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압 플라즈마 이중 제트의 플라즈마 전위
Plasma Potential of Atmospheric Plasma Double Jet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1 no.6, 2012년, pp.312 - 321  

강한림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김정현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김현철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한상호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조광섭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 쌍의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전극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극성에 따라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칼럼의 전위를 고전압 프로브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칼럼은 고전압 인가측의 전위는 높고 플라즈마 칼럼을 따라서 선형적으로 전위가 감소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칼럼은 단위 길이당 저항이 수 $M{\Omega}/m$에서 수십 $M{\Omega}/m$의 저항체이다.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전극에 극성이 다른 전압으로 발생되는 플라즈마 전위의 극성은 인가전압의 극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한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대기 중의 병합점에서 상호 인력이 작용하며, 병합점의 전위는 수십 V로 낮다.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출되는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는 상호 동일한 극성의 전위에 의하여 상호 척력이 작용하며, 병합점에서의 전위는 수백 V로 높다. 이러한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를 인체에 조사하는 경우는 전기적인 충격이나 열적인 손상은 플라즈마의 전위와 전류의 곱인 플라즈마 전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ic potential of plasma column is measured with the high voltage probe in a pair of atmospheric plasma jets operated by AC-voltage.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s, the polarity of plasma column potential has the same polarity of applied voltage. The high po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의학 분야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플라즈마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생의학 적용을 위한 대기압 플라즈마 연구가 국내 및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플라즈마 장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생체나 인체의 피부 및 살균, 지혈, 암 세포 자멸 유도, 외과 의료용 수술,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생의학 분야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1-6]. 플라즈마의 응용은 플라즈마 입자들 중에 라디칼(radical)들과 생체 분자의 반응에 의한 효과로 알려져 있다 [7-11].
대기압 플라즈마를 인체에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이러한 최소감지전류 이상의 전류는 전기적 및 열적으로 인체에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17]. 플라즈마 제트장치를 인체나 생체에 적용하기 위해서 전기적인 충격과 열적인 피해를 고려해야 한다. 전기적인 충격은 전류뿐만이 아니라 전압도 중요한 변수가 된다.
플라즈마의 응용은 어떤 효과로 알려져 있는가? 플라즈마 장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생체나 인체의 피부 및 살균, 지혈, 암 세포 자멸 유도, 외과 의료용 수술,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생의학 분야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1-6]. 플라즈마의 응용은 플라즈마 입자들 중에 라디칼(radical)들과 생체 분자의 반응에 의한 효과로 알려져 있다 [7-11]. 고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대기압 플라즈마는 전기적으로 높은 전압과 전류 값을 갖는다 [12-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 Cho, H. Lim, J. H. Kim, D. J. Jin, G. C. Kwon, E. H. Choi, and H. S. Uhm, IEEE Trans. Plasma Sci. 39, 1234 (2011). 

  2. H. S. Uhm, J. Korean Vac. Soc. 15, 117 (2006). 

  3. G. Fridman, M. Peddinghaus, H. Ayan, A. Fridman, M. Balasubramanian, A. Gutsol, A. Brooks, and G. Friedman, Plasma Chem. Plasma Process. 26, 425 (2006). 

  4. V. N. Vasilets, A. Gutsol, A. B. Shekhter, and A. Fridman, High Energy Chemistry 3, 229 (2009). 

  5. X. P. Lu, Z. H. Jiang, Q. Xiong, Z. Y. Tang, and Y. Pan, Appl. Phys. Lett. 92, 151504 (2008). 

  6. G. Fridman, G. Friedman, A. Gutsol, B. Shekhter, V. N. Vasilets, and A. Fridman, Plasma Process. Polym. 5, 503 (2008). 

  7. H. W. Herrmann, I. Henins, J. Park, and G. S. Selwyn, Phys. Plasmas 6, 2284 (1999). 

  8. T. Nakamura, O. Saito, T. Ko, and T. Maruyama, J. Oral Rehabit. 28, 1080 (2001). 

  9. S. Wang, V. Schulz-von der Gathen, and H. F. Dobele, Appl. Phys. Lett. 83, 8272 (2003). 

  10. C. Cheng, P. Liu, L. Xu, L. Y. Zhang, and R. J. Zhan, Chin. Phys. Soc. 15, 1544 (2006). 

  11. H. S. Uhm, E. H. Choi, and G. S. Cho, J. Kor. Phys. Soc. 60, 896 (2012). 

  12. M. G. Kong, G. Kroesen, G. Morfill, T. Nosenko, T. Shimizu, J. van Dijk, and J. L. Zimmermann, New J. Phys. 11, 115012 (2009). 

  13. M. G. Kong and X. T. Deng, IEEE Trans. Plasma Sci. 31, 1 (2003). 

  14. A. Shashurin, M. N. Shneider, and M. Keidar, Plasma Sources Sci. Technol. 21, 034006 (2012). 

  15. A. Shashurin, M. N. Shneider, A. Dogariu, R. B. Miles, and M. Keidar, Appl. Phys. Lett. 94, 231504 (2009). 

  16. D. H. Kim, C. H. Kim, Y. B. Yoon, D. H. Lee, W. G. Lee, and J. H. Jeong, 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Sin Kwang Munhwasa, Paju, 2008), pp. 23-48. 

  17. J. H. U. Brown and J. F. Dickson III, Advances in Biomedical Engineering (Academic Press Inc., Missouri, 1973), pp. 223-248. 

  18. H. K. Lim, D. J. Jin, J. H. Kim, S. H. Han, and G. S. Cho, J. Korean Vac. Soc. 20, 14 (2011). 

  19. B. L. Sands, B. N. Ganguly, and K. Tachibana, Appl. Phys. Lett. 92, 241503 (2008). 

  20. J. H. Colete and J. V. Merwe,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41, 2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