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색도시 물순환 계획요소 및 수문순환 모의
The Urban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and Hydrologic Cycle Simulation for Green City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3 no.3, 2012년, pp.271 - 278  

이정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종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에 따라 서구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성장(green growth)이 이슈로 등장하고 있고 이 전략은 미래의 성장동력으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저탄소 사회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은 교토의정서를 체결하고 온실가스배출량을 2008년부터 2012년까지 1990년도 수준의 5.2%까지 줄이도록 선언하였다. 한편 급속한 도시개발과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도시의 물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도시 개념을 검토하고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도시 및 단지수준에 적합한 물순환 계획요소를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WMM5-LID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시범유역에 물순환 효과를 분석하였다. 물순환 분석은 개발전, 개발후, 녹색도시계획요소적용후(LID시설 적용후)에 대한 시범유역의 도시유출연속모의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has been a world-wide issue. Also, the green growth has been a widely adopted strategy for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after the Kyoto Protocol to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declared, the low carbon societ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수문 및 인공순환의 정량적인 분석을 미국 EPA(미환경보호국)에서 개발되어 도시 물순환 분석 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SWMM5 모형의 여러 가지 기능 중 최근 분산형 빗물관리시설을 모의할 수 있도록 물순환 계획요소 분석기능이 추가된 SWMM5-LID 모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도순환 계획요소와 연계하여 CO2 배출량 감축효과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부분은 결국 도시수문순환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서 이루어 질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수문순환의 정량적인 분석을 수문순환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도순환 계획요소와 연계하여 CO2배출량 감축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 배출량 정량화연구는 거의 희소하여 관련 조사 및 분석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 보고서에서 제시한 산출방법 및 산출량을 고찰하고 적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을 토대로 도시수문순환과 도시인공순환의 세부계획요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 한편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추진과 함께 건축물, 교통, 물순환 부문의 탄소배출 감축압력이 증대됨에 따라 각종 도시개발 사업에서 녹색도시 특화전략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불가피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제적 녹색도시 조성을 위해 물순환 부문 계획요소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중 물순환, 수자원, 자원순환 등 물과 관련된 계획요소를 추출하여 검토하였다.
  • 2mm으로 나타났다. 본 모델링의 분석결과는 추후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 모니터링 및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통하여 보다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본 논문에서는 녹색 도시 물순환 계획요소와 수문모형을 이용한 물순환 분석과의 연관성 도출하고 물순환 모형을 활용한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론 제시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녹색도시계획요소 중 주요 계획요소를 선정하여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적용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취지에 맞추어 물순환 분야 계획요소의 Baseline은 녹색도시계획요소 적용 전과 적용 후로 본 연구에서는 결정하였다.
  • 본 연구대상지구는 서울과 접해 있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올림픽대로 · 국도 43호선 · 지하철5호선에 의한 도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이며, 검단산과 한강 등 쾌적한 자연환경 요소를 지니고 있는 지역으로서 도시발전을 위한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고, 비닐하우스 · 공장 · 창고 등이 밀집되어 개발제한구역으로서 보전가치가 낮고 기존 기반시설 활용 등을 통한 저렴한 주택공급이 가능하여, 무주택서민과 저소득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 SWMM모형과 물순환에 관련된 국내의 연구로는 이정민 등(2006)은 침투저류지와 매커니즘이 유사한 침투트렌치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유출 양상을 검토한 바 있으며, 이정민(2007)은 투수성포장과 침투트렌치의 기능이 추가된 SWMM-GE(Storm Water Management Model-Groundwater Enhanced)를 개발한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전술한 LID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수문순환 및 도시인공순환 효과를 분석하였다. 물순환 계획요소 적용에 따른 도시수문순환 분석효과 중 물수지 부분에서는 지표유출량, 지하유출량, 침투량, 증발량 등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나 온실가스 감축관계 부분에서는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녹색도시 물순환 부문 계획요소를 검토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중 물순환, 수자원, 자원순환 등 물과 관련된 계획요소를 추출하여 검토하였다. 검토한 선행연구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물관련 계획요소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내용은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녹색도시 계획요소 중 주요 계획요소를 선정하여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적용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취지에 맞추어 물과 관련된 계획요소의 선정기준과 적용대상 공간유형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 하남미사지구내 물순환 계획의 배경을 살펴보면 도시내 친수공간의 기본적 기능의 여가, 휴게공간을 겸한 생태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신도시 개발시 친수(생태)환경시설의 조성이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망월천의 친환경적인 수변경관 조성이 필요한 실정으로 하천(망월천)정비사업과 실개울 및 호수공원 친수(생태)공간에 공급될 수자원의 안정적 공급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배경이 있다. 공급될 수자원의 안정적 공급방안은 기존의 산재된 저류지 4개소를 하천 내 저류지로 통합한 뒤, 그 통합된 저류지를 호수화 시켜 주변 공원계획과 연계하여 지역주민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검토한 선행연구 중,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물관련 계획요소는 무엇인가? 반영운(2008)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연구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결과 총 97개의 거시적인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탄소저감효과, 조성비용, 적용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탄소를 저감하거나 흡수하는 직접적인 탄소중립도시 27개의 세부 계획요소를 개발하였다. 이재준 등(2009)의 저탄소 녹색도시 연구사례에서는 ① 토지이용계획, ②녹색교통, ③신재생에너지, ④에너지저감, ⑤자원순환, ⑥공원녹지, ⑥생태공간 등 분야별로 계획요소를 제시하였다. 이중 물관련 계획요소는 중수활용, 우수활용, 생태연못조성, 생물서식처 조성, 저습지조성, 자연형하천, 실개천조성, 잔디도랑, 투수성포장, 생태면적률, 자연지반 보존 등이다. 이은엽 등(2009)은 저탄소 · 녹색성장 구현을 위한 녹색도시 조성기법연구에서 국내 ․ 외 사례분석과 연구자문회의와 연구진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정 등의 연구집담회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녹색도시 계획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녹색도시 실현에 필수적인 핵심계획 요소로 토지이용 및 공간구조, 그린에너지, 저탄소주택(그린홈), 물 · 자원순환, 녹색교통, 공원녹지, 생태공간 등 7개 부문 32개 요건을 주요 계획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중 물관련 계획요소는 우수 활용 및 수자원 이용, 우수재활용 시설설치, 중수재활용 시스템 도입, 투수성포장재 도입, 자연형 하천도입, 실개울조성, 생태면적율 증대, 수생비오톱 도입 등이다.
1972년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 보고서에서 지적하고 있는 사항은 무엇인가? 에너지 절감 및 탄소 감축에 있어서 도시의 중요성은 이미 1970년대부터 제기되었다. 1972년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 보고서는 도시가 산업화를 동반한 경제적 혜택과 생활의 편리성 등 인간 욕구 충족을 위해 성장위주의 발달을 거듭해 왔기에, 도시의 성장은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대한주택공사, 2009). 구미 선진국에서는 2000년 이전부터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및 도시공간의 개발을 시도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사례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면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선진국의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사례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구미 선진국에서는 2000년 이전부터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및 도시공간의 개발을 시도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사례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면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선진국의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사례로는 캐나다 빅토리아의 도크사이드 그린(Dockside Green, Victoria), 영국 서튼의 베드제드(BedZED, Sutton), 독일 프라이부르크의 보봉(Vauban, Freiburg)과 리젤펠트(Rieselfeld, Freiburg), 뮌헨의 림(Riem, München), 스웨덴 스톡홀름의 함마르비(Hammarby Sjostad, Stockholm)와 말뫼 서부항만구역 (Västra Hamnen, Malmö)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의 시급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UAE 아부다비의 마스다르(Masdar)나 중국 충밍섬의 동탄(Dongtan)과 같이 탄소중립(Carbon Neutral) 또는 탄소제로화(CarbonZero)를 목표로 내세우고 과감하고 이상적인 도시개발구상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두기(2009), "저영향개발", 대한토목학회지, 57(7): 100. 

  2. 대한주택공사(2009),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구상, 주택도시연구원 연구보고서. 

  3. 반영운(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318: 3-17. 

  4. 이정민, 이상호, 이길성(2006), "물 환경 건전화를 위한 도시하천의 물 순환 모의 (I) -안양천 유역-",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2): 349∼357. 

  5. 이정민(2007),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부경대학교. 

  6. 이은엽, 조영태, 최민아, 강명수, 박선희(2009), 저탄소 녹색성장 구현을 위한 녹색도시 조성기법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7. 이재준, 구자훈, 이상문(2009), 탄소저감을 위한 도시공간구조의 계획적 전환체계 수립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8. 일본수도공업단체연합회(2010), 수도권의 저탄소화를 목표로 한 물순환 시스템 실증모델사업. 

  9.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검단신도시 인벤토리 구축 연구. 

  10. 한국토지주택공사(2011a), LH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경제적 적용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보고서. 

  11. 한국토지주택공사(2011b), 하남미사보금자리 지구단위계획.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11c), 하남미사지구 보금자리 주택개발사업 경영투자심사위원회 심의자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