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골목상권으로서 샤로수길 가로 경관의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of Streetscape in Syarosu-gil as Urban Commercial Alleywa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5, 2021년, pp.125 - 137  

임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도심에 위치한 좁고 오래된 골목길이 뜨는 상권이 되어 사람들의 발길을 끄는 현상을 미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면도로라는 입지와 소규모 점포의 집합을 조건 삼는 도심 골목상권 특유의 미적 경험을 논하고,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샤로수길을 사례로 하여 그 경관적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은 공간적 측면에서 크고 정제된 대로변 도시 조직과의 대비를 통해, 시간적 측면에서 오래된 것/새로운 것의 조화와 알려진 것/덜 알려진 것의 길항을 통해 발생한다. 샤로수길의 물리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00년대 지어진 고층건물을 지나 1970년대 후반 이후의 다양한 건축연한을 지닌 저층 건축군으로 들어서는 진입 과정과 노포, 신규 점포가 어우러지는 골목 내부의 가로 경관으로 볼 때 샤로수길은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환경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샤로수길의 도심 골목상권 부상과 연계하여 관악구청은 명칭, 간판, 포장을 중심으로 가로 정비사업을 시행하였으며, 전술한 미적 경험에 비추어 그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샤로수길' 명칭의 공식화는 대상지를 장소특정성으로부터 탈피하게 하고 대안성을 획득하게 하였다. 둘째, 노포의 간판 개선사업은 상업 주체의 측면에서 신/구 조화를 추구하지만 이미지의 측면에서는 시간성의 뒤섞임을 발생시킨다. 셋째, 보행자우선도로 조성 사업에서 노면의 포장은 골목 정체성을 강화하고 영역을 가시화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현실이 이용자의 방문, 즉 체험에 좌우된다는 점을 상기할 때, 감각과 미학의 관점에서 도심 골목상권의 경관을 해석한 본 연구의 시각은 관련 제도와 데이터 기반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w can we explain the phenomenon of small, old alleyways in the city becoming rising commercial places attracting peopl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is research discusses distinctive aesthetic experiences of urban commercial alleyways, which are located on inner roads and consist of small-scal...

주제어

참고문헌 (36)

  1. BC card Bigdata Center(2020) Reading People by Big Data: People, Time and Space Through Consumption. Seoul: Miraebook. 

  2. Carlson, A.(2014) Ten steps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environmental aesthetics. In M. Drenthen and J. Keulartz. eds., Environmental Aesthetics: Crossing Divides and Breaking Ground.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pp. 13-24. 

  3. Chu, M. S., S. A. Kwon, and Y. S. Kwon(2017) The analysis of commercialization and building changes in low-rise residential area with SNS data: The Case of Sharosoo-Gil. Seoul.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7(1): 381-382. 

  4. Duncum, P.(2007) Aesthetics, popular visual culture, and designer capitalism. Journal of Art and Design Education 26(3): 285-295. 

  5. Gwanak-gu Office Construction Management Divison(2018a) Business Selection of Syarosu-gil Sign Improvement Project 2018. 

  6. Gwanak-gu Office Construction Management Divison(2018b) Promotion Plan of Syarosu-gil Sign Improvement Project 2018. 

  7. Gwanak-gu Office Traffic Administration Division(2017) Construction Project Plan of Gwanak-ro 14-gil Pedestrian Priority Road. 

  8. Jacobs, J.(1961)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유강은 역(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서울: 그린비. 

  9. Jeong, D. G. and H. Y. Yoon(2017) Survival analysis of food business establishments in a major retail district and its extended area: A case study on Itaewon, Seoul,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3(3): 57-68. 

  10. Kil, E. J.(2019) A Study on the Changing Types of Restaurant Business in Naksungdae-dong Sharosu-gi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Kim, B. G.(2016) Do you know Syarosu-gil and Bong-ri-dan-gil? Warm Gwanak Happy Magazine 444. 

  12. Kim, J. I.(2019)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ridangil trend, commercial streets with similar name - Focused on analyzing internet trend data and locational properti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20(3): 69-82. 

  13. Kim, M. G.(2018) Euljiro, Again. Seoul: Three Chairs. 

  14. Kim, Y. J.(2016) Box Office Economics. Seoul: Across. 

  15. Kim, Y. J.(2017) War of Alley: How Does Consumer Market Move? Seoul: Smart Books. 

  16. Lee, H. I., S. H. Kim, and J. C. Yoo(2019)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Support Process for the Success Stories of the Charosoo Road Sign Improvement Project. KSBDA Fall International Conference Thesis Paper Booklet: 125-128. 

  17. Lee, S. H., G. C. Shin, and S. W. Yang(2011)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livability factors of garosoo-gil as a commercial street in Sinsa-dong,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6): 77-88. 

  18. Lim, S. P., and K. G. Hong(2019) An analysis on the activation factors of the commercial street - focused on the analysis of location conditions in commercial street linked to traditional market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9: 265-268. 

  19.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 M.I.T. Press. 

  20. Mo, J. R.(2017) Alleyway Capital: How is City Designed to Gather People and Money? Paju: Dasan3.0. 

  21. Saito, Y.(2007) Everyday Aesthe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Saito, Y.(2017) Aesthetics of the Familiar: Everyday Life and World-Mak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Shin, M. J. and J. H. Pae(2019) Interpretation of aesthetic significance of revitalized landscape in Seongsu-dong, Seoul, using the hipster concept.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Conference 2019: 5-6. 

  24. Simmel, G.(1904) Fashion. International Quarterly 10(1): 130-155. 유행의 심리학, 사회학적 연구. 김덕영, 윤미애 편역(2005)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서울: 새물결. 

  25. Son, E. S. and J. H. Pae(2016) Critical review on everyday aesthetics by Yuriko Saito.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utumn Conference 2016: 37-39. 

  26. Trigg, D.(2006) The Phenomenology of the Alleyway. The Aesthetics of Decay: Nothingness, Nostalgia, and the Absence of Reason. New Studies in Aesthetics 37. New York: Peter Lang. 

  27. WFRI(2019) Review of Real Estate Rental Business in Major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28. Yoon, C. S.(2015 October 29) [Seoul Hot Place] Gwanak-gu 'Syarosugil'. SeoulShinmun.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1030015004. 

  29. Hernandez, M.(2014) On the Hipster Aesthetic in Four Acts. http://aestheticstoday.blogspot.com/2014/11/on-hipster-aesthetic-in-four-acts-by.html 

  30. https://golmok.seoul.go.kr/. 

  31. https://www.mapzen.com/blog/mapping-seoul-buildings/. 

  32. Kim, G. H.(2017, March 9) Outlined Pedestrian Priority Roads, Where are 18 Business Locations This Year? Money Today.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7030813270973245&type1 

  33. Lee, G. P.(2014 November 27) Descending of Examination Town 'Nokdu-geo-ri' and Rising of 'Syarosu-gil' in front of Seoul National Unive rsity. Munhwailbo.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4112701071221159001 

  34. Lee, J. Y.(2017 August 2) Crowded Syarosu-gi... Merchants Weeping on the Side. Kukminilbo.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92771 

  35. Park, J. I.(2018 March 15) Gwanak-gu, Consultation for One-person Household with 2030 Generation. The Asia Business Daily. https://www.asiae.co.kr/article/2018031421394406438 

  36. Park, S. H. and S. T. Kang(2018 November 9) Earning Rate of Real Es tate Development in District of Seoul Reflected on Big Data. Maekyung Economy.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8/11/7026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