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지대두박을 첨가한 찰옥수수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Noodles Containing Defatted Soybea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584 - 1590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탈지대두박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찰옥수수 생면 및 건면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대두박을 첨가한 찰옥수수 생면 및 건면의 조리 후 중량, 수분흡수율 및 부피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건면이 생면보다 조리 후 중량, 수분흡수율 및 부피는 높은 반면 조리 국물의 탁도는 생면이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생면과 건면 모두 대조구에 비해 L값은 감소하고 a 및 b값은 증가하였다. 생면의 색도는 건면에 비해 L, a, b 모두 낮았다. 조리 후 생면 및 건면의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응집성을 측정한 결과 부착성을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생면이 건면보다 견고성, 부착성, 씹힘성 및 검성은 낮은 반면 응집성과 탄력성은 생면이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씹는 동안 그리고 씹은 후의 느낌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지만, 외관, 풍미 및 전반적 기호도는 높았다. 생면이 향, 씹은 후의 느낌 및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건면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탈지대두박 첨가 찰옥수수 면 제조 시 탈지대두박의 적정 첨가량은 15~20%로 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noodles (WCN) made with different defatted soybean powder (DFP). The WCN was evaluated for their cooking properties (weight, water absorption, volume, and turbidity),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두유 제조 분산물인 탈지대두박의 이용성 증대와 높은 아밀로펙틴 함량으로 인하여 제면적성이 떨어지는 찰옥수수를 이용한 국수 제조를 위하여 탈지대두박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찰옥수수 생면 및 건면을 제조하고 이들에 대한 조리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3대 식량작물인 옥수수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것의 종류는? 옥수수는 쌀, 밀과 함께 세계 3대 식량작물이며 특유의 맛과 비타민 등의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식용 및 가공식품, 동물용 사료, 공업용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1,2).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옥수수는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튀김옥수수 및 찰 옥수수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육성된 찰옥수수는 찰옥 1, 2, 4호, 흑점찰, 수원 45호, 연농 1호, 두메찰 및 흑진주찰 등 다양하고 품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85% 이상의 아밀로펙틴을 함유하고 있어 찰성이 높고, 건조된 것은 수분 7.5%, 단백질 11.
옥수수는 무엇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가? 옥수수는 쌀, 밀과 함께 세계 3대 식량작물이며 특유의 맛과 비타민 등의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식용 및 가공식품, 동물용 사료, 공업용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1,2).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옥수수는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튀김옥수수 및 찰 옥수수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육성된 찰옥수수는 찰옥 1, 2, 4호, 흑점찰, 수원 45호, 연농 1호, 두메찰 및 흑진주찰 등 다양하고 품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85% 이상의 아밀로펙틴을 함유하고 있어 찰성이 높고, 건조된 것은 수분 7.
대두의 일반성분은 무엇인가? 대두는 쌀, 보리와 함께 중요한 식량자원의 하나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되어 왔다. 대두의 일반성분은 단백질 20~45%, 지방 18~22%, 탄수화물 22~29%, 회분 4~5%이고, 이외에 isoflavone, saponin, phenolic acids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12,13). 탈지대두박은 대두로부터 기름을 추출한 후 생겨나는 부산물로써 높은 단백질 함량과 인체 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원료 및 식품 소재로의 이용이 많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부분은 사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 식품 소재로의 활용은 부족한 실정이다(14-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JT, Hur OS, Kim SL, Kim MJ, Son BY, Lee JS, Baek SB, Seo SJ, Kim WH. 2011. The quality change of fresh waxy corn pre-cooled and stored in low temperature after harvest. Korean J Intl Agric 23: 95-101. 

  2. Jung TW, Moon HG, Cha SW, Kim SL, Kim SK, Son BY. 2001. Comparis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in waxy corn hybrids with a white and black colored pericarp. Korean J Breed 33: 40-44. 

  3. Yun JT, Park SU, Lee SY, Song SH, Moon HG, Kim KH. 1999.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hybrid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Breed 31: 7-13. 

  4. Hyun YH, Nam HW, Pyun JW.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repared glutinous core flour. Korean J Food & Nutr 21: 293-299. 

  5. Lee SH, Hwang IG, Kim HY, Lee HY,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Starch properties of Daehak waxy corn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73-579. 

  6. Lee SH, Hwang IG, Kim HY, Lee HY,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ehak waxy corn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19-724. 

  7. Kim SL, Park SU, Cha SW, Seo JH, Jung TW. 1994. Changes of major quality characters during grain filling in waxy corn and super sweet corn. Korean J Crop Sci 39: 73-78. 

  8. Lee YY, Kim CG, Jung TW, Lee CK, Kim WH, Kim SK. 2011. Optimum plant density and harvest time to increase the marketing value of colored waxy corns. Korean J Intl Agric 23: 45-50. 

  9. Lee SS, Yang SK, Hong SB. 2007. Optimum plant populations of a super sweet corn hybrid at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Crop Sci 52: 334-340. 

  10. Lee HB, Park BY, Ji HC, Cho JW, Kim SH, Mo EK, Lee MR.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lored waxy corns. Korean J Crop Sci 51: 179-184. 

  11. Seo YH, Kim IJ, Lee AS, Min H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12. Myung JE, Hwang IY.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s. Korea Soybean Digest 25: 23-29. 

  13. Shon DH. 1997.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milk and cow's milk (a review). Korea Soybean Digest 14: 66-76. 

  14. Park KU, Kim JY, Seo KI. 2009.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activitie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exhibited by edible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Korean J Food Preserv 16: 754-758. 

  15. Rim AR, Jung ES, Kim SY, Lee SC. 2005.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efatted soybean mea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00-403. 

  16. Park KU, Wee JJ, Kim JY, Jeong CH, Kang KS, Cho YS, Seo KI. 2005. Anticancer and immuno-activities of edible crude saponin from soybean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09-1513. 

  17. Yun SS. 1991. History of noodle culture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6: 85-94. 

  18. Keihan ML, Tragardh C, Eliasson AC, Dejmek P. 1990. Time-resolved shear viscosity of wheat flour doughs - Effect of mixing shear rate, and resting on the viscosity of doughs of different flours. Cereal Chem 74: 49-57. 

  19. Medcalf DG. 1968. Wheat starch properties and their effect on bread baking quality. Baker's Dig 42: 48-52. 

  20.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21-1025. 

  21. Kim UJ, Yoon JY, Kim HS.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2-697. 

  22.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23. Min SH, Shin S, Won M. 2010. Characteristics of noodles with added Polygonati odoratum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24-530. 

  24. Kong S, Lee 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74-280. 

  25.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681-688. 

  26. Park NK, Song JC, Kim KJ, Lee CK, Jeong HS, Chung MJ. 1999.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67-172. 

  27. Bae SH, Lee C. 1998.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01-1306. 

  28. Lim YS, Cha WJ, Lee SK, Kim Y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icii fructus pow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83. 

  29.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120-127. 

  30. Morad MM, EL-Magoli SB, Afifi SA. 1980. Macaroni supplemented with lupin and defatted soybean flours. J Food Sci 45: 404-405. 

  31. Park HK, Lee HG. 2005.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rice noodle added with isolated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26-338. 

  32. Lee CH, Park SH. 1982.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