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tween Korea and the U.S.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1, 2012년, pp.76 - 87  

홍은희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이철한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Korean and the U.S.A..'s television anti-smoking advertisements that were coined to discourage adults and teens smoking. A content analysis of 71 television advertisements listed in the "Smoking Guidance Program" operated by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is study evalu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3에서는 한국의 금연광고와 미국의 금연광고가 서로 다른 문화로 인해서 메시지의 유형과 감정이 서로 다른 비율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집단주의 문화로 개인보다 집단의 영향력이 개인의 행동에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반대로 미국의 경우에는 개인주의적 문화로 개인의 판단이 집단의 영향보다 행동에 미치는 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기저에 있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연구하였고, 금연광고를 전달하기 위한 감정의 요소는 무엇인지를 조사하였고, 한국과 미국간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메시지 소구유형과 감정 사용의 차이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금연광고 중 얼마만큼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미국의 금연광고와 한국의 금연광고를 비교하게 된 주된 동기는 2005년도부터 실행된 금연 캠페인에서 광고 제작의 경우 오랜 기간 금연광고가 집행된 미국의 사례를 초창기에는 어느정도 참고하여 한국적 현실에 반영토록 한 점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를 대상으로 어떤 메시지가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분석하며 특히 문화가 다른 한국과 미국의 광고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금연광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건강신념 모델은 사람들을 이성적인 행위자로 가정하고 있으며 금연광고 메시지에 담긴 담배의 위협(risk)과 금연행위의 혜택(benefit), 금연을 실행하는데 장애요소(barrier)의 중요성을 평가하여 금연을 할지 말지를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현재의 행동을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가 자신에게도 쉽게 일어나는 것이며, 그 문제는 심각한 것이며, 그 제안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하며, 새로운 건강습관을 가지는데 있어서의 방해요소나 대가보다 효용 더 크다고 생각해야 행동을 채택하게 되는 것이다[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금연 캠페인에서 중심적인 을 하고 있는 수단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금연 캠페인은 텔레비전 광고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상홍보물이나 옥외광고, 이벤트, 금연 서포터즈 활동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통한 금연 캠페인 활동이 벌어지고 있지만 전체 캠페인에서 텔레비전 광고는 전체 금연 캠페인 예산의 50%이상이 2005년 이래 꾸준히 할당될 만큼 국민에게 금연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1].
금연 캠페인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금연 캠페인의 주된 목적은 가장 단순하게는 흡연율을 낮추는 것이다. 부연하면, 국민들이 담배가 건강에 해로움을 인지하고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악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담배를 사용하지 않고 나아가 다른 사람의 흡연도 만류하는 상태로 이끌기 위해서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금연광고의 역할이라 하겠다.
합리적 행위이론이 가정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합리적 행위이론은 금연광고를 만들 때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는 이론의 하나이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광고에서 제시된 행동(예를 들어 금연이나 절주)을 하는 것은 그와 같은 행동을 수행하려는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에 의해 결정되고 그 의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that behavior)와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지각된 행위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행동의도란 어떤 행동을 얼마나 자발적으로 하려고 하는지, 또는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려고 하는지에 대한 개인의 의사를 가리키며, 지각된 통제능력 또는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건강상의 혜택을 얻는 결과를 위해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말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보건복지부, "국가 흡연예방 및 금연사업 안내", 2010. 

  2. 임현빈, "공익광고에서 은유표현 형태에 따른 효과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190-201, 2006. 

  3. 조형오,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에 의한 흡연유형 분류 및 금연캠페인에 대한 수용도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3권, pp.263-301, 1999. 

  4. 최은진, "2010 금연홍보 기획 및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5. 최은진, 서미경, 박은자, 이철한, "2005-2011 정부의 금연홍보사업 평가연구," 한국건강증진재단연구보고서, 2012. 

  6. 탁진영, "잡지 담배광고가 소비자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57호, pp.195-222, 2002. 

  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8.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in Cultural Contex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1, pp.269-290. 

  9. B. Berelson,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Glencoe, IL: Free Press, 1952. 

  10. B. E. Christopher, "Exploring Antismoking Ads: Appeals, Them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7, pp.123-137. 

  11. E. L. Cohen, M. D. Shumate, and A. Gold, "Anti-Smoking Media Campaign Messages," Health Communication, Vol.22, pp.91-102, 2007. 

  12. M. Fishbein and Azen, I., "Beliefs,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Reading MA: Addion-Wesly, 1975. 

  13. M. Fishbein and Yzer, M.C., "Using theory to design effective health behavior interventions," Communication Theory, Vol.13, pp.164-183. 

  14. M. E. Goldberg, "American Media and the Smoking-related Behaviors of Asian Adolescen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3, pp.1-11, 2003. 

  15. G. H.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Beverly Hills, CA: Sage, 1984. 

  16. O. R. Holsti,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 Addison-Wesley, 1969. 

  17. H. Kassarjian,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1, pp.8-18, 1977. 

  18. M. D. Krugman and K. W. King, "Teenage Exposure to Cigarette Advertising in Popular Consumer Magazine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19, pp.183-188, 2000. 

  19. C. K. Mikanowicz, D. C. Fitzgerald, M. Leslie, and L. M. Altman, "Mediaum-sized business employees speak out about smoking," Journal of Community Health, Vol.24, pp.439-450. 

  20. C. Pechman and S. J. Knight,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Joint effects of Advertising and Peers on Adolescents' Beliefs and Intentions about Cigarette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9, pp.5-18, 2002. 

  21. C. Pechmann and S. Ratneshwar, "The Effects of Antismoking and cigarette Advertising on You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Peers Who Smok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1, pp.236-251. 

  22. M. T. Stephenson, "Anti-drug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argeting Parents,"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67, pp.335-3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