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통합물류시스템(SCM)이 물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spital SCM on Logistics Performanc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3, 2011년, pp.284 - 292  

조문숙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염영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quality of hospital SCM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ceived usefulness, user satisfaction and logistics performance by hospital staff. Method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특징인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 및 물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이 물류 업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로분석을 통해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와 물류 업무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 지금까지 병원 물류관련 연구는 그동안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병원의 효율적인 물류관리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현황 파악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실태조사 연구이었다. 본 연구는 기업물류의 마케팅 성과평가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근거하여 효율적인 통합물류시스템의 주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병원의 고효율 저비용이 대두되는 시기에 일반 기업 물류의 개념을 도입하여 병원 물류시스템의 경로모형의 구축은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병원물류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병원물류의 업무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과관계 모형을 구축한 후 대상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경로를 검증하는 경로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병원 물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특징인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 및 물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는 물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Seddon(1997)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가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 둘째,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통합물류시스템(SCM) 적용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서비스 품질이 정보, 시스템 품질 및 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시스템 품질과 정보 품질을 향상시켜 내부고객 만족도를 향상시켰다(Song, 2010).
  •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통합물류시스템(SCM)과 마케팅 성과의 구조모형 적합성에 관한 연구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의 관계는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증명되어 시스템 사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은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Im, 2006).
  • 첫째,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Seddon(1997)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보면 정보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있어야만 성공적인 정보 시스템이라 하여 사용으로 얻어지는 지각된 유용성을 변수로 변경하여 시스템 품질과 정보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의 통합물류시스템은 무엇인가? 즉, 물품 공급과 유통의 협의의 물적 유통에서 물품의 공급과 유통뿐만 아니라 물품 자체 관리 및 물품에 관련된 서비스와 정보까지 관리하는 것이다. 병원에서의 통합물류시스템(SCM)이란 환자 진료와 환자 진료 지원에 사용하는 모든 물품의 선정, 구매, 검수, 공급, 재고 관리 및 폐기를 업무적, 공간적으로 한 곳에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통합물류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통합물류시스템(SCM)은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물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급 사슬을 전반적으로 기획하고 통제하기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으로 조달에서 소비까지 재화와 정보가 흘러가는 과정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주요 목적이 있다(Kim, 1998). 즉, 물품 공급과 유통의 협의의 물적 유통에서 물품의 공급과 유통뿐만 아니라 물품 자체 관리 및 물품에 관련된 서비스와 정보까지 관리하는 것이다.
병원 통합물류시스템의 성공모형과 평가지표가 간호직의 물류업무 영역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직은 과학적인 근거와 기준에 의하여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병원의 성공적인 통합물류시스템(SCM) 도입으로 진료부서의 물류관련 업무를 경감시킴으로써 간호 고유 업무에 전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y Bulletin, 107(2), 238-246. 

  2. Chung, K. S., & Park, Y. J. (2001). Service qu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0(1), 173-195. 

  3. Cha, S. J. (2002).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wareness on inventory management in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4. Davis, T. (1993).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Sloan Management Review, 34(4), 35-46. 

  5. DeLone, W. H., & McLean, E. R.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9(4), 9-30. 

  6. Han, S. S., Son, I. S., Gu, J. C., & Lee, S. C. (2007). The study on the effect of health care service quality upon customer loyalty.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35(1), 61-75. 

  7. Hong, G. H. (1999). A study on purchase of medical treatment material and management for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8. Im, C. U.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SCM system's success factor on market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11(3), 37-47. 

  9. Kang, D. W. (2003). (A) Stud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commerce logistics service qu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of Korea, Kyonggi-do. 

  10. Kazuo, Y., Park, M. S., Jo, J. G., & Han, N. H. (2001). Physical distribution administration. Incheon: Woo Yong Publishing INC.. 

  11. Kim, K. S. (2001).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S 4. Seoul: SPSS Academy. 

  12. Kim, J. I. (1998). Achieving logistics excelle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concept. Logistic Research, 6(1), 27-53. 

  13. Kim, C. W., Cha, I. G., & Han J. G. (1999). Modern logistics management. Seoul: Hakmunsa. 

  14. Lee, M. H., & Park, K. T. (2002).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commerce. The Journal of MIS Research, 12(4), 237-253. 

  15. Lee, S. D. (2002). The improvement plan to cut down expenses of supplies operation and stored goods in the Polyclinic hospital - Case of a Polyclin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Lee, S. G., Park, K. T., Kim, J. W., & Choi, J. H. (2000). The impact of SCM strategy on logistics service activities and logistics performance. Logistic Research, 8(1), 49-63. 

  17. Lee, Y. H., & Yoon, S. J. (2002). A baseline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for appropriate management of medical supplies and goods at general hospitals in Korea. Korea Society of Medical QA, 9(1), 6-17. 

  18. Li, D.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quality on the partnership in Shang Hai.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Busan. 

  19. Mun, J. S.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ipper's logistics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ong Myong University of Korea, Busan. 

  20. Nah, S. D. (2006). A study on the a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and partnership to performance of SCM. Industry Education, 13, 369-388. 

  21. Rai, A., Lang, S. S., & Welker, R. B. (2002). Assessing the validity of IS success models: An empirical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13(1), 50-69. 

  22. Rai, A., Lang, S. S., & Welker, R. B. (2002). Assessing the validity of IS success models: An empirical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13(1), 50-69. 

  23. Seddon, P. B. (1997).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 Reserch, 8(3), 240-253. 

  24. Song, I. K. (2010). The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information & system qualities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s: Based on SME's SCM environment. Korea Society of Internet Information, 11(1), 183-193. 

  25. Shin, H. K. (2009). A study on material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of small & medium general hospitals: Focused on small & medium general hospitals in the capit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26. Stank, T. P., Goldsby, T. J., Vickery, S. K., & Savitskie, K. (2003). Logistics service performance: Estimating its influence on market share.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24(1), 27-56. 

  27. Yom, Y. H., & Lee, I. J. (2010) Causal relationships among quality, service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381-390. 

  28. Youn, S. H., & Kim, S. O.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practice and SCM performance: A moderating effect of top management support and matching supply chains with products.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49, 157-179. 

  29. Zeithaml, V. A., Parasuraman, A., & Berry, L. L. (1990). Delivering quality service. New York: Fre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