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운화상의 '무심(無心)'에 관한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Research on 'Musim' Presented by Baegun Hwasang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4, 2012년, pp.119 - 146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운화상이 제시한 '무심(無心)'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심(無心)'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는 (1) '마음씀이 없음', (2) '마음이라 할 것도 없음', (3) '마음 없음' 등으로, 해당 게송(偈頌) 등의 문맥에 따라 옮기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백운화상의 무심(無心)은 '평상시의 일없는 마음(평상무사저심(平常無事底心): 평상심(平常心))'이며 '내려놓음(방하착(放下着))'이면서 동시에 '깨달음의 성품(진여지성(眞如之性))'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심(無心)은 달마조사의 '사람의 마음을 곧장 가리켜 자신의 성품을 꿰뚫어 보아 깨달음을 얻음(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및 석가모니의 '내려놓음(방하착(放下着))' 게송에 계합(契合)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무심(無心)은 '구하거나 집착하는 마음씀이 없음'이며 "평상시의 일없는 마음으로, 일상생활에서 몸과 마음을 놓아버리고(방하착(放下着)) 다만 '마음씀이 없음(무심(無心))'이기만 하면, 저절로 깨달을 것이다"라고 경험적 깨달음을 제시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백운화상의 무심(無心)을 "직지"에 수록된 '과거7불' 및 '서천 6조사' 등의 게송 내용과 비교분석한 결과, 석가모니의 '방하착' 및 서천조사 등의 '즉비(卽非)의 중도적 관점' 등의 사상을 견지(堅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무심(無心)'을 특히 강조한 백운화상의 '무심선'은 달마선종이나 육조혜능의 선법(禪法) 및 임제종 조사선(祖師禪)의 본질을 가장 명확하게 계승하여 밝힌 선법임을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Musim' presented by Baegun Hwasang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a bibliograph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asonable to translate 'Musim' into Korean to mean (1) 'free from cares', (2) 'there is noting called a heart', and (3) 'no anxieties' ac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운경한은 어느 시기를 대표하는 인물인가? 백운경한(白雲景閑: 1298-1374)1)은 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2) 및 나옹혜근 (懶翁惠勤: 1320-1376)과 더불어 고려 말기의 선종(禪宗)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백운 화상은 태고화상이나 나옹화상에 비하여 알려진 바가 적다.
직지 및 백운화상 어록에서 백운화상이 표방하는 無心의 의미를 서지적인 관점에서 규명하기 위해 본 고에서 분석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백운화상이 말하는 無心의 의미와 개념을 가장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그가 직접 설법한 『백운화상어록』 을 주목하고, 오직 이 어록의 내용 속에서 설파되고 있는 ‘무심’과 관련한 사항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8) 둘째, 『직지』 상권의 내용 중에서 ‘과거7불 (過去七佛) 및 서천 제6조사(西天第六祖師) 까지’의 사항에 국한하여, 백운화상이 설파하고 있는 ‘무심’의 의미와 밀접한 어휘들이 포함되어 있는 해당 게송(偈頌)들을 추출하고, 이들 게송들을 정리하여 <표>로 작성하면서 해당 게송의 핵심 요어(key words) 및 주제(subject) 등을 간추려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각 <표>에 제시된 바의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직지에서 표방되고 있는 ‘무심’에 관한 사항들을 논술하고자 한다.
백운화상의 작품 중 현존하는 세계최고(世界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인정받게 된 것은 무엇인가? 하지만 백운 화상은 태고화상이나 나옹화상에 비하여 알려진 바가 적다. 한편 20세기 후기에 들어와서 백운화상의 ‘ 『직지(直指: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는 현존하는 세계최고(世界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본(1377년 鑄字印施)’으로 세계적으로 공증(公證)되고 <세계기록유산 (MOW: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직지 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無心(무심)’ 및 ‘無心禪 (무심선)’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지금까지도 희소한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高麗史. 卷54, 志8.(Goryeosa, Gwon 54, Ji 8.) 

  2.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경.(Geumgang Banya Baramil-gyeong: Geumgang-gyeong.) 

  3. 김월운. 2008. 전등록, 1. 서울: 동국역경원.(Kim, Wol-Un. 2008. Jeondeungnok, 1. Seoul: Dongguk Yeoggyeongwon.) 

  4. 동국대[학교] 역경원, 譯. 1996. 直指. 청주: 청주시청.(Jikji. 2006. Translated by Dongguk Daehakkyo Yeoggyeongwon. Cheongju: Cheongju-si.) 

  5. 마하반야바리밀다심경: 반야심경.(Maha Banya Baramiltasim-gyeong: Banyasim-gyeong.) 

  6. 無比, 譯註. 1996. 백운스님 어록. 서울: 민족사.(Baeun Sunim Orok. 1996. Commented and translated by Mubi. Seoul: Minjoksa.) 

  7. 무비. 2011. 직지 강설, 上.下. 서울: 불광출판사.(Mubi. 2011. Jikji Gangseol. 2 vols. Seoul: Bulgwang Chunpansa.) 

  8. 박문열. 1997. 白雲和尙에 관한 연구. 人文科學論集(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7: 323-345.(Park, Moon-Year. 1997. "A study on Baekun Hwasang." Inmun Gwahak Nonjip(Cheongju Daehakkyo Hanguk Munhwa Yeonguso), 17: 323-345.) 

  9. 朴文烈, 譯. 1998. 譯註 白雲和尙語錄.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Yeokju Baegun Hwasang Eorok. 1998. Translated by Park Moon-Year. Cheongju: Cheong Early Printing Museum.) 

  10. 白雲景閑.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목판본. 소장(所藏).(Baegun Gyeonghan.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Woodblock ed. hel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1. 白雲景閑. 1990.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韓國佛敎全書, 第六冊.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604-636.(Baegun Gyeonghan. 1990.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Hanguk Bulgyo Jeonseo, vol.6. Seoul: Dongguk Daehakkyo Chulpanbu, 604-636.) 

  12. 白雲景閑 著. 1990. 高麗 白雲語錄. 安法山 編譯. [평창]: 靈鑑寺.(Baegun Gyeonghan. 1990. Goryeo Baegun Hwasang Eorok. Commented and translated by An Beopsan. [Pyeongchang]: Yeonggamsa.) 

  13. 白雲景閑 著. 白雲直指: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李哲敎 譯. 우리말 번역본. 미간행 (복사)본.(Baegun Gyeonghan. Baegun Jikji: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Translated by Yi Cheol-Gyo. Unpublished copy.) 

  14. 釋璨 (錄). 1990. 白雲和尙語錄. 韓國佛敎全書, 第六冊.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637-669.(Seok Chan (Lok). 1990. Baegun Hwasang Eorok. Hanguk Bulgyo Jeonseo, vol.6. Seoul: Dongguk Daehakkyo Chulpanbu, 637-669.) 

  15. 釋璨 (錄). 1974. 白雲和尙語錄. 韓國高僧集, 高麗時代三. 서울: 경인문화사.(Seok Chan (Lok). 1974. Baegun Hwasang Eorok. Hanguk Goseungjip: Goryeo Sidae 3. Seoul: Gyeongin Munhwasa.) 

  16. 永嘉玄覺 著. 1992. 禪宗永嘉集: 附錄 證道歌. 慧業 編譯. 서울: 불광출판부.(Yeonghui Hyeongak. 1992. Seonjong Yeonggajip: Burok Jeungdoga. Edited and translated by Heyeop. Seoul: Bulgwang Chulpanbu.) 

  17. 정병조. 1995. 白雲의 無心禪에 관하여. 韓國佛敎學, 제3집: 273-281.(Jeong, Byeong-Jo. 1995. "Baegunui musimseone gwanhayeo." Hanguk Bulgyohak, 3: 273- 281.) 

  18. 鄭性本. 1991. 中國禪宗의 成立史硏究. 서울: 民族社.(Jeong, Seong-Bon. 1991. Jungguk Seongjongui Seongnipsa Yeongu. Seoul: Minjoksa.) 

  19. 정제규. 2006. 마음을 노래한 글, 직지. 청주: 충청북도.(Jeong, Je-Gyu. 2006. Maumul Noraehan Gul, Jikji. Cheongju: Chungcheongbok-do.) 

  20. 直指, 下. 2007. 금속활자본. 칼라(color)사진 영인본(影印本: 오침안정법 한장본(五針眼釘法韓裝本).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 금속활자본. 원본(原本):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所藏).(Jikji, vol.Ha. 2007. Metal movable types ed. Color reproduction. Cheongju: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21. 청주고인쇄박물관. 2008. 직지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파주: 태학사.(Cheongj Early Printing Museum. 2008. Jikji: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Paju: Taehaksa.) 

  22. 太古普愚 著. 1990. 太古和尙語錄. 雪栖 編. 韓國佛敎全書, 第六冊.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669-701.(Taego Bou. Taego Hwasang Eorok. Compiled by Seolseo. Hanguk Bulgyo Jeonseo, vol6. Seoul: Dongguk Daehakkyo Chulpanbu, 669-701.) 

  23. 혜능 지음. 2011. 육조단경. 광덕 번역. 서울: 불광출판사.(Hyenung. 2011. Yukjo Dangyeong. Translated by Gwangdeok. Seoul: Bulgwang Chulpansa.) 

  24. 혜능 지음. 2010. 혜능 육조단경. 단칭선사 풀어씀. 김진무 옮김. 서울: 일빛.(Hyenung. 2010. Yukjo Dangyeong. Translated by Danching Seonsa. Seoul: Ilbit.) 

  25. 慧能 著. 2003. 六祖檀經. 淸華 譯註. 서울: 광륜출판사.(Hyenung. 2003. Yukjo Dangyeong. Commented and translated by Cheonghwa. Seoul: Gwangryun Chulpansa.) 

  26. 慧諶 著. 1994. 禪門拈頌(集), 1. 김월운 옮김. 서울: 동국역경원.(Hyenung. 1994. Seonmunjeomsong(Jip), 1. Translated by Wol-Un Kim. Seoul: Dongguk Yeoggyeongw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