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규모 (WRF-ARW) 기후모델을 이용한 지역유출 모의 평가:청미천 지역을 중심으로
Estimation for Runoff based on the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tions:Cheongmi Region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2 no.1B, 2012년, pp.29 - 39  

백종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정용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수자원 분야에서도 그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관측소, 레이더 등을 사용한 강우가 아닌 전 지구적 바람장과 온도, 기후 등의 이동 등을 계산하는 기후모델 WRF-ARW를 이용하여 공간 분포된 강우 자료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해 보려한다. 이를 위하여 청미천 유역을 격자 형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인 ModClark은 WRF-ARW의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집중형 모형은 강우관측소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이들을 청미천 수위관측소 유출자료와 비교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WRF-ARW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포형 모형의 유출곡선은 관측된 유출곡선과 비교 시 첨두시간과 첨두 유출량이 유사하였으며 전체적인 유출곡선의 경향도 실제 유출곡선의 경향을 추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has been obtained researchers' interest, especially i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o adjust current conditions to the new circumstance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RF-ARW will be evaluated the capability to estimate distributed precipitation using global weather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nebl-Lowrey and Yang(2008)은 NARR(NCEP North American Regional Reanalysis)자료를 재분석하여 WRF 모형의 예측예보 정확성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점강우로 모의된 집중형 모형과 지점강우관측소의 강우량을 공간적으로 강우를 분포 시킬 수 있는 MM5의 발전형인 WRF-ARW를 이용한 강우자료로 분포형 모형의 유출 모의에 대해서 비교분석하고 WRF-ARW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Clark 방법은 유역의 출구점에 선형저수지 1개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저수지로 유입되는 시간별 면적상에 내린 유효유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가정하였다(이재수,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RF-ARW의 특징은?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수자원 분야에서도 그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관측소, 레이더 등을 사용한 강우가 아닌 전 지구적 바람장과 온도, 기후 등의 이동 등을 계산하는 기후모델 WRF-ARW를 이용하여 공간 분포된 강우 자료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해 보려한다. 이를 위하여 청미천 유역을 격자 형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인 ModClark은 WRF-ARW의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집중형 모형은 강우관측소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이들을 청미천 수위관측소 유출자료와 비교하였다.
발생 강우에 대한 자료로는 어떤 것들을 사용할 수 있나? 강우-유출관계는 강우가 발생하는 기간의 물의 지표면 흐름을 이해하는 것으로 발생 강우에 대한 자료, 유출 모의를 위한 지상 자료 등을 필요로 한다. 강우 자료로는 지점 강우 관측자료나 레이더 자료 등이 쓰일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국토 전반에 설치되어있는 많은 지점의 관측소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소유역 유출량의 산정을 위한 자료로는 관측소간의 설치밀도가 부족하고, 강우관측소의 강우량은 한 지점에서의 강우자료이기에 공간적으로서의 데이터로 평가하기는 부족하다.
강우-유출관계란? 이 물의 순환에 중심이 되는 수문학적 강우-유출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나 레이더, 수문모델을 이용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강우-유출관계는 강우가 발생하는 기간의 물의 지표면 흐름을 이해하는 것으로 발생 강우에 대한 자료, 유출 모의를 위한 지상 자료 등을 필요로 한다. 강우 자료로는 지점 강우 관측자료나 레이더 자료 등이 쓰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토해양부(2008) 2008년도 유량조사 보고서, 627.12-9-71. 

  2. 김경탁, 최윤석(2004)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권 제2 호, pp. 1-15. 

  3. 김병식, 배영혜, 박정술, 김경탁(2008)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모의; 임진강 유역,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1권 제3호, pp. 52-67. 

  4. 김수전, 권영수, 이건행, 김형수(2010)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보정 및 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2B호, pp. 159-167. 

  5. 복정수, 정대진, 김유리, 박봉진, 정관수(2007)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한 감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5권, pp. 1915-1919. 

  6. 서봉철(2003) 홍수예경보시스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크리킹 기법의 적용, 2003 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2393-2401. 

  7. 성동권, 조기성(2002) BurnDEM을 이용한 유역 및 하도망 추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 2D호, pp. 293-301. 

  8. 안상진, 윤석환(2005) ModClark 모형을 이용한 유출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3호, pp. 245-257. 

  9. 안승섭, 박노삼, 고수현, 송인렬(2006) 수문학적 토양군의 분류기준에 따른 SCS CN 및 유출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5권 제8호, pp. 775-784. 

  10. 양인태, 김연준, 유영걸(2002) DEM 격자크기에 따른 지형경사와 배수유역 면적의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0권, 제3호, pp. 303-311. 

  11. 윤강훈, 서봉철, 신현석(2004)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233-240. 

  12. 윤용남, 김중훈, 유철상, 김상단(2002) 공간 분포된 강우를 사용한 유출 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오차가 유출계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1호, pp. 1-12. 

  13. 이재수(2008) 수자원공학, 구미서관 

  14. 장철희, 권형중, 고덕구, 김성준(2003) 지상강우 관측치에 의한 TRMM/PR 관측치의 보정 및 SCS 유출해석 :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647-659. 

  15. 정인균, 김성준(2003) 효과적인 유역 및 하도망 추출을 위한 DEM전처리 방법의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D호, pp. 393-400. 

  16. 조홍래, 정종철(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한국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1호, pp. 29-41. 

  17. Anderson, M., Chen, Z.Q., Kavvas, M., and Feldman, A. (2002) Coupling HEC-HMS with atmospheric models for prediction of watershed runoff,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7, No. 4, pp. 312-318. 

  18. Clark, C.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10, pp. 1419- 1446. 

  19. Knebl, M., Yang, Z.L., Hutchison, K., and Maidment, D. (2005) Regional scale flood modeling using NEXRAD rainfall, GIS, and HEC-HMS/RAS: a case study for the San Antonio River Basin Summer 2002 storm ev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75, No. 4, pp. 325-336. 

  20. Knebl-Lowrey, M.R. and Yang, Z.L. (2008) Assessing the capability of a regional-scale weather model to simulate extreme precipitation patterns and flooding in central Texas, Weather and Forecasting, Vol. 23, No. 6, pp. 1102-1126. 

  21. Scharffenberg, W.A., Fleming, M.J., and Center, H.E. (2006)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User's Manual.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22. WAMIS, 국가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23. Yarnal, B., Lakhtakia, M., Yu, Z., White, R., Pollard, D., Miller, D., and Lapenta, W. (2000) A link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 system: the Susquehanna River Basin Experiment (SRBEX), Global and Planetary Change, Vol. 25, pp. 149-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