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장기간의 호흡 양상이 성장기의 안모골격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 중,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자들을 비호흡자와 구호흡자로 각각 20명씩 나누어 총 120명을 선택하였다.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으로 기도공간과 안모골격 형태를 분석하여 연령별로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에서 비호흡자와 구호흡자를 비교한 결과, 안모골격 형태를 분석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 > 0.05). 그러나 12세 이상에서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의 비호흡자가 구호흡자에 비해 Ad-S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H-Pc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비호흡자는 구호흡자에 비해 Ar-Go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ML-NSL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구호흡자가 비호흡자에 비해 SNA, SNB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에 따른 호흡 양상과 안모골격 형태는 큰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구호흡을 하는 12세 이상의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지의 길이 성장이 저해되고, 전안면 고경이 증가하였으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상악골 성장 저해 및 하악의 시계방향 회전 경향이 유의성을 보이므로, 장기간 구호흡이 지속되는 경우 안모골격 형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debate whether facial skeletal morphological differences exist between patients with nasal and mouth breathing habi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a relationship between over a period of time mouth breathing and facial skeletal morphology by analyzing l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는 최근 임상에서 골격적 문제가 있는 환자들 다수가 호흡 장애가 있음을 관찰하게 되었다. 따라서 비기도 폐쇄가 부정교합의 환경적 요인인가에 대해 아직까지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악안면부의 근육, 골격, 신경 조직들은 구강 내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호흡에 관여하는 악골과 혀 및 주위 조직들의 관계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장기간 호흡의 양상을 변화시키고 악안면 영역의 성장, 발육과 치아의 위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이를 확인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 그러나 이전의 구호흡과 안면 골격 발달의 연구에서 연령을 고려해 관찰한 연구가 적고, 연구대상자들 대부분이 교정 치료와 관련이 있음에도 골격적 차이나 그들에게서 나타나는 높은 구호흡 빈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저자는 실험에서 편견을 배제하고자, 본원에서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호흡 양상과 골격적 차이로 분리한 후 동일한 표본수를 추출하여 호흡 양상이 골격성 부정교합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교합이 완성되는 12세 전후로 연구대상을 관찰하여 연령에 따른 차이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저자는 교정 진단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 중, 구호흡 습관이 있는 어린이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기도공간과 안모골격 형태를 분석하고, 장기간의 구호흡이 안모골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호흡 양상이 안모골격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 중, 구강 습관이 없으며 비호흡을 하는 각 20명의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자와 구호흡을 하는 각 20명의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자, 120명을 선택해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기도공간과 안모골격 형태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기도 장애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면부의 근육, 골격, 신경 조직들은 구강내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호흡에 관한 기능적 요구가 없으면 조직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여 악안면 영역의 성장, 발육이 저해될 수 있다. 비기도 장애는 발현에 따라 생리적 비호흡을 저해하여 대다수의 경우에서 호흡 양상을 구호흡으로 변경시킨다3). 만성적 비폐쇄는 줄어든 호흡을 보상하기위해, 구호흡과목과 연관된 두부자세의 변화나 혀의 낮거나 전방을 향한 편위, 반쯤 개방된 무력성 구순 및 설골의 위치 변화 등 근육 활동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결국 치열을 포함한 치조골의 변화를 발생시켜 악안면 성장 발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4-6).
Functional matrix theory에 의하면 악골의 성장은 무엇에 의해 조절되는가? 구호흡자들의 악궁간 성장 패턴은 불균형적인 근육의 기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수십 년 동안 강력하게 받아들여져 왔다1). Functional matrix theory에 의하면, 안면 성장은 기능적 요구에 응하여 발생하며, 악골의 성장은 연조직에 의해 조절된다2). 안면부의 근육, 골격, 신경 조직들은 구강내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호흡에 관한 기능적 요구가 없으면 조직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여 악안면 영역의 성장, 발육이 저해될 수 있다.
구호흡 여부를 확인하는 임상 검사에는 무엇이 있는가? 구호흡을 확인하는 임상 검사로는 mirror test, butterfly test, 그리고 water holding test 등의 임상 검사가 있으며21), rhinomanometry22), plethysmography23), simultaneous measurement of nasal and oral respiration (SNORT)24) 등 비강을 통하는 기류의 양을 측정하는 정량 분석법과 cephalometric radiograph, MRI, CT를 통한 2차원적 및 3차원적으로 adenoid와 비인두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모집하기 위해, 술자의 손으로 2~3분간 구순을 폐쇄시켜 호흡 여부를 관찰하거나, mirror test와 butterfly test 같은 간단한 임상 검사와 함께 부모와 아이의 대화나 설문지, 그리고 2차원적인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구호흡 여부를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Rubin RM : Mode of respiration and facial growth. Am J Orthod, 78:504-510, 1980. 

  2. Moss ML, Salentijin L : The primary role of functional matrices in facial growth. Am J Orthod, 55:566-577, 1969. 

  3. Ogura JH, dammkoehler R, Nelson Jr, et al. : Nasal obstruction and the mechanics of breathing. Physiologic relationships and the effects of nasal surgery. Arch Otolaryngol, 82:135-150, 1966. 

  4. Miller AJ : Electromyography of craniofacial musculature during oral respiration in the rhesus monkey. Arch Oral Biol, 23:145-152, 1978. 

  5. Harari D, Redlich M, Miri S, et al. : The effect of mouth breathing versus nasal breathing on dentofacial and craniofacial development in orthodontic paients. Laryngoscope, 120:2089-2093, 2010. 

  6. Song YJ, Kim HJ, Nam SH, et al. : Hyoid bone position in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6:564-571, 1999. 

  7. Stefanescu IM, Zetu I, Rusu M : News on prevalence of vicious habits in children. Rev Med Chir Soc Med Nat Ias, 115:1258-1261, 2011. 

  8. Graber TM : Thumb and finger sucking. Am J Orthod, 45:258-264, 1959. 

  9. Mosey PA : The heritability of malocclusion: part 2 the influence of genetics in malocclusion. Br J Orthod, 26:195-203, 1999. 

  10. Woodside DG, Linder-Aronson S. : The channelizat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face heights compared to population standard in males between ages 6 to 20 years. Erup J Orthod, 1:25-40, 1979. 

  11. Meredith GM : The airway and dentofacial development. Ear Nose Throat J, 66:190-194, 1987. 

  12. Warren DW : Effect of airway obstruction upon facial growth. Otolaryngol Clin North Am, 23:699-712, 1990. 

  13. Bernardo Q, Giovana B, Marcelo Q, et al. : Prevalence of malocclusion among mouth breathing children : Do expectations meet reality?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73:767-773, 2009. 

  14. Pellan P : Naso-respiratory impairment and development of dento-skeletal sequelae: a comprehensive review. Int J Orthod Milwaukee, 16:9-12, 2005. 

  15. Leech HL : A clinical analysis of orofacial morphology and behavior of 500 patients attending an upper respiratory research clinic. Dent Pract dent Rec, 9:57-68, 1958. 

  16. Gwynne EE : Discussion on upper respiratory clinic for children. Proc R Soc Med, 38:535-544, 1945. 

  17. Emslie RD, Massler M : Mouth breathing. JADA, 44:506-521, 1952. 

  18. Goldman JL, Bachman AL : Soft tissue roentgenography of the nasopharynx for adenoids. Laryngoscope, 68: 1288-1312, 1958. 

  19. Kevin LW, Dreck M : The effects of enlarged adenoids on a developing malocclusion. Am J Orthod Soc, 7:27-33, 2007. 

  20. Marshall SD, Caspersen M, Hardinger RR, et al. : Development of the curve of Spee. Am J Orthod, 134:344-352, 2008. 

  21. Oral habits in children. Available from URL: http://www.authorstream.com/Presentation/dramanmoda-510442-oral-habits-in-children (Assessd on November 14, 2012) 

  22. Eccles R : A guide to practical aspects of measurement of human nasal airflow by rhinomanometry. Rhinology, 49:2-10, 2011. 

  23. Warren DW, Hinton VA, Hairfield WM : Measurement of nasal and oral respiration using inductive plethysmography. Am J Orthod, 89:480-484, 1986. 

  24. Keall CL, Vig PS : An improved technique for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nasal and oral respira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91:207-212, 1987. 

  25. Michael P, Carlos F, Paul W : Assessment of lateral cephalometric diagnosis of adenoid hypertrophy and posterior upper airway obstruction : A systematic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0:700-708, 2006. 

  26. Bergland O : The bony nasopharynx. Acta Odontol Scand, 35:1-137, 1963. 

  27. Souki BQ, Lopes PB, Pereira TB : Mouth breathing children and cephalometric pattern: does the stage of dental development matter?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76:837-84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