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편식아의 영양상담을 통해 본 편식에 대한 인식의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 Unbalanced Diet from the Viewpoi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1, 2011년, pp.58 - 71  

안미진 (하안북 초등학교) ,  백희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조용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an unbalanced diet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o nutrition counse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lient-centered counseling was performed over one semester with four volunteer children in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사회를 수식하는 표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급속한 성장, 출산율 저하, 맞벌이 부부, 핵가족화 등은 현재의 한국 사회를 수식하고 있는 표현들 중 하나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편의주의 식생활로 인한 가공식품의 남용과 외식의 증가, 잘못된 식습관의 형성으로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편식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령기 아동들에게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학령기 아동,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의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식습관 형성은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은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Kim & Lee 2001).
현재 영양상담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에서 시간,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상담시간을 갖지 못하여 어떤 결과가 초래되었는가? 현재 영양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충분한 상담시간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상담에 있어서 상담자인 영양교사가 아동 스스로 문제를 찾도록 이끄는 인도자 혹은 안내자의 역할을 하기 보다는 영양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양상에 머물고 있다(이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인수, 고전, 권순달, 이수희, 이애랑, 임경숙, 정영진, 김종만, 강병구, 조혜영, 김운종 (2003): 영양교사 자격양성 및 임용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정책연구소. 정책연구. pp.105-108 

  2.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09): 한국어 대사전. 창작마을. 서울. pp.6665 

  3. 박희근 (2010): 학교에서의 영양 . 식생활교육의 활성화 방안. 학교 영양교육 활성화 기반 마련을 위한 국회 정책토론회 토의발표자료. pp.51-57 

  4. 이미영, 박지영, 주연화, 최경숙 (2010): 일부 수도권 영양교사와 영양사간의 학생영양상담 실태 비교. 전국영양사학술대회 자료집. 대한영양사협회. 서울. pp.349 

  5. 이영미, 김정현 (2001): 영양판정. 효일. 서울. pp.282-283 

  6. 조용환 (1999):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서울. pp.15-23 

  7. 조현춘, 조현재 (2009):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서울. pp.27, pp.195 

  8. 한글학회 (1992):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서울. pp.4423 

  9. 한글학회 (2005): 우리말 사전. 글나래. 서울. pp.2407 

  10. Amos Hatch J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서울. pp.54, pp.65 

  11.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2005):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4):393-404 

  12. Creswell JW (2007):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서울. pp.49-68 

  13. Kim GM, Lee SY (2001): A study on consciousness of administrator and dietitian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al education. J Korean Diet Assoc 7(2):129-137 

  14. Kim YH (2001):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and evalution of the effective of nutrition.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4-43 

  15. Kim YH,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 Assoc 10(3):345-355 

  16. Oh YJ (200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 and the children's unbalance diet. Masters degree thesis. Incheon University. pp.7-39 

  17. Park MJ (2008):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for correction of unbalance diet-with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Yongin University. pp.14-58 

  18.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 J Korean Diet Assoc 6(1):17-25 

  19. Son HN, Park MJ, Han JS (2009):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frequency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J Korean Diet Assoc 15(1):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