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달의 서식실태와 보존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0월 까지 북한강수계를 대상으로 분포, 식이습성, 위협요인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포는 크게 댐호수와 하천구간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고, 댐호수에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으며, 하천상류에는 48개소, 하천하류에는 22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을 발견하여 하천상류에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습성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에서 수집된 배설물을 이용하여 출현빈도와 출현부피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36.99%), 그 다음이 양서류(17.22%), 곤충(15.85%) 순으로 나타났다.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이종의 지역 간 분류군별 출현부피는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높았고, 하천 구간에서는 양서류와 곤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댐호수 구간의 출현부피는 하천 구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ANOVA, F = 3.99, p < 0.05). 북한강수계의 수달서식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정치어망과 버려진 폐그물로, 체계적인 관리와 수달의 익사방지를 위한 수달보호격자의 설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달의 서식실태와 보존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0월 까지 북한강수계를 대상으로 분포, 식이습성, 위협요인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포는 크게 댐호수와 하천구간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고, 댐호수에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으며, 하천상류에는 48개소, 하천하류에는 22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을 발견하여 하천상류에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습성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에서 수집된 배설물을 이용하여 출현빈도와 출현부피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36.99%), 그 다음이 양서류(17.22%), 곤충(15.85%) 순으로 나타났다.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이종의 지역 간 분류군별 출현부피는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높았고, 하천 구간에서는 양서류와 곤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댐호수 구간의 출현부피는 하천 구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ANOVA, F = 3.99, p < 0.05). 북한강수계의 수달서식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정치어망과 버려진 폐그물로, 체계적인 관리와 수달의 익사방지를 위한 수달보호격자의 설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policies. We conducted the study around the Bukhan river from April to October 2009, mostly focusing on otter distribution, feeding habit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policies. We conducted the study around the Bukhan river from April to October 2009, mostly focusing on otter distribution, feeding habits, threats, and conservation measures. We divided the study area into 2 sectors: the dam area and the stream. We found 39 spraint sites in the dam area and 70 in the stream are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spraint sites between the upper stream and the lower stream. To evaluate the feeding habit,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bulk occurrence of the spraints. Among the prey items, fish were the most numerous (36.99%) followed by amphibians (17.22%). Fish showed the highest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and the bulk occurrence of amphibians and insects seemed to increase in the stream area. However, the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seeme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stream area (ANOVA, F = 3.99, p < 0.05). Fyke nets and abandoned fishing nets were found to be the most threatening factors. Further research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otters and the use of stop grids is required for better conservation of ott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otter inhabitation and conservation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policies. We conducted the study around the Bukhan river from April to October 2009, mostly focusing on otter distribution, feeding habits, threats, and conservation measures. We divided the study area into 2 sectors: the dam area and the stream. We found 39 spraint sites in the dam area and 70 in the stream are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spraint sites between the upper stream and the lower stream. To evaluate the feeding habit,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bulk occurrence of the spraints. Among the prey items, fish were the most numerous (36.99%) followed by amphibians (17.22%). Fish showed the highest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and the bulk occurrence of amphibians and insects seemed to increase in the stream area. However, the bulk occurrence in the dam area seeme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stream area (ANOVA, F = 3.99, p < 0.05). Fyke nets and abandoned fishing nets were found to be the most threatening factors. Further research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otters and the use of stop grids is required for better conservation of ott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현재 북한강수계는 자연서식지 감소와 인간의 간섭들로 인해 수달의 서식환경이 위협받고 있다. 이에 북한강수계에서 수달 분포와 더불어 서식 수달의 식이습성, 위협요인 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수립 및 보호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 방법
댐호수와 하천 상 . 하류 구간에서의 수달 서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댐호수 구간을 중심으로 A지역, 하천상류구간을 B지역, 홍천강을포함한하천하류 구간을 C지역으로구분하였다<그림 1>.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소형보트, 차량, 도보로 수달의 서 식 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지 역을 매 2km내에서 선정하고,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로 300m, 하류로 300m씩 600m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Mason & Macdonald 1987). 수집된 수달 배설물은 GPS 좌표를 기록하였고,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달 배설물들은 수집하여 식 이습성 연구에 이용하였다.
식이습성 분석을 위해 냉동보관 했던 배설물 시료를 해동하여 배설물 내에 잔류된 먹 이 종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배설물의 전처리는 시료를 체(Seive 0.
3mm)에 두고 초당 약 25의 흐르는 물에 수세하여 식이 물 파편들을 잔류시켰다. 그 후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잔류물을 관찰하고 수달먹이의 종 조성 및 출현 빈도를 산출하였다. 배설물 분석 에서 중요한 것은 먹이 종의 종류와각각의 먹이 영역비를결정하는것인데, 특히 먹이 영역비는 먹이와 배설물 분석 간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온 출현부피 , 출현빈도 등의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문화재청 2001; Jenkins et al.
대상 데이터
연구를 위한 현장조사는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52일(13차 조사)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조사 지역은 소양강을 포함한 북한강수계(호소, 하천) 전역을 대상으로 하였고, 댐호수와 하천 상 . 하류 구간에서의 수달 서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댐호수 구간을 중심으로 A지역, 하천상류구간을 B지역, 홍천강을포함한하천하류 구간을 C지역으로구분하였다<그림 1>.
연구 대상지는 국립지리정보원의 1:50, 000 도엽을기준으로 하천의 구조와 지형지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소형보트, 차량, 도보로 수달의 서 식 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지 역을 매 2km내에서 선정하고,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로 300m, 하류로 300m씩 600m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Mason & Macdonald 1987).
현장조사는 소형보트, 차량, 도보로 수달의 서 식 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지 역을 매 2km내에서 선정하고,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로 300m, 하류로 300m씩 600m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Mason & Macdonald 1987). 수집된 수달 배설물은 GPS 좌표를 기록하였고, 현장에서 발견되는 수달 배설물들은 수집하여 식 이습성 연구에 이용하였다. 수집한 배설물은 폴리에틸렌 봉투에 넣어 표시하고 시료를 실험실로 이송후 분석 전까지 -24C로 냉동 보관하여 변성을 최소화 하였다.
북한강수계의 댐호수 구간과 하천 구간에서 수집된 191개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수달의 식이습성을 파악하였다. 배설물에서 출현된 각각의 먹이 종들에 대한 분류군별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36.
데이터처리
현장조사에서 수집.정리한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산분석 결과에서 유의성을 나타내는 결과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으로 던칸검정 (Duncan's test)를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였다.
정리한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산분석 결과에서 유의성을 나타내는 결과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으로 던칸검정 (Duncan's test)를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수달의 서식 및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댐 호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다. 파로호, 소양호와 같은 상류 지역에서는 수달의 배설물 지점이 빈번히 관찰되었고, 북한강하류로 내 려갈수록 수달의 배설지점 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수달의 서식 및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댐 호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39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다. 파로호, 소양호와 같은 상류 지역에서는 수달의 배설물 지점이 빈번히 관찰되었고, 북한강하류로 내 려갈수록 수달의 배설지점 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하천 구간을중심으로수달의 서식 및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북한강수계의 하천 상류 구간인 인제군 일원의 인북천과 내린천에서는 48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다<그림 3>. 그리고 하천 하류 구간인 홍천강 일원과 의 암호 아래 에서부터 북한강수계 본류의 하류 구간인 양수리까지는 22개소의 수달 배설물 지점이 발견되었다<그림 4>,
배설물에서 출현된 각각의 먹이 종들에 대한 분류군별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어류가 36.9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양서류(17.22%), 곤충(15.8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형 포유류는 B지 역에서 1회 관찰되었다,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이 종의 분류군별 지역 간 출현부피를 비교해 보면,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하천 구간인 C지 역에서는 양서류와 곤충의 비율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수달 배설물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인제군, 홍천군이 있는 상류 구간은 다른 구간들에 비해 수달이 비교적 우수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
배설물에서 섭취된 각 먹이 종의 부피를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BE분석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 (93.2%, Pearson correlation, p< 0.01), 서식지별 수달이 섭취하는 먹이 종에 대해 각 지역 간 출현부피에서 유의차를 보였다(ANOVA, F = 3.99, p< 0.05). 사후검정으로 각 지 역간 출현부피 에 대해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하천 구간인 B와 C지역은 출현부피 에 있어 동일 그룹 (DunM)으로 분석되었으나(B지역; n=62, C지역; n=66), 댐호수 구간인 A지 역(n=63)은 B*C 지 역과 다른 그룹 (Dumari1)으로 분석되어 댐호수 구간이 하천지 역에 비해 출현 부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7>.
05). 사후검정으로 각 지 역간 출현부피 에 대해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하천 구간인 B와 C지역은 출현부피 에 있어 동일 그룹 (DunM)으로 분석되었으나(B지역; n=62, C지역; n=66), 댐호수 구간인 A지 역(n=63)은 B*C 지 역과 다른 그룹 (Dumari1)으로 분석되어 댐호수 구간이 하천지 역에 비해 출현 부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7>.
수달의 분포는 북한강수계를 서식 형태로 구분하면 댐에 의해 생겨난 댐호수 지역과 하천 지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댐호수지역 중 파로호구간에 서식하는 수달의 경우에는 호수의 상류 계곡부유역에서 안정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하부지 역으로는 수달의 배설물들이 상류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현 빈도가 낮았다. 소양호는 배설물 출현지점간의 거리가 5km 이상으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었고 그 수도 많지 않은 상태 여서 이 지 역에서 의 수달 개체군의 크기를 가늠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분석된 수달배설물 시료 중 총 9개의 배설물에서 나일론 그물 일부와 낚싯줄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북한강수계에 서식하는 수달을 위협하는 요소로는 흔히 강에서 행해지는 그물어 업과 낚시 활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의암호 하류에서 양수리에 이르는 북한강 하류 구간들을 보면, 조종천과 묵현천 일부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수달의 배설물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그림 4>, 이처 럼 수달의 배설물이 출현하지 않는 지역들을 보면 댐과 인접해 있거나, 댐하류의 수량이 집중되는 지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6개의 댐 중여기에 해당하는 평화의댐과 화천댐, 소양강댐의 경우 강우량이 많아지는 6월부터 8월까지 수위가 최대 10m 증가되면서 수달의 서식이 7~8월을중심으로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ANOVA, F = 4.23, p< 0.05)<그림 8>.
등 다양한 수달의 서식환경이 갖추어져 있다. 그 중수 달의 먹이포식 장소는주로물가에 있는바윗돌 위 또는 물가 바윗돌 틈새 였으며 , 배설은 주로 물가의 바윗돌 위나 큰 자갈 및 돌무더기 위에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수달의 식이습성에 있어서도 수계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서식지 특성상 어류와 양서류가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낸다는 연구사례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표 1>.
수달 배설물에서 출현된 먹 이 종의 지역간 분류군별출현부피를 비교하면 댐호수 구간에서는 어류가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하천 구간에서는 어류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양서류와 곤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서식지의 수환경이 호수를 기반으로 하는 A지 역에서는 어류의 양이 증가하지만 이 에반해 하천지역에서는 주변 환경이 양서류나 곤충의 먹이양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서식지의 수환경이 호수를 기반으로 하는 A지 역에서는 어류의 양이 증가하지만 이 에반해 하천지역에서는 주변 환경이 양서류나 곤충의 먹이양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더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실시된 BE분석 에서 각 지역 간 출현부피를 비교해보았을 때, 댐호수 구간의 출현부피는 낮은 값을 보였는데 (ANOVA, F = 3.99, p< 0.05), 이는 댐호수 구간의 넓고 고립된 환경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먹이 포획량 및 성공 빈도가 상대적으로 하천의 폭이 좁고 다양한 먹 이종이 서식하고 있는 하천지 역에 비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지 역과 남(2004)의 연구 비교에서는 이 지역 수달의 먹 이습성 대부분을 차지하는 어류와 양서류, 곤충의 출현빈도가 공통으로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여 식이습성 양상에는 현재에도 유사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
그리고 유럽 에서 실제 사용되어 지고있는 수달 보호방법의 하나로 수달들이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달보호격자(Stop grid)를 우리나라에도 적극 적용하는 방안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그리고 유럽 에서 실제 사용되어 지고있는 수달 보호방법의 하나로 수달들이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달보호격자(Stop grid)<사진 4>를 우리나라에도 적극 적용하는 방안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그렇게 된다면 수달의 익사방지를 저감시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어민들의 생계와도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수확어량의 감소를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 인 보존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