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차가버섯 추출물의 MMPs 발현 저해 및 HAS-2 발현 증가효과
Effect of Inonotus obliquus Extract on the Expression MMPs and HAS-2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3, 2011년, pp.237 - 245  

이소헌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박선희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이강혁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박수진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영희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가버섯의 70 %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엘라스타제 저해능,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 저해 및 HAS-2 (hyaluronan synthase-2) 발현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 및 함유성분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과 엘라스타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 및 엘라스타제 저해 효능을 보였으며($SC_{50}$ = 91 ${\mu}g$/mL, $IC_{50}$ = 124 ${\mu}g$/mL), 함유성분 중 Gallic acid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MMPs 발현능 평가에서, 차가버섯 추출물은 5 ~ 25 ${\mu}g$/mL의 농도에서 50 ~ 79 % MMP-1 mRNA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MMP-2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10 ${\mu}g$/mL에서 약 20 %를 감소시켰다. MMP-9의 발현에서도 5 ~ 25 ${\mu}g$/mL의 농도에서 54 ~ 70 %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AS-2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이 전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HAS-2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가버섯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nonotus obliqu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wrinkle-care cosmetics, we prepared 70 % ethanolic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and measure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e also evaluated the effect of Inono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주름관련 인자들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차가버섯의 함유 성분으로 알려진 페놀성 화합물 중 Gall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iringic acid, 2,5-dihydroxyterephtalic acid를 확인하였으며, 페놀성 화합물이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주름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 또한 항암, 혈당강하, 간보호 및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12-18].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한 차가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MMPs의 발현 저해 및 HAS-2 발현 증가효과를 측정하여,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히알루론산은 어떤 고분자물질인가? 세포외기질에 있어 히알루론산은 수분 보유, 세포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도 관여하여, 히알루론산의 생산이 촉진되면 피부의 신진 대사가 촉진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히알루론산은 황산기가 부착되지 않은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nonsulfated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글루쿠로닉산과 N-아세틸 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형의 고분자물질이다.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다.
차가버섯은 무엇인가?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소나무 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약용 버섯으로, 주로 북위 45도 이상의 러시아를 비롯한 한랭지역에서 자생하는 검은 자작나무, 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등에 기생하는 균 핵이다. 표면은 검고 내부는 황갈색을 띠고 있으며, 대부분 직경이 10 ~ 20 cm 정도의 크기로 주로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체내에서 히알루론산이 합성되는 장소와 합성된 히알루론산이 분포하는 장소는 어디인가? 히알루론산은 황산기가 부착되지 않은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nonsulfated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글루쿠로닉산과 N-아세틸 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형의 고분자물질이다.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다. 인간의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것이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 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H. Chung,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toimmunnol photomed., 19, 109 (2003). 

  2. K. Takeda, S. Harada, and M. Ando, Funtional cosmetology,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of japan, Yakuji Nippo Ltd., 1, 163 (2004). 

  3. K. Fraizer, S. Williams, D. Kothapal, H. Klapper, and G. R. Grotendorst, Stimulation of fibroblast cell-growth, matrix production, and granulationtissue formation by connective-tissue growth-factor,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7(3), 404 (1996). 

  4. P. Brenneisen, and J. S. Oh, et al., Ultraviolet B wavelength dependence for the regulation of two major matrix-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 TI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64(5), 877 (1996). 

  5. M. O. Longas, C. S. Russell, and X. Y. He, Evidence for structural changes in dermatan sulfate and hyaluronic acid with aging, Carbohydr. Res., 159, 127 (1987). 

  6. I. Gheretich, T. Lotti, G. Campanile, C. Grappone, and G. Dini, Hyaluronic acid in custaneous intrinsic aging, Int. J. Dermatol., 33, 119 (1994). 

  7. L. Kier, Tritepenes of Poria obliqua, J. Pharm. Sci., 50(6), 471 (1961). 

  8. A. N. Shibirina,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s extracted from Inonotus obliquus, Chem. Abstr., 66, 17271 (1967). 

  9. K. Kahlos and R. Hiltunen, Identification of some lanostane type triperpenes from Inonotus obliquus, Acta Pharm Fenn., 92, 220 (1983). 

  10. H. J. Kim, C. B. Jin, and Y. S. Le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Inonotus obliquus, Kor. J. Pharmacogn., 38(2), 164 (2007). 

  11. K. C. Park, H. S. Han, and Y. J. Lee,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Fructificatio Inonoti obliqui aqueous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2)-anti-oxidative activity, anti inflammatory effect and cancer cell multiplication inhibition effect, Kor. J. Herbology, 22(4), 187 (2007). 

  12. T. Mizuno, C. Zhuang, K. Abe, H. Okamoto, T. Kiho, S. Ukai, S. Leelere, and Meijer, Antitumor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the sclerotia and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Per:FR.) Pil. (Aplryllophoromycetidae), Int. J. Med. Mushrooms, 1, 301 (1999). 

  13. Y. S. Shin, Y. Tamai, and M. Terazawa, Citation chemical constituents of Inonotus obliquus I.:A new triterpene, 3 $\beta$ -hydroxy-8,24-dien-lanosta-21,23- lactone from sclerotium, Euras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 43 (2000). 

  14. S. P. Wasser and A. L. Weis, Therapeutic effect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a modern perspective, Crit. Rev. Immunol., 19(1), 65 (1999). 

  15. K. Kahlos and V. H. Tikka, Antifungal activity of cysteine, Its effect on C-21 oxygenated lanosterol derivatives and other lipids in Inonotus-obliquus, in-vitro,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42(2-3), 385 (1994). 

  16. T. Ichimura, T. Otake, H. Mori, and S. Maruyama, HIV-1 protease inhibition and anti-HIV effect of natural and synthetic water-soluble lignin-like substanc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3(12), 2202 (1999). 

  17. K. Kahlos, L. Kangas, and R. Hiltunen, Antitumor activity of some compounds and fractions from an n-hexane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 vitro, Acta Pharm Fennica, 96, 33 (1987). 

  18. Y. O. Kim, H. W. Park, J. H. Kim, J. Y. Lee, S. H. Moon, and C. S. Shin, Anti-cancer effect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ndo-polysaccharide from cultivated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Life Sci., 79(1), 72 (2006). 

  19. J. S. Choi, Screening on radical savenging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Kor. J. Pharmacogn, 21(2), 252 (2000). 

  20. A. A. Van de Loosdrecht, E. Nennie, G. J. Ossenkoppele, R. H. Beelen, and M. M. Langenhuijsen, Cell 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U 937 cells by human monocytes and macrophages in a modified colorimetric MTT assay. A methodological study, J. Immunol. Methods, 141(1), 15 (1991). 

  21. H. K. Ju, H. W. Chung, S. S. Hong, J. H. Park a, J. M. Lee, and S. W. Kwon, Effect of steam treatment on soluble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Food Chemistry, 119(2), 619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