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연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Anti-Smoking Advertis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89 - 94  

소현진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이 흡연억제에 효과적인지를 살펴 금연공익광고의 제작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V금연공익광고 68편이 메시지 소구유형, 메시지 프레임, 메시지 지향성, 커뮤니케이션 목표 및 광고유형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TV금연공익광고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첫째, 흡연의 신체적 영향을 강조한 신체적 유형 메시지, 둘째 흡연의 부정적 결과를 보여주는 부정적 프레임 메시지, 셋째 자기지향적 메시지, 넷째 흡연 태도변화를 목표로 하는 메시지, 다섯째 스토리텔링 기법. 본 연구결과와 기존 금연광고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토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nti-smoking advertisements in Korea and examined if these characteristics were appropriate in terms of their effects. 68 TV anti-smoking ads were content-analyzed, focusing on ad appeal, message frame, message orientation, communication goal, and ad type.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금연공익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내용적·표현적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이 기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효과발생 측면에서 적절한지를 살펴 금연공익광고의 제작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0년대 우리나라 TV금연공익광고의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내용적·표현적 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특성을 살피고 그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보건복지부가 2002년부터 집행한 전체 TV금연공익광고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금연공익광고를 집행하는 주체가 보건복지부 외에 민간단체 및 담배회사 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전수를 조사하지는 못하였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금연공익광고의 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우리나라 TV금연공익광고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금연공익광고의 효과요인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지금까지 살펴본 선행연구에서는 메시지의 소구유형, 프레임, 지향성, 커뮤니케이션 목표, 광고유형에 따라 금연광고의 효과가 변화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시기별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연공익광고의 목표는 무엇인가? 흡연의 위해성에 대한 높은 사회적 경각심으로 인해 금연공익광고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금연공익광고의 목표는 흡연예방과 금연이라는 행동교정을 이끌어내는 것이며,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인 금연공익광고의 구성요소를 밝혀내기 위한 시도를 해오고 있다.
메시지 소구유형의 효과는 수용자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신체적 소구가 금연제안의 기능적이고 객관적인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수용자의 이성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소구형식이라면 심리적 소구는 금연과 관련된 감정, 이미지 등의 상징적 가치를 강조하여 수용자의 감성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구형식이다. 메시지 소구유형의 효과는 수용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청소년의 경우 전반적으로는 신체적 위협소구보다는 이성적 매력의 감소와 같은 심리적 소구가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4], 흡연자의 경우 신체적 소구에, 비흡연자의 경우 심리적 소구에 더욱 큰 반응을 보여[5] 일관되지 못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성인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심리적 소구가 금연의도의 촉진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6-7].
스토리텔링 광고는 금연광고에서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가? 다섯째,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광고유형은 스토리텔링 광고이다. 약 65%의 광고가 이야기를 통해 금연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흡연자의 경우 흡연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극화한 스토리텔링 광고에 더욱 높은 심리적 저항을 보여 부정적인 광고태도와 낮은 금연시도의지를 나타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Kim, and H. Park,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No-Smoking Message Intensity and Direc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3, No. 5, pp.29-44. 2002. 

  2. C. Lee, "Evaluation of Anti-Smoking Public Relations Messag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Using Televised Health Messag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44, No. 4, 2008 

  3. H. Cho,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Message Types: The Mediating Role of Message Framing and Message Appeal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1, No. 1, pp.133-157, 2000. 

  4. D. Schoenbachler, and T. E. Whittler, "Adolescent Processing of Social and Physical Threat Communications," Journal of Advertising, Vol. 25, No. 4, pp37-54, 1996. 

  5. J. Jung, "A Study on the Impact of Adolescent Smoking Characteristics on the Attitude toward Anti-Smoking Advertisements: Application of Extended Planned Behavior Model," Advertising Research, Vol.96, No.1, pp.278-317, 2013. 

  6. H. Cheon, and D. Kim, "Related to Smoking Exposure, the Influences of Tobacco Companies' Anti-smoking Advertisement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 the Corporate Images upon to the Message Typ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1, No. 5, pp.27-55, 2010. 

  7. H. Cho, "Investigating Structural Changes Competing Smoking Types and Their Advertising Responses Through the Progress of Anti-Smoking Campaign: A Case Analysis of the 2005-2006 Anti-Smoking Campaig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8, No. 4, pp.232-266, 2006. 

  8. H. Choi, "A Study on the Message Orientation of Newspaper Advertisements: With a focus on apartment sales ads in Busa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4, No.3, pp.127-132, 2018. 

  9. M. Lee, J. Na, and J.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Anti-Smoking Advertising according to a Smoking Status and Message Fram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8, No. 3, pp.210-236, 2006. 

  10. H. Cho, and B. Kim, Influence of Anti-Smoking Advertising on Attitude toward Smoking of College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essage Framing, Advertising Research, Vol. 45, No. 4, pp.25-49, 1999. 

  11. E. Hong, and C. Lee,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ween Korea and the U.S.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 Association, Vol. 12, No. 11, pp.76-87, 2012. 

  12. C. Pechmann, Z. Guangzhi, M. Goldberg, & E. Reibling, "What to Convey in Antismoking Advertisements for Adolescents: The Use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Identify Effective Message Themes," Journal of Marketing, Vol. 67, No. 2, pp. 1-18, 2003. 

  13. H. Soh, and H. Kim, "Use of Storytelling in Anti-Smoking Advertising," 社會科學硏究, Vol. 24, No. 4, pp.165-184, 2017. 

  14. H. Kassarjian,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1, pp.8-18, 1977. 

  15. H. Soh, "Exploring Young Adult Smokers' Cognitive Structure of Smoking Behavior for Effective Anti-Smoking Communication Campaign Messag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3, No. 4, pp.77-9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