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4, 2012년, pp.311 - 339  

박수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정동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에서 리에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해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교육훈련 현황과 교육내용 사례를 기초 데이터로 하여 모형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인터뷰와 사례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된 모형안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도서관의 리에종사서에게 필요한 핵심능력을 제시하였고, 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각 업무 능력별로 모듈을 구성하여 학습활동을 위한 기본과제 심화과제 참고자료 및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The liaison training program model has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about liaison training practices in foreign countries Expert interviews and case analys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에종사서란? 리에종사서는 도서관과 이용자 그룹 사이에서 서로의 요구와 정보를 상호 연결해주는 사서를 말한다. 이들은 도서관의 대표로서 도서관 전체 업무 활동을 숙지하여 담당 이용자 그룹에 필요한 도서관 자료 및 서비스를 홍보하며, 다시 그들의 관심 분야와 학술활동을 이해하고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도서관에 전달함으로써 도서관이 이용자에게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여러 대학에서 리에종서비스를 도입한 이유는? 이로 인하여 여러 대학에서 리에종서비스(liaison service)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사서가 이용자 그룹을 분담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그들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 하여 해당 그룹의 정보요구를 수집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리에종사서의 역할은? 리에종사서는 도서관과 이용자 그룹 사이에서 서로의 요구와 정보를 상호 연결해주는 사서를 말한다. 이들은 도서관의 대표로서 도서관 전체 업무 활동을 숙지하여 담당 이용자 그룹에 필요한 도서관 자료 및 서비스를 홍보하며, 다시 그들의 관심 분야와 학술활동을 이해하고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도서관에 전달함으로써 도서관이 이용자에게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활동을 위해 리에종사서는 이용자 이해, 커뮤니케이션,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미혜. 2005. 주제전문사서직의 교육에 관한 연구. 덕성여대 논문집, 34: 67-86.(Kang, Mia Hye. 2005.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hip." Duksung Women's University Journal, 34: 67-86.) 

  2. 구자영. 1979.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교육. 도서관학, 6: 37-51.(Koo, Ja Young. 1979. "A study on educating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6: 37-51.) 

  3. 노동조, 안인자, 노영희, 김성진. 2008. 주제전문사서 인력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oh, Dong-Jo, Ahn, In-Ja, Noh, Younghee, & Kim, Sung-Jin. 2008. A Study on Institutionalization and Prospect for Supply-Demand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4. 노영희, 노동조, 안인자, 김성진.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97-123.(Noh, Younghee, Noh, Dong-Jo, Ahn, In-Ja, & Kim, Sung-Jin. 2008.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97-123.) 

  5. 노옥순. 1994.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Noh, Ock Soon. 1994. Reference/Information Services and Sourc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of Korea. 2008.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09-2013.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of Korea.) 

  7. 심원식. 2009. 주제전담사서 양성을 위한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541-560.(Shim, Wonsik. 2009.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ining librarians for subject liaison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541-560.) 

  8. 이용재. 1998. 현단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사서제 활용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9: 273-311.(Lee, Yong-Jae. 1998. "Introducing the 'subject librarian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in their present developmental stag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 273-311.) 

  9. 이용재. 2005.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주제사서 양성의 필요성. 주제전문사서 육성방안 열린정책세미나, 2005년 10월 14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Lee, Yong-Jae. 2005. "The necessity of training subject librarians for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National Policy Seminar for Educating Subject Librarians. October 14, 2005.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10.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5-23.(Jeong, Dong-Youl. 2002.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5-23.) 

  11. 정동열. 2011. 도서관 경영론.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Jeong, Dong-Youl. 2011. Library Administration. Revise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2.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119-136.(Chung, Jae-Young. 2009.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119-136.) 

  13. 한상완. 1986.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기능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Han, Sang Wan. 1986. A Study on Functions of Subject Specialists for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Ph.D. diss., Yonsei University.) 

  14.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07. Liaison Services. ARL. SPEC Kit 301. 

  15. Attebury, Ramirose, & Holder, Sara. 2008. "New liaison librarians: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levels and the type of activities undertaken."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online], 9(3). [cited 2009.3.10]. . 

  16. Davis, M. A., & Cook, M. K. 1996. "Implementing a library liaison program: Personnel, budget, and training." Collection Management, 20(3/4): 157-166. 

  17. Hendrix, Carla. A. 2000. "Developing a liaison program in a new organizational structure-A work in progress." The Reference Librarian, 32(67/68): 203-224. 

  18. Jeffries, S. 2000. "The librarian as networker: Setting the standard for higher education." In The Collaborative Imperative: Librarians and Faculty Working Together in the Information Universe, edited by D. Raspa and D. Ward. Chicago: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114-129. 

  19. Macaluso, S. J., & Petruzzelli, B. W. 2005. "The library liaison toolkit: Learning to bridge the communication gap." The Reference Librarian, 43(89): 163-178. 

  20. Mack, Daniel, Meier, John, & Schmit, Karla. 2010. Behavioral Performance Guidelines for Subject Specialists/Liaison Librarians in the Department of Reference, Collections and Research. University of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Libraries. [online]. [cited 2011.11.13]. . 

  21. Reigeluth, Charles M. ed. 1999.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2,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Rodwell, J., and Fairbairn, L. 2008. "Dangerous liaisons?: Defining the faculty liaison librarian service model, its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Library Management, 29(1/2): 116-124. 

  23. Salman, Tammy. 2011. "Re: Asking about your liaison librarian training program. November 19, 2011. [cited 2011.11.18]. Personal communication. 

  24. Schloman, B. F., Lilly, R. S., & Hu, W. 1989. "Targeting liaison activities: Use of a faculty survey in an academic research library." Reference Quarterly, 28(4): 496-505. 

  25. Stoddart, R. A., Bryant, T. W., Baker, A. L., Lee, A., & Spencer, B. 2006. "Going boldly beyond the reference desk: Practical advice and learning plans for new reference librarians performing liaison work."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2(4): 419-427. 

  26. Tennant, M. R., Cataldo, T. T., Sherwill-Navarro, P., & Jesano, R. 2006. "Evaluation of a liaison librarian program: Client and liaison perspectives." Journ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4(4): 402-409. 

  27. Tracy, M. W., & Richey, R. C. 2007. "ID mode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A multiple intelligences case."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55(4): 369-390. 

  28. Wu, C., Bowman, M., Gardner, J., Sewell, R. G., & Myoung Chung Wilson. 1994. "Effective liaison relationships in an academic librar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55(5): 254-3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