인 中風은 허혈성 뇌졸중의 범주에 속하며, 현재의 각종 연구들은 보양환오탕의 뇌혈관질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여러 가지 성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王淸任. 醫林改着. 서울, 의성당. pp 84-86, 1994. 

  2. 王?義. 醫林改着發揮. 山西省, 山西科學技術出版社. pp 92-94, 1999. 

  3. 정용준, 김동웅. 뇌혈관 질환에 의한 편마비 환자에서 보양환오탕의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3(2):54-58, 1999. 

  4. 전영수, 김성훈. 보양환오탕과 가미보양환오탕이 Edotoxin으로 유발된 백서의 혈전증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8:157-176, 1993. 

  5. 김광덕, 송효정. 혈전증 및 고점도혈증에 관한 보양환오탕의 실험적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3: 30-46, 1988. 

  6. 김남용. 보양환오탕이 혈압 및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5(5):682-686, 2001. 

  7. 최은정. Mongolian Gerbil의 Reversible forebrain ischemia모델에 미치는 보양환오탕의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43: 88-98, 2000. 

  8. 김종길. 보양환오탕이 영양혈청결핍에 의한 PC12 세포의 고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4(2):179-192, 2003. 

  9. 이병철, 유경호. 국내 뇌졸중의 역학. 대한의사협회지 45: 1415-1421, 2002. 

  10. Ribo, M., Grotta, J.C. Latest advances in intracerebral hemorrhage. Curr Neurol Neurosci Rep. 6(1):17-22, 2006. 

  11. Badjatia, N., Rosand, J. Intracerebral hemorrhage. Neurologist. 11(6):311-324, 2005. 

  12. Anderson, K.K., Olsen, T.S., Dehlendorff, C., Kammersgaard, L.P.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s compared: Stroke severity, mortality and risk factors. Stroke. 40: 2068-2072, 2009. 

  13. Xi, G., Fewel, M.E., Hua, Y., Thompson, B.G. Jr, Hoff, J.T., Keep, R.F. Intracerebral hemorrhage: pathophysiology and therapy. Neurocrit Care. 1(1):5-18, 2004. 

  14. Nag, S., Manias, J.L., Stewart, D.J. Pathology and new players in the pathogenesis of brain edema, Acta neuropathol. 118: 197-217, 2009. 

  15. Engelhardt, B., Sorokin, L. The blood-brain and the bloodcerebrospinal fluid barriers: function and dysfunction. Semin Immunopathol. 31: 497-511, 2009. 

  16. Scholz, M., Cinatl, J., Schadel-Hopfner, M., Windolf, J. Neutrophils and the blood-brain barrier dysfunction after trauma. Med Res Rev. 27(3):401-416, 2007. 

  17. Xi, G., Keep, R.F., Hoff, J.T. Mechanisms of brain injury after intracerebral haemorrhage. Lancet Neurol. 5: 53-63, 2006. 

  18. Schilling, L., Wahl, M. Mediators of cerebral edema. Adv Exp Med Biol. 474: 123-141, 1999. 

  19. Rosenberg, G.A., Mun-Bryce, S., Wesley, M., Kornfeld, M.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Stroke. 21: 801-807, 1990. 

  20.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pp 509-519, 1998. 

  21. 김영석. 중풍의 병인병리, 변증 및 치료. 한방성인병학회지 1(1):113-140, 1995. 

  22. Zazulia, A.R., Diringer, M.N., Derdeyn, C.P., Powers, W.J. Progression of mass effect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Stroke. 30: 1167-1173, 1999. 

  23. Stanimirovic, D., Satoh, K. Inflammatory mediators of cerebral endothelium: a role in ischemic brain inflammation. Brain Pathol. 10: 113-126, 2000. 

  24. Beneviste, E. Inflammatory cytokines within the central nervous systems: Sources, function and mechanism of action. Am J Physiol. 263: 1-16, 1992. 

  25. Allport, J.R., Ding, H., Collins, T., Gerritsen, M.E., Luscinskas, F.W. Endothelial-dependent mechanisms regulate leukocyte transmigration: a process involving the proteasome and disrupt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cadherin complex at endothelial cell-to-cell junctions. J Exp Med. 186: 517-627, 1997. 

  26. Bowes, M.P., Rothlein, R., Fagan, S.C., Zivin, J.A. Monoclonal antibodies preventing leukocyte activation reduce experimental neurologic injury and enhance efficacy of thrombolytic therapy. Neurology. 45: 815-819, 1995. 

  27. Yenari, M.A., Kunis, D., Sun, G.H., Onley, D., Watson, L., Turner, S., Whitaker, S., Steinberg, G.K. Hu23F2G, an antibody recognizing the leukocyte CD11/CD18 integrin, reduces injury in a rabbit model of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Exp Neurol. 153: 223-233, 1998. 

  28. Koeffler, H.P., Ranyard, J., Pertcheck, M. Myeloperoxidase: its structure and expression during myeloid differentiation. Blood. 65: 484-491, 1985. 

  29. Malle, E., Furtmuller, P.G., Sattler, W., Obinger, C. Myeloperoxidase: a target for new drug development? Br J Pharmacol. 152: 838-854, 2007. 

  30. Eiserich, J.P., Hristova, M., Cross, C.E., Jones, A.D., Freeman, B.A., Halliwell, B., van der Vliet A. Formation of nitric oxide-derived inflammatory oxidants by myeloperoxidase in neutrophils. Nature. 391: 393-397, 1998. 

  31. Sheng, M., Greenberg, M.E. The regulation and function of c-fos and other immediate early genes in the nervous system. Neuron. 4: 477-485, 1990. 

  32. Morgan, J.I., Curran, T. Stimulus-transcription coupling in the nervous system: involvement of the inducible proto-oncogenes fos and jun. Annu Rev Neurosci. 14: 421-451, 1991. 

  33. Akins, P.T., Liu, P.K., Hsu, C.Y. Immediate Early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Cerebral Ischemia; Friend or Foe? Stroke. 27: 1682-1687, 1996. 

  34. Gross, A., McDonnell, J.M., Korsmeyer, S.J. Bcl-2 family members and the mitochondria in apoptosis. Genes Develop. 13: 1899-1911, 1999. 

  35. Krajewski, S., Mai, J.K., Krajewska, M., Sikorska, M., Mossakowski, M.J., Reed, J.C. Upregulation of Bax protein levels in neurons following cerebral ischemia. J Neurosci. 15: 6364-6376, 1995. 

  36. Hendrick, J.P., Hartl, F.U. Molecular chaperon functions of heat-shock proteins. Ann. Rev. Biochem. 62: 349-384, 1993. 

  37. Ma, Y., Hendershot, L.M. The unfolding tale of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Cell. 107: 827-830, 2001. 

  38. Welch, W.J. Heat shock proteins functioning as molecular chaperones: their roles in normal and stressed cells.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39: 327-333, 1993. 

  39. Kinouchi, H., Sharp, F.R., Koistinaho, J., Hicks, K., Kamii, H., Chan, P.H. Induction of heat shock hsp70 mRNA and HSP70 kDa protein in neurons in the 'penumbra' following focal cerebral ischemia in the rat. Brain Res. 619: 334-338,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