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식개선을 위한 초등학생 영양교육 교재 개발 및 교육 효과 - 초등학교 2, 3학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Workbook for Improvement of Child Picky Eaters - Focused on 2nd and 3rd Graders -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2, 2011년, pp.130 - 141  

우태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지윤정 (창원시 보건소 건강증진팀)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workbook to improve picky eating in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this developed workbook. The developed workbook focused on 2nd and 3rd grade students and consisted of five units. The contents included: m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 매체 선정 시 저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물 식품이나 모형 자료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학습 참고자료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식품과 관련된 영양생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의 예시자료는 Fig.
  • 제시되어진 활동으로는 실물 관찰과 색, 맛, 촉감 표현 활동, 차시별 주제와 관련된 노래부르기, 실천과제제시 등으로 아동활동중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매체 선정 시 저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물 식품이나 모형 자료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학습 참고자료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식품과 관련된 영양생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편식습관 개선을 위한 아동활동 중심의 교재를 개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된 교재의 교육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아동 발달 단계에 적합하면서 교실수업에 활용 가능한 교재의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교재가 추구하는 교육목표인 편식행동 개선을 위한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각 단원별로 제시되어지는 식품에 대한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 제시되어진 활동으로는 실물 관찰과 색, 맛, 촉감 표현 활동, 차시별 주제와 관련된 노래부르기, 실천과제제시 등으로 아동활동중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교재는 창원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영양교육이 영양교육 교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하여 시도되어진 것이다. 학교 급식과 연계하여 아동 영양문제 개선을 위해 다루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하였으며, 교육 효과 분석에서 의도되어진 목표가 달성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편식 습관 중에서도 좀 더 먹어야 될 식품인 잡곡, 채소, 생선, 우유를 교육 주제로 선택하고 섭취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동기는 행동의 근원이 되는 힘이며 일어난 행동을 지속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김 등 2009).
  • 본 연구의 특징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중심으로 아동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학교교육 과정 내에서 영양교육 시간을 확보하여 1,67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아울러 개발되어진 교재는 활동북으로써 별도의 활동지가 필요 없이 5차시의 교실수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으며, 교육결과 아동의 편식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편식습관 개선을 위한 아동활동 중심의 교재를 개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된 교재의 교육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아동 발달 단계에 적합하면서 교실수업에 활용 가능한 교재의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게 기호도와 섭취 빈도가 낮은 대표적인 식품은 무엇인가? 1. 아동에게 기호도와 섭취 빈도가 낮은 대표적인 식품인 잡곡, 채소, 생선, 우유를 교육 주제로 선정하였으며, 활동으로는 실물 관찰과 색, 맛, 촉감 표현 활동, 차시별 주제와 관련된 노래부르기, 실천과제제시 등으로 아동중심 활동교육이 될 수 있도록 workbook 형태로 교재를 제작하였다.
학교 영양교육의 형태는 무엇이 있는가? 학교 영양교육의 형태는 면대면 교육인 교실 수업과 상담, 간접교육의 형태인 가정통신문이나 온·오프라인 게시물, 방송교육 등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강 2002) 교실수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수업 시간에 일어나는 교사의 몸짓, 말, 행동, 태도, 움직임, 교육내용 등은 그 자체가 교육 매체가 되어 아동의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허 2005).
교실수업이 학교 영양교육의 형태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뽑힌 이유는? 학교 영양교육의 형태는 면대면 교육인 교실 수업과 상담, 간접교육의 형태인 가정통신문이나 온·오프라인 게시물, 방송교육 등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강 2002) 교실수업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수업 시간에 일어나는 교사의 몸짓, 말, 행동, 태도, 움직임, 교육내용 등은 그 자체가 교육 매체가 되어 아동의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허 2005). 면대면 교육인 교실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영양교사들은 표준화된 교육 지도안의 부재를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다(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숙희 (2002): 인터넷과 수업. 교육과학사. 서울. pp. 29-30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학년도 급식실시현황.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web/1110/ko/board/view.do?bbsId149&boardSeq15352. Accessed January 23, 2011 

  3. 김유미, 남미애, 조현희, 권인숙, 안미화, 이선미, 고정자 (2009): 해피클릭! 수업 노하우 발견. (주)학지사. 서울. pp.204-206 

  4. 농림수산식품부 (2010): 녹색식생활길라잡이. 교학사. 서울. 

  5. 대한영양사협회 (2006): 영양과 건강. (주)Kmc21c. 창원. 

  6.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트랜스지방, 당, 나트륨 섭취 저감화 교육 교재. 디자인인스. 서울. 

  7.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어린이식생활환경조사 결과 보도 자료.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index.kfda. Accessed February 4, 2010 

  8. 허영주 (2005): 교육매체의 재개념화를 통한 교사 역할의 탐색. 교육학연구 43(4):171-193 

  9.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266-276 

  10. Choi HJ, Seo JS (2003): Nutrient intakes and obesity-rel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8(4):477-484 

  11. Choi MK, Lee YS (2008): The dietary behaviors, taste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children consuming unbalanced die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1):127-134 

  12. Contento IR (2006):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 pp.104-108, pp.308-313 

  13. Hyo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2(2):168-177 

  14. Kang MH, Yoon KS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52-61 

  15. Kim JH (2010): The study of the reality of nutritional education, before and after working as nutrition teachers-centering on yeongseo region in gangwondo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27-29 

  16.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1):50-60 

  17. Kim SB, Choi HJ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3(6):922- 933 

  18. Kim YH (2009): Americ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Prac Arts Edu 22(2):213-234 

  19. Kim YH,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 Assoc 10(3):345-355 

  20.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3): 201-213 

  21. Kwon SJ, Sung SJ, Ly SY (2010): The interrelations among nutr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 school lunch leftovers and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 Korean J Community Nutr 15(1):94- 107 

  22. Lee AR, Moon HK, Kim EK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body image recogn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6(2): 171-178 

  23. Lee JE, Jung I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J Korean Home Econ Edu Assoc 17(2):79-93 

  24. Lee MY, Kim YA (2006):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 Assoc 44(10):109-120 

  25. Min KC, Park YS, Park HW, Lee MH, Shin YC, Cho KB, Rhie KI, Jeaung KO, Shin YS, Yoon HS (2006): Nutrition educat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north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Nutr 19(2):183-192 

  26. Oh YJ, Lee YM, Kim JH, Ahn HS, Kim JW, Park HR, Seo JS, Kim KW, Kwon OR, Park HK, Lee EJ, Sung HN (2008): Interview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J Community Nutr 13(4):499-509 

  27. Park HJ, Lee JS, Kim EK (2010):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6(3):226-238 

  28. Park HS, Ahn SH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6(3):298-305 

  29. Park J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Nutr 37(10):928-937 

  30.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4):403-416 

  31.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89-101 

  32. Shin KO, Yoo YY, Park HS (2005):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8(6):455-464 

  33. Woo TJ, Her ES, Lee KH (2006):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3):299-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