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태백산지역 원동광산 시추탐사연구
The Results of Drilling in Weondong Mine Area, the Taebaegsan Mineralized District,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4 no.4, 2011년, pp.313 - 320  

이재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백산 광화대는 캠브로-오르도비스기의 풍촌 또는 대기 석회암층과 묘봉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석탄과 비금속광물을 비롯하여 금속광물이 배태되는 대규모의 교대광상 또는 스카른 광상이 발달할 수 있는 최적지로 알려져 있다. 원동광산 일대의 지질은 석탄기 트라이아스기 층군과 스카른형 다중금속광상의 모암이 되는 캠브로 오르도비스기의 조선계 대석회암누층군 석회칠암이 넓게 분포하며, 이를 관입하는 유문암/석영반암이 발달하고 있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주요 단층은 $N40^{\circ}$~$50^{\circ}E$ 주향의 원동충상단층으로 $20^{\circ}$NW의 경사를 이루면서 발달하고 있고, 이를 NS계 단층들이 절단하고 있어 지질 구조적으로 심부에 스카른형 다중금속 광화작용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2010년도에는 LOTEM 및 CSAMT 물리탐사 결과로부터 추출된 이상대를 대상으로 수행된 장공 시추탐사에서 착맥된 광체의 품위는 다음과 같다; (1) 연-아연광석 한계품위 3%; 평균중률품위 5.50% (2.7 m), (2) 동광석 한계품위 0.1%; 평균중률품위 0.91% (14.65 m), (3) 철광석 한계품위 30%; 평균중률품위 38.18% (3.3 m), (4) $WO_3$ 한계품위별 (0.01%, 0.05%, 0.1%); 평균중률품위 0.29 wt. % (8.8 m), 1.15 wt. % (2.1 m), 1.97 wt. % (1.2 m), (5) $MoS_2$ 한계품위별 (0.01%, 0.1%); 평균중률품위 0.15 wt. % (6.35 m), 0.28 wt. % (3.15 m), (6) $Ta_2O_5$ 한계품위별 (0.01%, 0.1%); 평균중률품위 0.l3% (19.5 m), 1.11% (1.8 m), (7) $Nb_2O_5$ 한계품위별 (0.01%, 0.1%); 평균중률품위 0.06% (11.5 m), 0.15% (3.0 m).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ebaegsan Mineralized District is the most prospective region for the useful mineral commodities such as a coal, non-metallic, metallic mineral in South Korea.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Cambro- Ordovician limestone formations, Myobong slate and Pungchon (Daegi) limestone, are the most fe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OTEM 물리탐사 측선#1의 측점 #4와 #6사이의 심도 600 m 부근에 위치하는 이 상대를 대상으로, 기존 시추탐사에서 착맥된 광체의 연장성과 부존 양상을 확인하고자장공시추 (1호 공; 1,000 m, 2호공, 700 m)를 계획하였다 (Fig. 2). 특히, Lee et al.
  • 본보고에서는 기존의 시추탐사로 확인된 심부광체의 전체적인 부존 양상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던 CSAMT (Controlled Source Audio-frequency Magneto Tclluric)탐사 결과 (Lee et al., 1998), 광체의 중심부로 판단되는 이상대를 대상으로 장공시추(1,000 이와 700 m)를 수행하여 획득된 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 연구지역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삼척탄전 북측경계부를 따라서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삼척탄 전의 광역지질을 이해하는 것이 이 지역의 지질을 이해하는데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어 우선 삼척탄 전의 일반지질을 기술하고, 연구지역과 관련된 부분은 지질 각론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ang, B.U. (1989) Petrogeochemical study of the Wondong skarn deposit, Korea (?): Unpublished M.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6p. 

  2. Chang, H.W., Lee, M.S., Park, H.I., Kim, J.H. and Chi, J.M. (1990) Study of the Taebaeksan mineralized area: KOSEF 87-0609, 649p. 

  3. Chang, H.W. and Chang, B.U. (1992) Physicochemical study of the Wondong Fe-Pb-Zn skarn deposit,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5-1, p.1-16. 

  4. Cheong, C.H. (1976) Geological Structures of Samcheok Coalfield: Jour. Nat. Acad. Sci., v.15, p.247-277. 

  5. Joo, S.H., Moon, K.J., Kim, S.Y., Kim, D.H. and Chi, S.J. (1989) A study of technique for measurement and use of the stable isotope(I): KIER. 

  6. Joo, S.H., Moon, K.J., Chi, S.J. and Kim, D.H. (1990) A study of technique for measurement and use of the stable isotope(II): KIER. 

  7. Joo, S.H., Chi, S.J. and Kim, D.H. (1991) A study of technique for measurement and use of the stable isotope(III): KIER. 

  8. 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aebaegsan Region (1962) Geological map of Taebaegson region: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7p. 

  9. Kim, S.Y. and Kim, S.U. (1983) A study on geology and metallic mineral deposits: KIGAM, KR-82-2-12, p.201-258. 

  10. Kim, S.J., Noh, J.H. and Lee, Y.R. (1988) Mineralogical Study of Chonrodite in Iron Ore from the Wondong Mine, Korea: J. Miner. Soc. Korea, 1-1, p.63-69. 

  11. Kim, J.H. and Kim, Y.S. (1991)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Taebaek-Hajang 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4, n.1, p.27-41. 

  12. Kim, Y.J. and Lee, D.S. (1983) Geochronology and petrogenetic processes of the so-called Hongjesa granite in the Seogpo-Deogku a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6, p.163-221. 

  13. Kim, Y.D., Oh, M.S., Park, N.Y., Kim, J.G., Hwang, D.H., Kim, M.S., Park, S.W., Kim, S.Y., Hong, Y.K., Lee, S.K. and Im, M.T. (1992) The mineral prospecting for the deep seated hidden ore body in Taebaeksan area, the northern part of Baekunsan synclinal area: KIGAM, KR-92-1C-1, 110p. 

  14. Kim, Y.D., Hwang, D.H., Oh, M.S., Kim, M.S., Park, S.W., Hong, Y.K., Kim, S.Y, Chi, S.J., Lee, S.K., Im, M.T. and Park, I.H (1993) The mineral prospecting for the deep seated hidden ore body in Taebaeksan area, the northern part of Baekunsan synclinal area: KIGAM, KR-93-1C-1, 153p. 

  15. Kim, I.S. and Lim, A Y. (1993) Palaeomagnetism of Cambrian-Triassic Sedimentary Rocks from Taebaek Area, Northeastern Okchon Belt, Korea: Jour. Geol. Soc. Korea, v.29, p.415-436. 

  16. Koo, J.H. and Lee, G.D. (1978) Report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v.3, p.65-74. 

  17. KORES (1977) Samjang Mine,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3, p.497-498. 

  18. KORES (1983)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6. 

  19. KORES (1984)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7. 

  20. KORES (1985)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8. 

  21. Lee, M.S. (1985) Sulfur and Carbon Isotope Studies of Principal Metallic Deposits in the Metallogenic Province of the Tabaeg Mt. Region,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8-3, p.247-251. 

  22. Lee, S.K., Hwang, S.H. Oh, M.S., Hwang, D.H., Park, I.H., and Kim, Y.D. (1998) A Case Study of the Geophysical Exploration for a Deep Polymetallic Mineral Deposits in Wondong Area Using LOTEM and CSAMT Methods: J.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v.35, p.501-511. 

  23. Lee, J.H., Seo, J.R., Kim, Y.U., Lee, H.Y., Park, S.W., Kim, E.J., Heo, C.H. and Ko, I.S. (2010) Evaluation of development possibility for the security of industrial mineral resources(Cu, Pb, Zn, Au etc) on the domestic mines: KIGAM, GP2010-024-2010(1), p.159-206. 

  24. Lim, S.B., Lee, C.B., Kim, D.S. and Kim, Y.B. (1994) Geological survey report of the coalfields of Korea: Samch'ok coalfield: Paekpyongsan-Sirubong area: KIGAM, v.15, 108p. 

  25. Min, K.D., Lee, Y.S. and Hwang, S.Y. (1993) Paleomagnetic Study of the Lower Ordovician Formations in the North Eastern Okcheon Zone: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6, p.395-401. 

  26. Oh, M.S., Kim, Y.D., Hwang, D.H., Lee, J.H. and Sung, K.S. (1994) Polymetallic Mineral Prospecting for the Deep-Seated Ore Body in the Baegunsan Synclinal Zone, Taebaegsan Mineralized District, Eastern Part of Korea: KIGAM, KR-94(C)1-6, 127p. 

  27. Oh, M.S., Lee, J.H., Hwang, D.H., and Sung, K.S. (1995) Polymetallic Mineral Prospecting for the Deep-Seated Ore Body in the Baegunsan Synclinal Zone, Taebaegsan Mineralized District, Eastern Part of Korea: KIGAM, KR-95(C)-9, 81p. 

  28. Park, N.Y. and Seo, J.R. (1976) The report for the Wondong Pb-Zn ore body in Taebaeksan area: KIGAM, unpublished. 

  29. Park, N.Y. and Park, S.W. (1984) Geology and ore genesis of skarn ore deposits in the northern part of Baegunsan geosynclinal zone: KIGAM, Kr-83-22, 94pp. 

  30. Suh, H.G., Kim, D.S., Park, S.H., Lim, S.B., Cho, M.S., Bae, D.J., Lee, D.Y., You, S.S., Park, J.S. and Chae, Y.H.(1979) Ge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KIGAM, 50p. 

  31. Ueda, N. (1969) Evolution of the Continent in Northeastern Asia I: Reconnaissance Survey of the Geochronology of the Korean Peninsular: Jour. Korean Inst. Min. Geol., v.2, p.96-97. 

  32. Yun, S.K. (1967)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Jangseong sheet: KIGAM, 18p. 

  33. 素木卓二 (1940) 江原道 三陟 無煙炭 炭田: 朝鮮總督府 燃料選鑛硏究所, v.14, p.1-1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