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6개국의 주거실태조사 비교 분석 및 국내 시사점 : 미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호주, 일본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National Housing Survey of Six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Korean Housing Survey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3 no.3, 2012년, pp.225 - 240  

진미윤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종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6개국의 주거실태조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주거실태조사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분석 대상 국가는 국가 차원에서 2만 가구 이상의 대규모 조사를 시행하고 자료 수집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미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호주, 일본으로 선정하였다. 비교 분석 항목은 조사 연혁, 목적, 대상, 시행주체, 조사 항목, 자료수집 방법, 조사결과 활용 부분이다. 비교 분석 결과, 각 국가는 자국의 주택재고 특성 및 정책목적에 따라 주거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주로 정책대상계층 선정 및 적정 임대료 기준 등과 같은 정책 기준선 마련, 주거지원을 위한 예산 수립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3차례 시행된 국내 주거실태조사는 이러한 해외의 선험적 사례를 참고로 하여, 향후 조사 내용의 체계화와 표준화, 주택재고 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판단기준과 방법론, 정책대상계층을 규명하는 기준, 그리고 데이터 공개 및 피드백 장치를 마련하여 그 정책적 활용성을 더욱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ays to improve Korea's housing surve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housing surveys being carried out in six other countries. The subject countries ar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the Netherlands, Australia, and Japan-the countries that condu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주거실태조사의 시행 목적은? 국내 주거실태조사는 국민의 주택 및 주거환경 전반에 관한 사항을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특성에 부합하는 주 택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2006년부터 격년으로 시행하여 2012 년 현재 제4차 주거실태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 지난 3차 시 행된 주거실태조사(2006, 2008, 2010)는 정부의 주택종합계획 수립시 주택수급 분석의 기초 통계 제공, 최저주거기준 미 달 가구 추이, 지역별 ․ 점유형태별 ․ 소득계층별 주거소비 수 준(1인당 주거면적, 방수), 주거환경 만족도, 향후 주거이동 및 주거 선택시 고려 사항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주택부문의 대표적인 사회 동향 자료가 되고 있다(통계청, 2012).
해외 6개국의 주거실태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비교 분석 항목은 조사 연혁, 목적, 대상, 시행주체, 조사 항목, 자료수집 방법, 조사결과 활용 부분이다. 비교 분석 결과, 각 국가는 자국의 주택재고 특성 및 정책목적에 따라 주거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주로 정책대상계층 선정 및 적정 임대료 기준 등과 같은 정책 기준선 마련, 주거지원을 위한 예산 수립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3차례 시행된 국내 주거실태조사는 이러한 해외의 선험적 사례를 참고로 하여, 향후 조사 내용의 체계화와 표준화, 주택재고 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판단기준과 방법론, 정책대상계층을 규명하는 기준, 그리고 데이터 공개 및 피드백 장치를 마련하여 그 정책적 활용성을 더욱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2006년 주거실태조사의 최초 시행은 어떤 의의가 있으며, 유사 조사와 차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그동안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제 시행 3차에 불과한 주거실태조사는 정책 활용성 제고 및 주택통계 기반 구축을 위해 몇가지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하다. 2006년 주거실태조사의 최초 시행은 주택정책사에서 주택에 특화된 최초의 대규모 조사라는 의의와 함께 주택 및 주거환경 여건, 주거이동, 과거 및 현재의 주거서비스 수준, 주택 구매 활동, 주거이동 등을 포괄한 종합적 차원의 조사라는 점에서 유사 조사와는 차별적이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청 센서스인 인구 및 주택총조사의 주택부문 조사, 가계복지 ․ 금융조사의 주택조사 항목, 기타 주택관련 조사 항목과의 관계에서 아직까지 그 차별성과 유용성이 부각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민석(2011), "국내 주택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향후 전망", KB 금융지주 한중일 국제 부동산 세미나 자료집. 

  2.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2007), 2006년 주거실태조사 

  3.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2009), 2008년 주거실태조사. 

  4.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2010), 2010년 주거실태조사. 

  5. 네덜란드 공공임대주택 조사 현황 자료(http://www.rijksoverheid.nl/onderwerpen/huurwoning /sociale-huurwoning-huren)(자료 검색 일 2012. 5. 30 기준). 

  6. 네덜란드, 주거실태조사(WoOn) 설문지 및 조사항목: http://www.datawonen.nl/disco/info/woon09/2009/Vrl/info_frame.htm, Vragenlijst module Woningmarkt WoON 2009.pdf. 

  7. 네덜란드, 통계청(CBS: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http://www.cbs.nl)(2011년 10월 18일 기준). 

  8. 미국 센서스(http://2010.census.gov/2010census). 

  9. 미국 American Community Survey. 

  10. 미국 American Housing Survey(http://www.census.gov/housing/ahs/). 

  11. 영국 주거실태조사 : ehs@communities.gsi.gov.uk, http://www.communities.gov.uk/housing/housingresearchnn/housingsurveys/. 

  12. 일본 통계청(2011), 2008년 주택 ? 토지 총조사의 해설. 

  13. 일본 통계청, www.stat.go.jp. 

  14. 진미윤, 한수진(2003), "주택보급률 지표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19(2). 

  15. 통계청(2010a), 한국의 사회동향 2010, 2010.12.3 보도자료. 

  16. 통계청(2010b), 2010년 가계금융조사 결과, 2010.12.29 보도자료. 

  17. 통계청(2011a), 2010년 한국의 사회지표. 

  18. 통계청(2011b), 2010 Census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가구.주택부문), 2011.7.7 보도자료(관련 사이트 http://kostat.go.kr). 

  19. 프랑스 주택 및 숙박시설국(http://www.drihl.ile-de-france.developpement-durable.gouv.fr) (검색일자: 2012.05.28기준). 

  20. 프랑스 지역환경개발 및 주거국(http://www.pays-de-la-loire.developpement- durable.gouv.fr/) (검색일자: 2012.05.28기준). 

  21. 프랑스 통계청(http://www.insee.fr) (검색일자: 2012.05.28기준). 

  22. 프랑스 환경 . 지속가능개발부(http://www.statistiques.developpement- durable.gouv.fr)(검색일자: 2012.05.28기준). 

  23. 프랑스 환경청 Eau France (http://www.eaufrance.fr)(검색일자: 2012.05.28기준). 

  24. 프랑스 Anah (Agence nationale de l'habitat) (http://www.anah.fr) (검색일자: 2012.05.28기준). 

  25. 프랑스 Anah(Agence nationale de l'habitat), 2006. Le parc prie dans l'enouete nationale logement. 

  26. 하수정, 이수욱(2011), 주택관련 지표의 국제 비교,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7. 호주 통계청(ABS: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abs.gov.au). 

  28. ABS (2009),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and Survey of Income and Housing: User Guide 2009-2010. 

  29. ABS (2009), Housing and Occupancy Cost. 

  30.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1), National Social Housing Survey, Australian Government. 

  31. Boulhol, H. (2011), "Making the French Housing Market Work Better",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 861, OECD. 

  32. CBPP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11), National: Federal Rental Assistance Facts. 

  33.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0), National Housing Supply Council, 2nd State of Supply Report, Australian Government. 

  34.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0b), Housing and neighbourhood conditions: English Housing Survey technical advice note. 

  35.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1a), English Housing Survey Housing Stock Summary Statistics 2009. 

  36.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1b), English Housing Survey Housing Stock Report 2009. 

  37.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1c), English Housing Survey Household Report 2009-2010. 

  38.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2), English Housing Survey: Headline Report 2010-11. 

  39. DCLG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0a), Survey overview and methodology: English Housing Survey technical advice note. 

  40. Eggers, Frederick J. (2007), Comparison of Housing Information from American Housing Survey and the American Community Survey. U.S. HUD. 

  41. MIKR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Kingdom Relations) (2010), Housing Statistics in the European Union, ed. Kees Dol and Marietta Haffner,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Hague: MIKR. 

  42. Scanlon, K. and C. Whitehead (2011), "French Social Housing in an International Context",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862. OECD publishing. 

  43. U.S. Census Bureau (2009), American Community Survey: Design and Methodology. 

  44. U.S. Census Bureau (2010a), Households and Families: 2010 Census Briefs. 

  45. U.S. Census Bureau (2010b), Housing Characteristics : 2010 Census Briefs. 

  46. U.S. Department of Commerce (2012), U.S. Census Bureau News, Residential vacancies ad homeownership in the first quarter 2012. 

  47.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and U.S. Census Bureau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for the United States: 2009 Current Housing Report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