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이용한 수변지역 핵심 보전지역 선정 - 수달을 대상으로 -
Selecting Core Areas for Conserving Riparian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for Eurasian Otter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2, 2015년, pp.19 - 32  

정승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동걸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부)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김호걸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ignificant riparian areas have been developed due to river maintenance projects. Introduction of new riparian facilities can negatively affect wildlife in the riparian areas. This study focuses on selecting core conservation areas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to support decision ma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전문가의 경험과 직관을 중시하는 하천 자연도 평가결과와 통계에 기반한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는 서식지 적합성 평가의 결과로 보완하여 핵심 보전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와 하천생태조사지도 구축을 통해 우수한 현장조사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수달의 서식지 적합성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하천 자연도 평가 결과와의 보완을 통해 핵심보전지역을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형 무선발신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높여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의 지표종인 수달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하천생태조사지도를 구축하여 서식지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하천 자연도 평가 결과와 서식지 적합성 평가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여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수달의 핵심 보전지역을 선정하였다.
  • 두 개의 평가 방법의 결과가 상반된 지역은 하천 자연도 평가의 세부적인 항목과 서식지 적합성 평가에 반영된 변수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방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자연도와 서식 적합성이 모두 높게 나타난 지점이 반드시 보전되어야 할 지역으로 판단하고, 핵심 보전지역 선정 시 우선적인 고려가 필요한 지역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자연도 평가와 서식지 적합성 평가가 갖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수달의 핵심 보전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하천 자연도 평가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중요 지표로서 수변 서식처의 기능 평가, 생물종의 생존능력 항목 평가에 활용되고 있어 보전지역 선정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 두 평가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연도가 높고 서식 적합성이 높은 지역의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의 경험과 직관을 중시하는 하천 자연도 평가결과와 통계에 기반한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는 서식지 적합성 평가의 결과로 보완하여 핵심 보전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와 하천생태조사지도 구축을 통해 우수한 현장조사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수달의 서식지 적합성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하천 자연도 평가 결과와의 보완을 통해 핵심보전지역을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넷째, 하천 자연도 평가 결과와 서식지 적합성 평가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여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달 서식지 보전지역을 선정한다. 이를 통해 하천 자연도 평가가 갖는 장단점과 서식지 적합성 평가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수달의 핵심 보전지역 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개발계획 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원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생물군집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일이라고 알려져 있다(Primack, 2004; Beazley et al., 2005).
선진국에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 2005). 오래전부터 선진국에서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보호지역을 계획(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및 GAP분석을 이용하여 보호지역에 대하여 객관화된 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계획하거나 관리하는 기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거나 적용하고 있다(Zonneveld and Forman, 1990; Kwon, 2011). 국내에서는 단순히 생물종이 많이 출현하는 지역만을 기준으로 보호지역을 선정하거나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보호지역을 선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EI, 2008; Kwon, 2011).
하천 서식지를 파괴하는 수변시설에는 어떤 게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하천의 이수, 치수, 친수 기능을 강조한 하천정비사업을 전국단위로 진행하였다. 하천의 제방안과 밖에는 관광시설 및 수변여가시설, 수변공원, 생활체육 시설 확충, 도로확장 및 제방이 신설될 예정이다(Wonju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2010). 이러한 수변시설들은 서식지 파편화 및 파괴로 이어지고, 서식지의 파괴는 어류, 조류, 양서파충류 및 포유류의 서식 환경을 악화시키고 하천과 수변녹지의 연결성 저하로 수변생물의 이동을 어렵게 만들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킬 것이다(Kw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azley, K. 2005. Biodiversity Conservations in System Planning: Map-Based Approach for Nova Scotia, CANADA, Ecological Applications, 15(6), 2005, pp. 2192-2208. 

  2. Cho Y. 199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2): 73-81. (in Korean) 

  3. Cho Y. 1997b.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1. Report for habitat conditions and protect methods of Otter. (in Korean) 

  5.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02. Report for habitat for Otter. (in Korean) 

  6. Green, J. and Green, R. 1987. Otter survey of Scotland, 1984-1985. London: Vincent Wildlife Trust. 

  7. Han S. 1997. Ecology of Korean Otter and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89-94. (in Korean) 

  8. IUCN. 1990. IUCN RedList of Threatened Animals-IUCN, Gland. 

  9. Jeong S. 2014. Evaluation model of riparian corridor connectivity: a case study of Seom river basin, Gangwon-do,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0. Jeong S..Lee HS.Park JH.Lee DK.Park CH and Seo CW. 2015.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1): 101-111. (in Korean) 

  11.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2008. Research promotion system for Northeast Asia network. (in Korean) 

  12. Krunk H. 1995. Wild otters; Predation and Population. Inst. Terrestrial Eco, Banchory, Scotland: Oxford Univ Press. 

  13. Kwon H.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4. Lenton, E. J..Chapin, P. R. F. and Jefferies, D. J. 1980. Otter survey of England. 1977-1979. London: Nature Conservancy Council. 

  15. Mcdonald, D. W. 1985. The Carnivores: order Carnivore. Clarendon, Oxford: In Social odorin mammals. pp. 619-722. 

  16. Mcdonald, D. W. 1980. Pattern of scent marking with urine and feces among carnivore communities. Symoposia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45, pp.107-139. 

  17. Michael, S. 1987. Species richness - a geographic approach to protecting future biological diversity.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1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7. Report for river maintenance consider restoration of habitat for Otter. (in Korean) 

  19. 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06. Research report for behavior and inhabited environment for otter by using remote trace. (in Korean) 

  20. Park BJ.Shin, JI and Jung KS. 2005.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for Biological Habitat Restoration: I. Proposal of Evalua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1): 37-48. (in Korean) 

  21. Phillips, S. J. and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2), 161-175. 

  22. Primack, R. B. 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3rded. Sunderland, MAs: Sinauer Associates. 

  23. Song W. 2011. Habitat Network Modeling of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Based on the Spatial Graph Theory,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4. USDA. 2001. Stream Corridor Restoration. 

  25. Won C. and Cho Y. 2008. Research for taxonomic and geographical variation of Otte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26. Wonju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2010. Report for basic plans for Seomjingang River. (in Korean) 

  27.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07. Report for habitat condition of Otter. (in Korean) 

  28. Yeongs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04. Report for establishing ecosystem conservation area for Otter in Seomjingang River. (in Korean) 

  29. Yu M. 2012, Conservation plan of wildlife riparian habitat of Seom River basin, Korea,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0. Zonneveld, I. S. and Forman R. T. 1990. Changing Landscape: An Ecological Perspective. Springer-Verlag,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