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강풍화토의 열전도도 산정에 대한 연구
Estim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of Weathered Granite Soil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32 no.2C, 2012년, pp.69 - 77  

박현구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  박한솔 (삼성물산) ,  이승래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  고규현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지열 에너지파일 및 수평형 지열교환기는 기존의 연직형 지열히트펌프에 비하여 지표면에서 가까운 깊이에 설치되며, 이 경우 지열교환기의 열 교환 거동은 토사층에서의 열전도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지하수위 상부에 놓인 흙의 열전도도는 에너지파일의 열 교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포화된 흙의 열전도도는 함수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화강풍화토의 열전도도 예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5개 지역에서 채취한 화강풍화토 시료의 간극율과 포화도를 바꾸어가며 탐침법 기반 열전도도 측정시험을 수행하였고, 기존의 열전도도 추정 모델들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화강풍화토에 적합한 경험적 예측식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실험자료를 분석해 보았으며 기존 문헌에 실린 실험결과에 적용하여 그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neral, geothermal energy pile and horizontal ground heat exchangers are installed in shallower depths than conventional vertical ground coupled heat pumps. Consequently their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strongly governed by thermal conductivity of soil laye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원, 부산 및 세종시에서 채취한 국내 화강풍화토 대하여 간극율과 포화도를 바꾸어가며 열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기존에 제안된 예측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합리적인 예측을 위한 경험식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 및 기존 문헌자료에 적용하여 그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강풍화토의 열전도도의 예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원(인제, 평창, 태백) 부산(금정), 세종시(연기군)에서 채취된 5개 시료의 광물 특성을 분석한 후, 간극율과 포화도를 바꾸어 가며 열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기존에 제안된 예측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해 보았다.
  •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강풍화토 시료의 입자크기는 유사한 범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입자의 형상은 유사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 3의 결과를 주로 입도분포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앞서 그림 4(b) 및 4(c)의 시험결과로부터 화강풍화토의 열전도도-포화도 관계는 S자 곡선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림 7과 같이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식 (2)와 같은 열전도도-함수비 관계를 가정하였다. 식 (2)의 Ke(Kersten number)는 식 (3)과 같이 Mualem(1977)이 제안한 함수특성 곡선의 보상 함수(complementary function) 형태로 가정되었으며, 여기서 S는 포화도, a와 m은 곡선 맞춤 계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열 에너지파일 및 수평형 지열교환기의 설치 깊이는 기존의 연직형 지열히트펌프에 비하여 어떠한가? 일반적으로 지열 에너지파일 및 수평형 지열교환기는 기존의 연직형 지열히트펌프에 비하여 지표면에서 가까운 깊이에 설치되며, 이 경우 지열교환기의 열 교환 거동은 토사층에서의 열전도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지하수위 상부에 놓인 흙의 열전도도는 에너지파일의 열 교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포화된 흙의 열전도도는 함수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저탄소 녹색 냉난방을 위한 재생에너지원으로써 지열히트 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지열에너지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열의 회수 및방출을 통하여 히트펌프의 성능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를 증가시키는 시스템으로써 크게 연직형 및 수평형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직 밀폐형 시스템은 수 십에서 수백 미터에 달하는 시추공을 설치해야 되는 이유로 과다한 초기 시공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히트펌프 설치시, 수평형 시스템과 에너지파일이 적용되는 이유는 연직형에 어떠한 문제가 있기 때문인가?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열의 회수 및방출을 통하여 히트펌프의 성능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를 증가시키는 시스템으로써 크게 연직형 및 수평형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직 밀폐형 시스템은 수 십에서 수백 미터에 달하는 시추공을 설치해야 되는 이유로 과다한 초기 시공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표면 근방에 코일 또는 루프 형태의 열 교환기로 간단하게 설치되는 수평형 시스템과 더불어 중대형 구조물의 말뚝기초를 활용하는 에너지파일(energy pile)이 적용되고 있다(Brand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백성권, 안형준, 임성균(2007) 구조물 하부형 지중열교환기 개발 연구, 2007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설비공학회, pp. 277-282. 

  2. 손병후, 최항석(2011) 단일 탐침법을 이용한 수평형 지중열교환기 뒤채움재의 열확산계수 산정. 설비공학논문집, 대한설비공학회, 제23권, 제5호, pp. 356-364. 

  3. 이강자(2010) 수평형 지중 열교환기 되메움재의 열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 이정훈, 주진현, 윤태섭, 이장근, 김영석(2011) 하중 조건이 지반의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입자 스케일에서의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7권, 제9호, pp. 77-86. 

  5. 차장환, 안선준, 구민호, 김형찬, 송윤호, 서명석(2008) 토양의 공극률 및 함수비가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13권, 제3호, pp. 27-36. 

  6. 차장환, 구민호, 김영석(2010) 구조모델을 이용한 다공성 매질의 유효 열전도도 분석.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15권, 제6호, pp. 91-98. 

  7. Brandl, H. (2009) Energy foundations and other thermo-active ground structures. Geotechnique, Vol. 56, No. 2, pp. 81-122. 

  8. Choi, J. C., Lee, S. R., and Lee D. S. (2011) Numerical simulation of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s: Intermittent operation in unsaturated soil conditions.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 38, pp. 949-958. 

  9. Cote, J., and Konrad, J. M. (2005) A generalized thermal conductivity model for soils and construction material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42, pp. 443-458. 

  10. De Vries, D. A. (1963) Thermal properties of soils. In physics of plant environment.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The Netherlands. 

  11. Esch, D. C. (2004) Thermal analysis, construction, and monitoring methods for frozen ground. Vol. 492, Reste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 Farouki, O. T. (1981) Thermal properties of soils.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ld Regions Research and Engineering Laboratory, Hanover, N. H. CRREL Monograph 81-1. 

  13. Horai, K. (1971) Thermal conductivity of rock-forming minera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76, pp. 1278-1307. 

  14. Johansen, O. (1975) Thermal conductivity of soils. Ph.D. thesis, University of Trondheim, Norway. 

  15. Kersten, M. S. (1949) Laboratory research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hermal properties of soils. Research Laboratory Instigations,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inn. Tech Report 23. 

  16. Lu, S., Ren, T., and Gong, Y. (2007) An improved model for predicting soil thermal conductivity from water content at room temperatur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Vol. 71, No. 1, pp. 8-14. 

  17. Mitchell, J. K. (1993) Fundamentals of soil behavior, 2nd edition, Wiley, New York. 

  18. Mualem, Y. (1977) Extension of the similarity hypothesis used for modeling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13, No. 4, pp. 773-780. 

  19. Tarnawski, V. R., and Leong, W. H. (2000) Thermal conductivity of soils at very low moisture content and moderate temperatures. Transport in Porous Media, Vol. 41, pp. 137-14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