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류 분야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주제 분석
A Study on Co-authorship Network in the Journals of a Branch of Logistics 원문보기

산업공학 = IE Interfaces, v.25 no.4, 2012년, pp.458 - 471  

임혜선 (경기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장태우 (경기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s who have co-authorship in the logistics-related journals in Korea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e analyzed the co-authorship data of 781 articles published from 2005 to 2011 in four journals of 'Logistic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역 중심성은 같은 크기를 가진 연결망들 사이에서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Kim,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별 중심성이 높은 저자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지표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물류 분야의 협력연구에 대한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중심성 지표에 따른 네트워크 내 개인의 비중을 수치화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공저자 데이터 및 공저자 네트워크를 통해 물류 분야의 협력연구의 형태와 주제에 대해 파악하고자 물류 분야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과 물류 분야의 연구그룹들의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지표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물류 분야의 협력연구에 대한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중심성 지표에 따른 네트워크 내 개인의 비중을 수치화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그룹에 존재하는 핵심 저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저자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중심이란 용어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와 중요성은 행위자의 집단 내 의사 결정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혁신이 용이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성과가 높아질 수 있는 위치라고 정리할 수 있다(Sohn, 2002).
  •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학술지를 대상으로 국내 물류 분야 연구 협력관계를 조사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각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781편의 저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자 데이터를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류연구의 실질적 지식생산자인 저자를 중심으로 한 공저자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 연구주제 분석은 물류 분야의 연구그룹들의 협력연구 활동의 세부 주제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물류 분야 전체의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전체 논문의 키워드 데이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을 때 주제별 구분이 어려워 앞서 선택한 네 개의 핵심 컴포넌트를 대상으로 연구주제 분석을 수행하였다.
  • 최근 물류 분야 학술 연구자들의 공저 또는 공동연구와 같은 협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수행 및 전문가집단의 의견 수렴 과정 등에서 주요 활동 연구그룹 파악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물류학회지를 대상으로 공저 관계에 있는 저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크 (Co-authorship network)에 대한 분석한 선행연구(Lim, 2011)도 있으나 본 연구는 국내 물류연구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지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의 목표는 무엇인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의 목표는 개인, 조직 국가와 같은 사회적 존재들 사이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파악하고, 네트워크 구조의 형태와 내용을 찾아내는 데 있다. 또한 네트워크 형태 및 내용을 결정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개체 간의 구체적인 사회적 관계, 즉 네트워크 구조가 사회 시스템과 행위자의 운영과 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Kim, 2011).
국내 물류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물류 분야의 학술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 물류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물류 분야의 학술지로는 한국물류학회지, 로지스틱스연구, 한국SCM학회지, 해운물류연구 등이 있다. 이들 학술지 중에 해운물류연구가 1981년 가장 먼저 발간되었으며, 이후 한국물류학회지, 로지스틱스연구, 한국SCM학회지 순으로 발간되었다.
국내 물류 분야의 학술지의 발간 순서는? 국내 물류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물류 분야의 학술지로는 한국물류학회지, 로지스틱스연구, 한국SCM학회지, 해운물류연구 등이 있다. 이들 학술지 중에 해운물류연구가 1981년 가장 먼저 발간되었으며, 이후 한국물류학회지, 로지스틱스연구, 한국SCM학회지 순으로 발간되었다. 네 가지 학술지에 대한 세부 정보는 [Table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ail Networks, 1, 215-239. 

  2. Huang, M. H., Ahn, J. H., and Jahng, J. J. (2008), Patterns of Collaboration Networks : Co-authorship Analysis of MIS Quarterly from 1996 to 2004,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3(4), 193-207. 

  3. Kim, H. S. (2009), Influence of Researcher Network Structure on Research Performance : Applied to Korean Nano Technology Researchers,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4. Kim, S.-H. and Chang, R.-S. (2010), The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its Applicability to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71-87. 

  5. Kim, T. H., Moon, S., Kim, W., and Choi, D. (2008), Research trends analysis and future researches in Korean logistics journal, Journal of Logistics Study, 16(1), 1-11. 

  6. Kim, Y. H. (2003), Social Network Analysis, Pakyoungsa, Seoul, Korea. 

  7. Kim, Y. 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Pakyoungsa, Seoul, Korea. 

  8. Kim, Y. H., Yoon, J. R., Cho, H., and Kim, Y. J. (2007), Structure of Collaboration Network among Korean Scientists-'Small World' and Position Effect,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41(4), 68-103 . 

  9. Kim, Y. Y. (2011),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entrality of Co-authorship Networks an Author Productivi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brary, Archive and Informatio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10. Lee, S.-S. (2010),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Community,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297-315. 

  11. Lee, S.-S. (2011), A Analytic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authorship Network Based of the Co-author Frequency,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05-125. 

  12. Lim, B.-H. (2011),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Measure Network Structure of Coauthored People in istics Logistics : Focusing on Korean Logistics Review, Korea Logistics Review, 21(2), 205-229. 

  13. Moody, J. (2004), The Structure of a Social Collaboration Network : Disciplinary Cohesion from 1963 to 1999,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9, 213-238. 

  14. Nam, S. H. and Seol, S.-S. (2007), Coauthorship Analysis of Innovation Studies in Korea :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0(4), 605-628. 

  15. Newman, M. E. J. (2001a),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 Network construction and fundamental results, Physical Review, E64, 016131-8 . 

  16. Newman, M. E. J. (2001b),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I Shortest paths, weighted networks, and centrality, Physical Review, E64, 016132-7 . 

  17. Peters, H. P. F and van Raan, A. F. (1991), Structuring scientific activities by co-author analysis, Scientometrics, 20(1), 235-255. 

  18. Sohn, D. W.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Kyungmoonsa, Seoul, Korea. 

  19. Wasserman, S. and Katherine, F.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