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에 의해 유도되는 HSP72 및 HO-1 유전자의 간독성 보호 효능
Paeonia lactiflora Pall Pprevents $H_2O_2$-induced Hepatotoxicity by Increasing HSP72 and HO-1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5 no.5, 2011년, pp.843 - 848  

오수영 (한국한의학연구원) ,  이지선 (한국한의학연구원) ,  서상희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태수 (한국한의학연구원) ,  마진열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China, and Japan, Paeonia lactiflora Pall (PL)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hepatitis, and fever for more than 1200 years. It has been reported that PL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PS-induced liver inflam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간세포에서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작약의 간세포 보호 효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약 열추출물의 활성산소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능의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일차 간세포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에 대한 작약 열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간세포 보호 효능에 HO-1과 HSP72와 같은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이와 같이 작약의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여러 연구를 통하여 보고되고 있으나, 간 보호 효과에 대한 항산화 효능 이외의 메카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서 분리한 간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에 대한 작약의 간 보호 효능의 기작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HO-1와 HSP72 유전자의 관련성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HSP72는 샤페론 단백질의 일종으로, 병리적, 환경적, 그리고 대사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12). 본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로 인한 간독성에서 작약 열추출물의 간보호 효능에 이들 유전자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일차 간세포에 작약 열추출물을 1 시간 동안 전 처리 한 후, 과산화수소를 4 시간동안 처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작약에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일차 간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작약 열추출물을 전 처리한 경우, 활성산소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항산화제인 CAT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약의 효능은? 작약은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1,6), 유해산소라 불리는 활성산소는 산소라디칼 (oxygen free radical) 및 이것으로부터 파생된 산소화합물을 의미한다. 활성산소는 쌍을 이루고 있지 않는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분자들과의 화학반응을 쉽게 일으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큰 반응성으로 인해 생체 조직을 공격하여 DNA, 단백질, 효소 및 T 세포와 같은 면역체계에 관여하는 세포 혹은 인자들을 손상시켜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킨다.
활성산소가 의미하는 것은? 작약은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1,6), 유해산소라 불리는 활성산소는 산소라디칼 (oxygen free radical) 및 이것으로부터 파생된 산소화합물을 의미한다. 활성산소는 쌍을 이루고 있지 않는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분자들과의 화학반응을 쉽게 일으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큰 반응성으로 인해 생체 조직을 공격하여 DNA, 단백질, 효소 및 T 세포와 같은 면역체계에 관여하는 세포 혹은 인자들을 손상시켜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킨다.
작약에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일차 간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여 본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작약에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일차 간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작약 열추출물을 전 처리한 경우, 활성산소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항산화제인 CAT의 발현이 증가 되었다. 또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O-1와 HSP7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에, 작약 열추출물은 활성산소 생성 억제 및 항산화제의 발현 증가와 함께 HO-1 및 HSP7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간 보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서상희, 이향림, 이순재, 최상원, 조성희.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 씨 추출물과 Resveratrol이 흰쥐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1102-1107, 2003. 

  2. Kim, I.D., Ha, B.J. The effects of paeoniflorin on LPS-induced liver inflammatory reactions. Arch. Pharm. Res. 33(6):959-966, 2010. 

  3. Asai, M., Kawashima, D., Katagiri, K., Takeuchi, R., Tohnai, G., Ohtsuka, K. Protective effect of a molecular chaperone inducer, paeoniflorin, on the HCl- and ethanol-triggered gastric mucosal injury. Life Science. 88: 350-357, 2011. 

  4. Zhong, S.Z., Ge, Q.H., Qu, R., Ma, S.P. Peoniflorin attentuates Abeta((1-42))-mediated neurotoxicity by regulating calcium homeostasis and ameliorating oxidative stress in hippocampus of rats. J. Neurol. Sci. 280(1-2):71-78, 2009. 

  5. Zhan, L.Y., Xia, Z.Y., Chen, C., Wang, X.Y. Effect of Radix Paeoniae Rubra on the expression of HO-1 and iNOS in rats with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Chin. J. Traumatol. 9(3):181-186, 2006. 

  6. 이정민, 최상원, 조성희, 이순재.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Nutr. 36(8):793-800, 2003. 

  7. Lee, S.M., Yoon, M.Y., Park, H.R. Protective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on hydrogen peroxide-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72(5):1272-1277, 2008. 

  8. 문진영. 작약 약침액이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흰 쥐 배양 간세포의 지질과산화반응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 치는 영향.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7(3):176-187, 2009. 

  9. Ndisang, J.F. Role of Heme Oxygenase in Inflammation, Insulin-Signalling, Diabetes and Obesity. Mediators of Inflammation. 2010: 1-18, 2010. 

  10. Immenschuh, S., Baumgart-Vogt, E., Mueller, S. Heme oxygenase-1 and iron in liver inflammation: a complex alliance. Curr. Drug Targets. 11(12):1541-1550, 2010. 

  11. Moseley, P.L. Heat shock proteins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856: 206-213, 1998. 

  12. Febbraio, M.A., Koukoulas, I. HSP72 gene expression progressively increases in human skeletal muscle during prolonged, exhaustive exercise. J. Appl. Physiol. 89(3):1055-1060, 2000. 

  13. 박영순. 한방의 약리해설. 서울, 아카데미서적, pp 155-156, 2002. 

  14.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서울, 교학사, p 713, 2003. 

  15. Chen, T., Guo, Z., Jiao, X., Zhang, Y., Li, J., Liu, H. Protective effects of peoniflorin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Can. J. Physiol. Pharmacol. 89: 445-45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