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y Inonotus obliquus in Human Glioblastoma U-87 MG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022 - 1028  

신정아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박주현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김선희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송관영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러시아에서 여러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차가버섯은 대장암, 위암 등에서 항암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종양에 대한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차가버섯의 항암 효능에 대한 기전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세포생존율 변화와 형태학적 변화,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및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U-87 MG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cl-2, Bax와 p-p53 단백질 수준차이는 없었고 caspase-3 활성에 영향을 미쳐 죽음 수용체 경로에 의한 세포사멸이 이루어졌다. 또한 세포주기를 관찰한 결과 $G_0/G_1$ 세포주기에서 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yclin D1, CDK2 단백질 발현량의 감소와 RB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 때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차가버섯을 뇌종양의 치료 및 보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was considered a functional food with an anti-cancer effect in colon, gastric, and lung canc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chaga mushroom extract in brain cancer. Glioblastoma U-87 MG cells were used in investig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함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가버섯이 신경교모세포종의 성장을 지연시켜 항암제 및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또한 대부분의 차가버섯 관련 연구가 추출법에 따른 효능 및 성분 분석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확한 항암기전의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 추출물이 신경교모세포종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하고 세포사멸에 관련된 Bcl-2, Bax, p53 단백질의 발현과 caspase-3 활성,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DK2, cyclin D1의 발현 차이를 분석하고 세포주기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산화된 RB 단백질과의 연관성을 통해 차가버섯 추출물의 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가버섯은 무엇인가?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러시아 시베리아와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의 지역에서 검은 자작나무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차가버섯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산화스트레스 예방(4,5), 항염(6-8), 통증완화(6) 등에 대한 많은 연구 논문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차가버섯 추출물은 흑색종 세포 B16-F10(9), 대장암 세포 DLD-1(1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S3(11) 그리고 위암세포 SNU-484(12) 등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증식을 억제하며 항암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며 신경교모세포종의 항암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세포사멸이란? 세포사멸(apoptosis)은 세포가 성장 및 분화과정을 거쳐 그 기능을 끝낸 후에 맞는 예정된 죽음으로 생리학적 과정을 일컫는다. 이는 세포막이 유지되면서 세포 탈수현상에 의한 세포수축, DNA 절편화, 세포막 낭형성,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핵 절단 및 세포사멸 소체 형성이 동반된다(13,14).
cyclin D는 CDK4 또는 CDK6과 결합하고 cyclin E는 CDK2와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이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세포주기 중 G1기는 외부에서 증식 및 억제 신호를 받아들이는 유일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cyclin D는 CDK4 또는 CDK6과 결합하고 cyclin E는 CDK2와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결합체들은 RB 단백질을 인산화 시켜 전사조절인자인 E2F를 활성화함으로써 세포를 S기로 이행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DW, Kim TY, Park JT, Kim JM. 2001. Apoptosis induced by cisplatin in human glioblastoma A172 cells. J Korean Neurosurg Soc 30: S5-S12. 

  2. Madajewicz S, Chowhan N, Tfayli A, Roque C, Meek A, Davis R. 2000. Therapy for patients with high grade astrocytoma using intraarterial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Cancer 88: 2350-2356. 

  3. Vick NA, Khandekar JD, Bigner DD. 1977. Chemotherapy of brain tumors. Arch Neurol 34: 523-526. 

  4. Najafzadeh M, Reynolds PD, Baumgartner A, Jerwood D, Anderson D. 2007. Chaga mushroom extract inhibits oxidative DNA damage in lymphocytes of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Biofactors 31: 191-200. 

  5. Lee IK, Kim YS, Jang YW, Jung JY, Yun BS. 2007. New antioxidant polyphenol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Bioorg Med Chem Lett 17: 6678-6681. 

  6. Park YM, Won JH, Kim YH, Choi JW, Park HJ, Lee KT. 2005. In vivo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J Ethnopharmacol 101: 120-128. 

  7. Kim HG, Yoon DH, Kim CH, Shrestha B, Chang WC, Lim SY, Lee WH, Han SG, Lee JO, Lim MH, Kim GY, Choi S, Song WO, Sung JM, Hwang KC, Kim TW. 2007. Ethanol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Med Food 10: 80-89. 

  8. Sung B, Pandey MK, Nakajima Y, Nishida H, Konishi T, Chaturvedi MM, Aggarwal BB. 2008. Identification of a novel blocker of $I{\kappa}B{\alpha}$ kinase activation that enhan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and invasion by suppressing nuclear factor- ${\kappa}B$ . Mol Cancer Ther 7: 191-201. 

  9. Youn MJ, Kim JK, Park SY, Kim Y, Park C, Kim ES, Park KI, So HS, Park R. 2009. Potential anticancer properties of the water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melanoma B16-F10 cells. J Ethnopharmacol 121: 221-228. 

  10. Kim EJ, Lee YJ, Shin HK, Yoon Park JH. 2006. A study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6-523. 

  11. Burczyk J, Gawron A, Slotwinska M, Smietana B, Terminska K. 1996. Antimitotic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Boll Chim Farm 135: 306-309. 

  12. Hwang YJ, Noh GW, Kim SH. 2003. Effect of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caspase-3 activity in human castro-intestinal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6: 18-23. 

  13. Cohen JJ. 1993. Apoptosis. Immunol Today 14: 126-130. 

  14. Searle J, Kerr JF, Bishop CJ. 1982. Necrosis and apoptosis: Distinct modes of cell death with fundamentally different significance. Pathol Annu 17: 229-259. 

  15. Okragly A, O'Brien M. 1999. Death $check^{TM}$ assay systems for monitoring apoptosis. Promega Notes 72: 3-6. 

  16. Burnette WN. 1981. "Western blotting": electrophoretic transfer of proteins from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s to unmodified nitrocellulose and radiographic detection with antibody and radioiodinated protein A. Anal Biochem 112: 195-203. 

  17. Hiddemann W, Schumann J, Andreef M. 1984. Convention on nomenclature for DNA cytometry. Cytometry 5: 445-446. 

  18. Kuo ML, Huang TS, Lin JK. 1996. Curcumin, an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er, induces apoptosis in human leukemia cells. Biochim Biophys Acta 1317: 95-100. 

  19. Beaulieu JF, Quaroni A. 1991. Clonal analysis of sucraseisomaltase expression in the human colon adenocarcinoma Caco-2 cells. Biochem J 280: 599-608. 

  20. Rho SN, Hong JY. 1998. Antitumor effect and the change of chemosensitivity of chitosan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 Korean J Nutr 31: 739-746. 

  21. Zhang M, Cui SW, Cheung PCK, Wang Q. 2007.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s: a review on their isolation proces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tumor activity. Trends Food Sci Technol 18: 4-19. 

  22. Farrow SN, Brown R. 1996. New members of the Bcl-2 family and their protein partners. Curr Opin Genet Dev 6:45-49. 

  23. Bae JT, Chang JS, Lee KR. 2002. Effect of Sarcodon aspratus extract on expression of cycle-associated proteins in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9-332. 

  24. Levine AJ, Momand J, Finlay CA. 1991. The p53 tumour suppressor gene. Nature 351: 453-456. 

  25. Finlay CA, Hinds PW, Tan TH, Eliyahu D, Oren M, Levine AJ. 1988. Activating mutations for transformation by p53 produce a gene product that forms an hsc70-p53 complex with an altered half-life. Mol Cell Biol 8: 531-539. 

  26. Hengartn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6. 

  27. Nicholson DW, Thornberry NA. 1997. Caspases: killer proteases. Trends Biochem Sci 22: 299-306. 

  28. Kim YK, Kim HJ, Kwon CH, Kim JH, Woo JS, Jung JS, Kim JM. 2005. Role of ERK activation in cisplatin-induced apoptosis in OK renal epithelial cells. J Appl Toxicol 25:374-382. 

  29. Ye M, Liu JK, Lu ZX, Zhao Y, Liu SF, Li LL, Tan M, Weng XX, Li W, Cao Y. 2005. Grifolin, a potential antitumor natural product from the mushroom Albatrellus confluens, inhibits tumor cell growth by inducing apoptosis in vitro. FEBS Lett 579: 3437-3443. 

  30. Jo EH, Kim SH, Ra JC, Kim SR, Cho SD, Jung JW, Yang SR, Park JS, Hwang JW, Aruoma OI, Kim TY, Lee YS, Kang KS. 2005. Chemopreventive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chinese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root: induction of apoptosis and G1 cell cycle arrest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Cancer Lett 230: 239-247. 

  31. Sartorius U, Schmitz I, Krammer PH. 2001. Molecular mechanisms of death-receptor-mediated apoptosis. Chembiochem 2: 20-29. 

  32. Fulda S, Debatin K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4798-4811. 

  33. Pardee AB. 1989. G1 events and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Science 246: 603-608. 

  34. Elledge SJ. 1996. Cell cycle checkpoints: preventing an identity crisis. Science 274: 1664-1672. 

  35. Alao JP. 2007. The regulation of cyclin D1 degradation: roles in cancer development and the potential for therapeutic invention. Mol Cancer 6: 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