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칼리 처리가 제지용 화학펄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Treat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Pulps for Papermaking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3 no.3 = no.141, 2011년, pp.106 - 112  

원종명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김민현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lkaline treatment on the WRV, crystalline structure and sheet structure of softwood and hardwood bleached kraft pulp were investigated. Sodium hydroxide and sodium carbonate were used as chemicals for alkaline treatment and two levels of alkali dosage (5%, 10%) were applied respe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5)그러나 펄프를 머서화할 경우 제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머서화보다는 온화한 조건의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머서화에 사용 되는 조건보다 현저히 온화한 조건으로 처리하였을 때 알칼리의 종류 및 알칼리 농도가 제지용으로 사용되는 침엽수 및 활엽수 펄프의 결정구조와 제지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이와 같은 머서화 과정에서 섬유는 일반적으로 수축되고 광택을 내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머서화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알칼리 농도로 제지용 목재 화학펄프를 처리하였을 경우 어떤 변화가 수반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가성소다와 탄산소다로 처리하였다. 알칼리 처리와 기계적인 처리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침엽수 및 활엽수 표백펄프의 고해수준을 세 수준으로 조절하여 X-ray 회절곡선을 얻은 결과 Figs.
  • 이러한 추세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지기술에 대한 관념과 시각을 완전히 다른 각도에서 검토하고 접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근을 하기 위한 일환으로 제지용 화학펄프를 알칼리로 처리할 경우 수반될 수 있는 섬유 특성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제지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펄프의 알칼리 처리는 제지산업에서 무엇을 위한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는가? 펄프의 알칼리 처리는 제지산업에서 종이 및 필터 제조용 펄프 특성의 개선을 위한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쇄목펄프의 알칼리 처리에 대한 연구도 이미 국내에서 수행된 바 있으며,1)재생섬유의 제지적성 개선용으로도 이미 적용되고 있다.
최근 제지시장의 변화와 관련하여 신제품 개발 및 새로운 기능 부여하거나 새로운 가능성을 강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펄프를 매우 낮은 농도에서의 알칼리 처리 시 펄프 섬유에서 일어나는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그 현상을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가성 소다 및 탄산소다를 이용한 알칼리 처리를 시도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알칼리 처리에 의한 펄프 섬유의 특성 변화는 펄프의 종류, 알칼리 종류 및 처리 조건에 의하여 다른 결과가 얻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활엽수 펄프의 경우에는 가성소다 처리 시 WRV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고해가 진행됨에 따라 그 효과가 상쇄 됨이 확인되었으며, 탄산소다는 뚜렷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 따라서 고해를 최소화하면서도 WRV를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성소다 처리가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해 및 매우 낮은 농도에서의 알칼리 처리는 침엽수 및 활엽수 펄프의 결정구조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으나 가성소다 처리 시 일부 결정구조 변화의 징후가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특히 가성소다로 처리한 펄프로 시트 제조 시 활엽수 펄프 직경의 현저한 수축 및 시트 구조의 벌키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 무엇으로 만드는가? 이와는 달리 인쇄필기용지의 범주를 벗어나 필터지와 같은 특수용지를 제조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능성을 부여하거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가 필요한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 알칼리를 이용한 머서화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필터지를 제조할 때 알칼리를 이용한 머서화를 하거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만든다. 일반적으로 강한 알칼리 수용액으로 셀룰로오스 섬유를 처리하면 Cellulose I 상태의 천연 셀룰로오스가 Cellulose II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a, J.I. and Shin, D.S., Effect of alkali treatment on the properties of pine groundwood pulp, Journal of Korea TAPPI 15(2):24-30(1983). 

  2. Zugenmaier, P., Conformation and packing of various crystalline cellulose fiber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6(9):1341-1417(2001). 

  3. Jahn, A., Schroder, M.W., Futing, M., Schenzel, K. and Diepenbrock, W., Characterization of alkali treated flax fibers by means of FT Raman spectroscopy and 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58(10):2271-2279(2002). 

  4. Dinand, E., Vignon, M., Chanzy, H. and Heux, L. Mercerization of primary wall cellulose and its implication for the conversion of cellulose I $\rightarrow$ cellulose II, Cellulose 9:7-18(2002). 

  5. Mun, S.P. and Jang, M.H., Morphological changes of NBKP by alkali pretreatment, Journal of Korea TAPPI 41(4):58-64(2009). 

  6. Jahn, A., Schroder, M.W., Futing, M., Schroder, K. and Diepenbrock, W., Characterization of alkali treated flax fibres by means of FT Raman spectroscopy and environmenr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pectrochimica Acta Part A 58:2271-2279 (2002). 

  7. Edward, H.G.M., Farwell, D.W. and Webster, D., FT Raman microscopy of untreated natural plant fibers, Spectrochimica Acta Part A 53:2383-2392(1997). 

  8. Oh, S.Y., Yoo, D.I., Shin, Y.S., Kim, C.H., Kim, H.Y., Chung, Y.S., Park, W.H. and Youk, J.H., Crystalline structure analysis of cellulose treated with sodium hydroxide and carbon dioxide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and FTIR spectroscopy, Carbohydrate Research 340:2376-2391(2005). 

  9. Mann, J., Modern methods of determining crystallinity in cellulose, Proceedings of the Wood Chemistry Symposium, p. 95(19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