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섬 산지형공원의 생물서식 기능 및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송파구 오금공원을 사례로 -
Method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Habitat and Eco-friendly Use In Urban Area Mountain Parks - Ogeum Neighborhood Park,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11년, pp.83 - 97  

허지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심 산지형 근린공원의 생태적 이용적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공간구분을 하고, 공간별 기능에 적절한 개선방안의 목표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송파구 녹지축 선상의 거점녹지이고 산지형 근린공원인 오금공원으로 면적은 약 22ha이다. 적정 공간구분을 위한 평가체계는 총 3단계로 이루어지며, 1단계는 공간단위 구분, 2단계는 공간기능 평가, 3단계는 공간 적정기능 배분 및 개선방안 제시이었다. 공간단위는 오금공원의 산림지형을 토대로 유역권 분석을 하고 토지이용 현황을 고려하여 총 8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공간기능 평가 단계는 생물서식 기능 항목에서 식물생태(식생유형, 층위구조, 잠재식생), 동물생태(야생조류), 수계 현황을 분석하였고, 여가휴양 및 이용 기능 항목으로 경사도, 소음, 산책로, 이용현황, 시설물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생물서식 기능 평가는 식생자연성, 식생다양성, 식생잠재성, 동물다양성, 동물서식 잠재성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공간별 평가점수를 등급화한 결과, 생물서식 기능 평가 점수의 최대점의 90%에 해당하는 IV, VII지역이 A등급, II, V 지역은 70%에 해당하는 B등급, I, VI 지역은 50%에 해당하는 C등급이었으며, 50%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III, VIII 지역은 등급제외를 하였다. 여가휴양 및 이용 기능 평가는 이용잠재성, 이용선호성, 이용집중성, 이용다양성, 이용편의성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공간별 평가점수를 등급화한 결과, 여가휴양 및 이용 기능 평가 최대점수의 90%에 해당하는 A등급은 V, VI 지역, 70%에 해당하는 B등급은 I, VII 지역, 50% 기준의 C등급은 II, IV, VIII지역이었으며, 50%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III 지역은 등급제외를 하였다. 공간기능 평가 결과를 토대로 생물서식 기능과 여가휴양 및 이용 기능의 등급을 종합하여 적정 공간구분을 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구분 기준에 따라 생태적 공간, 친자연적 이용 공간, 이용적 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생물서식 기능과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공간별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ace allocation with an assess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ecological use and function of each space was undertaken to suggest appropriate goals and directions. Ogeum Park, used as the study site, is a stronghold green zone located in the fan-shaped area of the Songp...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건설교통부, 국토연구원(2002)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2. 곽정인(2007) 도심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서식기반 조성을 위한 토지이용구조와 녹지구조 개선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강동구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국토해양부(1999)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기준 연구. 국토해양부 보고서. 

  4.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1) 속리산국립공원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4(1): 63-68. 

  6.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7. 김정호(2005) 도시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토지이용계획 기법 연구: 경기도 하남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찬열(1994) 야생조류의 서식에 적합한 도시환경림 조성 및 관리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울시립대학교(2004) 공원녹지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기본계획. 서울시립대학교 보고서. 

  10. 신사철, 김성준, 채효석, 권기량, 이윤아(2002) 공간정보를 이용한 유역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3): 33-44. 

  11. 심준영, 이종성, 이시영(2006) 도시자연공원과 근린공원에 대한 중요도 요소 평가의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5(12): 1163-1170. 

  12. 안득수(2002) 수경시설에 의한 도로교통소음 마스킹 효과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9-19. 

  13. 오구균(1998) 식재설계 및 시공시 조경수종 사용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자생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251-258. 

  14.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 서울: 문교부. 

  15. 이경재, 한봉호(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 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2): 28-37. 

  16. 이종용, 이용범(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7): 97-110. 

  17. 최기철(1981) 기초생태학. 서울: 향문사. 

  18. 허승녕, 최정호, 이규석, 서병기, 권기원(2001) 도시근린공원의 식생도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0(2): 147-155. 

  19.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녹지의 자연성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최송현, 이경재(1996) 환경영향평가중 삼림생태계 평가기법개발(II): 녹지의 자연성 평가. 환경영향평가학회지 5(2): 33-47. 

  21. 최진우(2009) 한국 수도권 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비오톱유형 분류 및 평가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국토지개발공사(1993) 공원.녹지계획지표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보고서. 

  23. 환경부(2001a) 친환경적인 국토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보고서. 

  24. 환경부(2001b)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 지표 개발. 환경부 보고서. 

  25. Ammer, U. and H. Utschick(1988) Zur okologischen Wertanalyse im Wald. Schriftenreihe Bayer. Landesamt Umweltschutz 84: 37-50. 

  26. Bender, D. J., T. A. Contreras and L. Fahrig(1998) Habitat loss and population decline: A meta-analysis of the patch size effect. Ecology 79: 517-533. 

  27. Bibby, C. J., N. D. Burgess and D. 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28. Frissell, C. A.(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s. Journal of Forestry. 73: 481-483. 

  29. Hooper, R. G., H. S. Grawford and R. F. Harlow(1973) Bird density and diversity as related to veget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rea. J. of Forestry 71: 766-769. 

  30. Kirby, K.(1986) Forest and woodland evaluation. In: M. B. Usher(ed.),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Chapman and Hall Ltd., New York. pp. 201-222. 

  31. MacArthur, R. and J. MacArthur(1961) On bird species diversity. Ecology 42: 594-598. 

  32.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33. Scott, J. M., F. Davis, B. Csuti, R. Noss, B. Bultterfield, C. Groves, H. Anderson, S. Caicco, F. D'Erchia, T. C. Edwards, Jr., J. Ulliman, and R. G. Wright(1993) Gap analysis: a geograpic approach to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Wildlife Monographs 123: 1-41. 

  34. Tuxen, R.(1956) Die heutige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als Gegenstand der Vegetationskartierung. - Angew. Pflanzensoz. 13: 5-42. Stolzenau / Weser. 

  35. 環境情報科學センタ?(1992) 自然環境アセスメソト指針. 朝倉書店.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