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루미류 취식지역의 공간적 분포 및 서식밀도와 잠자리, 도로, 인가지역과의 관계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4, 2011년, pp.516 - 525  

유승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과) ,  권혁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과) ,  박종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과)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환경요인(잠자리, 도로, 인가)의 영향범위와 영향력을 평가한 것이다. 조사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4회에 걸쳐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분포를 거리측정기와 GP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된 지역은 총 $76.9km^2$였으며, 두루미 Grus japonensis 와 재두루미 Grus vipio 555개 무리의 분포위치를 수집한 후 환경요인과의 거리별 밀도를 분석하였다. 두루미류의 취식분포는 특정지역에 밀집한 분포를 보였으며, 인근지역에서 취식하는 두루미류 취식무리 간의 개체수는 공간적자기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미류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잠자리와의 거리에 따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포장도로와 인가지역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포장도로의 경우 1,50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으며, 인가지역으로 부터 취식밀도는 1,75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다. 잠자리와 취식지간의 거리별 밀도변화는 취식무리수 밀도에서만 확인할 수 없었다. 포장도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두 종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개체수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가와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잠자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두루미는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재두루미의 경우 증감의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influence certain environmental factors (proximity of roosting site, roads, and residential areas) hav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anes in the Cheorwon, Korea. Using a range finder and GP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7 and were subsequently evaluated with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생태적 특성(잠자리, 취식지, 세력권 등)에 의한 공간분포 양상, 공간적 자기상관관계 존재여부 및 환경요인에 대한 각종의 민감도를 거리별로 확인하여 환경요인의 영향력과 영향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각 환경요인에 의한 종 및 무리의 유형별로 취식밀도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생태적 특성(잠자리, 취식지, 세력권 등)에 의한 공간분포 양상, 공간적 자기상관관계 존재여부 및 환경요인에 대한 각종의 민감도를 거리별로 확인하여 환경요인의 영향력과 영향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각 환경요인에 의한 종 및 무리의 유형별로 취식밀도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잠자리는 두루미류에 있어서 미시적인 서식지 선택요인 보다는 월동지역 선택과 관련된 거시적 요인으로 판단된다(Pae, 1994; Austin and Richert, 2001).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환경요인과의 거리별 밀도를 이용하여 서식지 모델을 만들어 보았다. 이전의 Herr and Queen(1993)의 연구에서, 거리별 서식빈도를 이용한 것은 서로 다른 면적에 따른 밀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가 보다 실질적인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및 회귀관계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 따라서 향후 분석방법을 달리하여 비교한후 최적의 모델을 찾는 것 또한 중요한 연구방향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두루미류의 취식분포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 범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여타 생물 종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환경변수에 대한 영향범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요인과의 거리기준에 따른 구간은 두루미류가 서식 하지 못하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건폐지, 산림, 저수지 등), 밀도를 구하기 위하여, 두루미류의 취식범위에 해당하는 구간만을 서식면적으로 산정하였다. 건폐지, 산림, 저수지는 주변부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각 구간별 취식 무리밀도를 구하여 상관관계를 구하였다(Su, 2003). 환경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구역에 대한 회귀모델을 구하기 위하여, 전체 분포밀도의 경향을 상관관계로 분석 한 후, 유의미한 변곡점을 찾아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루미류의 공간적분포는 무엇이 혼재된 양상을 보여주는가? , 1996). 두루미류의 공간적분포(spatial distribution)는 가족군의 세력권 형성 (Alonso et al., 2004)에 의한 규칙적 분포와, 비가족군에 의한 임의분포(Ohsako, 1989)가 혼재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공먹이급여(Yoo, 2004) 및 잠자리(Pae, 1994; Spalding and Kraup, 1994), 잠자리와 취식지 간의 일주행동(Pae, 2000), 민간인통제지역(Civilian Control Zone, CCZ: Yoo et al.
본 연구에서 잠자리를 이용하는 개체군 조사를 시행할 때, 무엇을 기록했는가? 잠자리를 이용하는 개체군 조사는 분포조사일과 같은 날일출시간 30분 전부터 대부분의 개체군이 취식지로 이동했다고 판단되는 시간(5분간의 비행개체수의 합계가 0개체이며 지속시간이 30분일 경우)까지 이루어졌으며(Yoo, 2004), 잠자리와 취식지 사이 2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정점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 종 구분과 비행무리의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한 지역 당 1곳 혹은 2곳에서 조사하였으며, 2개 지점 간의 중복 관찰을 피하기 위하여 타 조사지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두루미류는 무전기를 이용하여 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여 개체수 중복을 피하였다.
생물체의 분포는 어떤 형태로 구분하는가? 생물체의 분포는 크게 구분하여 임의분포(random), 규칙 적인 분포(regular), 집단분포(aggregated)의 형태를 보인다 (Perrins and Birkhead, 1983; Begon et al.,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onso, J.C., L.M. Bautista and J.A. Alonso(2004) Family-based territoriality vs flocking in wintering Common Cranes Grus grus. Journal of Avian Biology 35: 434-444. 

  2. Austin, J.E. and A.L. Richert(2001) A Comprehensive review of observational and site evaluation data of migrant Whooping Cranes in the United States, 1943-1999. U.S., Geological Survey,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Jamestown, ND, USA, 157pp. http://www.npwrc.usgs.gov/resource/2003/wcdata/wcdata.htm 

  3. Begon, M., J.L. Harper and C.R. Townsend(1996) Ecology: individual, population and communities(3rd ed.). Blackwell Science, Oxford, UK, 1049pp. 

  4. Cain, A.T., V.R. Tuovila, D.G. Hewitt and M.E. Tewes(2003) Effect of highway and migration projects on Bobcats in Southern Texas. Biological Conservation 114: 189-197. 

  5. Cao, M. and G. Liu(2008) Habitat suitability change of Red-crowed Crane in Yellow River Delta Nature Reserve.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9(2): 141-147. 

  6. Evink, G.L.(1996)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itiatives related to wildlife mortality. In: Evink, G.L., P. Garrett, D. Zeiger, J. Berry (ed.), 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lated wildlife seminar (FL-ER-58-96).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allahassee, Florida, USA. 

  7. Forman, R.T.T. and L.E. Alexander(1998) Road and their major ecological effec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9: 207-231. 

  8. Herr, A.M. and L.P. Queen(1993) Crane habitat evalu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9(10): 1531-1538. 

  9. Johnsgard, P.A.(1993) Cranes of the World. Indiana Univ. Press, Bloomington, 258pp. 

  10. Kim G.G and D.G. Cho(2006) Principles of restoration in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y.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1. Klein, M.L., S.R. Humphrey and H.F. Percival(1995) Effect of ecotourism on distribution of waterbirds in a wildlife refuge. Conservation Biology 9(6): 1454-1465. 

  12. Korea Water Resource Cooperation(2005) Ecological network planning in Sihwa district.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eon, Korea, 26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W.S., S.J. Rhim and C.R. Park(2001) Habitat use of cranes in Cheol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4(2): 77-80. 

  14. Nagano, Y., Y. Ohsako, S. Nishida and F. Mizoguchi(1992) Reaction of Hooded and White-naped Cranes by human and cars. Strix 11: 179-18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5. Ohsako, Y.(1989) Flock organization, dispersion and territorial behaviour of wintering Hooded Cranes (Grus monacha) in Izumi and Akune, Kyushu.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38(1): 15-29. 

  16. Pae, S.H.(1994) Wintering ecology of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and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Cholwon basin, Korea.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3pp. 

  17. Pae, S.H.(2000) A study on habitat use of wintering cranes in DMZ, Korea: with carrying capac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using GIS. Ph. 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7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errins, C.M. and T.R. Birkhead(1983) Avian Ecology: Tertiary level biology. Blakie & Son Ltd., Glasgow, London, UK, 221pp. 

  19. Ruediger, B.(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rare carnivore and highway. In: G.L. Evink, P. Garrett, D. Zeiger, J. Berry(ed.), 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lated wildlife seminar (FL-ER-69-98).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allahassee, Florida. 

  20. Spalding, D.W. and G.L. Krapu(1994) Communal roosting and foraging behavior of staging Sandhill Cranes. Wilson Bulletin 106(1): 62-77. 

  21. Stehn, T.V. and F. Prieto(2008) Changes in wintering Whooping Crane territories and range 1959-2006. Proceedings of the North American Crane Workshop 11: 40-56. 

  22. Su, L.(2003) Habitat selection by Sandhill Cranes, Grus canadensis tabida, at multiple geographic scales in Wisconsin. Ph. D. Thesis of Univ. of Wisconsin-Madison, USA. 141pp. 

  23. Timoney, K.(1999) The habitat of nesting Whooping Cranes. Biological Conservation 89: 189-197. 

  24. Wong, D.W and J. Lee(2005) Statistical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with ArcView GIS and ArcGI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441pp. 

  25. Yoo, S.H.(2004) Som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Grus japonensis and Grus vipio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group.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1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oo, S.H., K.S. Lee, I.K. Kim and T.H. Kang and H.S. Lee(2009) Research on size, formation and tendency to evade the road of th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centering effect on the effect of road vs traffic condi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4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 S.H., K.S. Lee, J.C. Yoo(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off between vehicle disturbance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focused in the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6): 526-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oo, S.H., K.S. Lee, J.C. Yoo(2008) Preference of the CCZ (civilian control zone) in Cherwon basin as a wintering site of cranes: wintering season of 2002-2003.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5(1): 39-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