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골신경 손상 모델에서 보양환오탕 처리에 의한 축삭 재생반응성 분석
Improved axonal regeneration by Boyanghwano-tang treatment in mice given sciatic nerve injury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25 no.1, 2016년, pp.99 - 108  

장인애 ,  김기중 ,  남궁욱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신경생리학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axons in the peripheral nerve can regenerate and lead to functional recovery to a certain extent after injury, its efficacy varies depending on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the injury.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oyanghwano-tang (BYHOT) treatment on the regenerative responses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양환오탕의 신경손상 모델에서의 재생반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좌골신경 압박손상 및 절단 후 재연결 기간 동안에 한약을 투여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이러한 과정에서 Cdc2 단백질의 생성수준이 강하게 그러나 일시적으로 유도되며 이는 축삭의 재생과정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7). 본 연구에서는 말초신경 손상 부위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Cdc2 단백질의 생성수준의 변화를 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손상을 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단백질 생성은 전혀 검출되지 않은 반면, 식염수나 보양환오탕을 처리한 신경손상군에서 단백질 생성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슈반세포는 손상부위에서 활성화하고 축삭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축삭의 재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슈반세포 재생인자로 규명된 Cdc2 kinase의 생성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Cdc2 kinase는 말초신경 손상 후 손상부위의 슈반세포에서 일시적으로 높은 수준의 생성을 나타내며 슈반세포의 이주활동의 촉진을 통하여 축삭재생 반응성에 기여함이 보고된 바 있다8).
  • 좌골신경 손상 후 또는 말초신경의 절단 후 4주간 신경의 연결이 차단될 경우 이것이 후속적 재연결 반응성에서 축삭의 연결성 반응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와 이러한 축삭의 재연결 반응시 한약 보양환오탕의 재생에 대한 효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손상 및 신경손상을 가한 좌골신경에서 Cdc2 단백질 생성분석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 하단의 Actin 단백질에 대한 western blotting 결과는 sample의 loading control의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초신경재생 반응성의 변화는 무엇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예를 들어 좌골신경을 절단할 경우 재생 속도는 압좌손상의 경우에 비하여 느리고 원래의 표적조직으로 정확한 innervation이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재생 반응성의 변화는 손상 하단부의 슈반세포와 같은 비신경세포가 기능적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손상 후 말초신경의 재생반응은? 말초신경은 손상 후 상당 수준 자생적 재생반응이 진행되나 손상 방법이나 지속성 그리고 손상강도에 따라 재생 반응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좌골신경을 절단할 경우 재생 속도는 압좌손상의 경우에 비하여 느리고 원래의 표적조직으로 정확한 innervation이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신경손상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보양환오탕의 보고된 효과는? 특히 신경세포나 신경조직에 허혈성 손상이 가해질 경우 보양환오탕의 처리는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가 항산화적 반응성이나 항 사멸반응성 유도등의 기전을 통하여 그 보호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다3,4)). 신경손상에 대한 축삭재생에 있어 척수손상 후 축삭의 재생반응성의 증가가 보고되었으며, 말초신경에 대해서는 슈반세포에 대한 보호효과가 제시된 바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en ZL, Yu WM, Strickland S. Peripheral regeneration. Annu Rev Neurosci. 2007;30:209-33. 

  2. 한창호, 박용기. "가미보양환오탕이 뇌허혈모델에서 신경세포보호를 통해 뇌경색억제에 미치는 효과", , 대한침구의학회지 2010 8월 27(4):29-38 

  3. Jinglong T, Weijuan G, Jun L, Tao Q, Hongbo Z, Shasha L. The molecular and electrophysiological mechanism of buyanghuanwu decoction in learning and memory ability of vascular dementia rats. Brain Res Bull. 2013 Oct;99:13-8. 

  4. Li XM, Bai XC, Qin LN, Huang H, Xiao ZJ, Gao TM. Neuroprotective effects of Buyang Huanwu Decoction on neuronal injury in hippocampu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in rats. Neurosci Lett. 2003 Jul 31;346(1-2):29-32. 

  5. Yang S, Gao Q, Xing S, Feng X, Peng L, Dong H, Bao L, Zhang J, Hu Y, Li G, Song T, Li Z, Sun J. Neuroprotective effects of Buyang Huanwu decoction against hydrogen peroxide induced oxidative injury in Schwann cells. J Ethnopharmacol. 2011 Oct 11;137(3) :1095-101. 

  6. Chen A, Wang H, Zhang J, Wu X, Liao J, Li H, Cai W, Luo X, Ju G. BYHWD rescues axotomized neurons and promotes functional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in rats. J Ethnopharmacol. 2008 May 22;117(3):451-6. 

  7. Chang IA, Oh MJ, Kim MH, Park SK, Kim BG, Namgung U. Vimentin phosphorylation by Cdc2 in Schwann cell controls axon growth via ${\beta}1$ -integrin activation. FASEB J. 2012 Jun;26(6): 2401-13. 

  8. Han IS, Seo TB, Kim KH, Yoon JH, Yoon SJ, Namgung U. Cdc2-mediated Schwann cell migration during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J Cell Sci. 2007 Jan 15;120(Pt 2):246-5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