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Ka 대역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강우 감쇠 보상을 위해서는 위성 탑재체에서 강우 지역의 출력 전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Ka 대역 출력 전력 제어 기술은 위성 탑재체에서 하향 링크(19.8 ~ 22.2 GHz)의 출력 전력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빔 안테나와 다중 입출력 증폭기를 이용한 Ka 대역 위성 출력전력 제어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한반도 상에 8개의 빔을 형성하기 위해 배열 급전 소자와 반사판으로 구성된 다중 빔 안테나가 설계되었다. 빔 당 목표 EIRP는 59 dBW 이상이며, 강우 감쇠 보상을 위한 전력 제어 기능은 강우 지역에 비 강우 지역 대비 최대 6 dB의 EIRP 상승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다중 입출력 증폭기는 다중 빔 안테나와 함께 구성될 때 위성 출력 전력 제어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times}4$ 다중 입출력 증폭기가 기술 검증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Ka 대역 위성 송신 주파수 대역에서 24 dB 이상의 격리도 성능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Ka-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 new flexible payload technologies which can compensate rain attenuation have to be developed. The Ka-band satellite output power control technology enables to adjust downlink output power of satellite payload in Ka-band (19.8 ~ 22.2 GHz). In this pap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Ka 대역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강우 감쇠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위성 출력전력 제어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Ka 대역 위성 출력전력 제어 기술은 다중 빔 안테나와 다중 입출력 증폭기로 구성되며 19.
  • 이러한 시스템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력 분배가 가능한 고출력 증폭기로 구동되는 다중 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급전 다중 빔 안테나와 다중 입출력 증폭기로 구성된 다중 빔 위성 출력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본 논문에서는 다중입출력 증폭기를 구성하는 입/출력 하이브리드 매트릭스와 위상/진폭 제어 모듈의 설계와 이를 이용한 4x4 다중 입출력 증폭기의 단자 간 격리도 성능에 대하여 기술한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Ka 대역 위성 출력 전력 제어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위성 출력 전력 제어 기술을 적용하면 강우 감쇠 보상뿐만 아니라 전력 요구가 적은 채널(또는 서비스 지역)의 전력을 전력 요구가 많은 채널에 제공 가능하여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다중 빔 안테나는 전기적 성능을 만족하도록 반사판의 크기, 급전 소자 수, 급전 소자 배치, 그리고 급전 여기계수 등을 최적 설계하였다. 설계 목표는 안테나의 구성과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최대 EOC 이득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안테나 설계 시 급전 소자의 수는 광선 경로(ray-path)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광선 경로 방법은 설계 초기 단계에서 사용하기 적절하며 안테나가 수신 모드에 있을 때를 가정한다. 광선군이 포물면 축 방향과 평행하게 입사되면 광선군은 반사판을 거쳐 초점에 모이지만 광선군이 포물면 축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가지고 입사되면 광선군은 초점에서 벗어난 지역에 caustic면을 형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Ka 대역이 점차 활용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위성을 이용한 통신 및 방송 시스템에서 지금까지는 주로 S 대역이나 Ku 대역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가용 주파수 대역의 포화로 인해 최근에는 Ka 대역이 점차 활용되는 추세이다. 2010년 6월에 발사된 천리안 위성은 국내 기술로 제작된 Ka 대역 통신 방송 탑재체를 통해 Ka 대역의 위성 통신 및 방송 기술 검증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Ka 대역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2010년 6월에 발사된 천리안 위성은 국내 기술로 제작된 Ka 대역 통신 방송 탑재체를 통해 Ka 대역의 위성 통신 및 방송 기술 검증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S 대역이나 Ku 대역에 비해 Ka 대역 시스템은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어 채널 적응형 고화질 위성방송이나 초고선명TV(UHDTV)와 같은 광대역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1,2]. 그러나 Ka 대역 주파수는 우천 시 신호의 크기가 감쇠되는 강우 감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Ka 대역 시스템의 단점은 무엇인가? S 대역이나 Ku 대역에 비해 Ka 대역 시스템은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어 채널 적응형 고화질 위성방송이나 초고선명TV(UHDTV)와 같은 광대역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1,2]. 그러나 Ka 대역 주파수는 우천 시 신호의 크기가 감쇠되는 강우 감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하향 링크 신호의 경우 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전력증폭기의 최대 출력 전력에 의해 송신 EIRP(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가 제한되므로 유연성있는 출력제어 시스템이 없을 경우 강우 감쇠에 대처하기 어렵다. 강우 감쇠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위성 탑재체에서 강우 지역의 출력 전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 Lee, J. Jo, M. You, J. Choi, "Development Technology and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Payload of COMS," The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vol. 22, no. 3, pp. 3-16, 2011. 

  2. D. Chang, D. Oh,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Service Using COMS Communication Payload" The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vol. 22, no. 3, pp. 17-30, 2011. 

  3. Shunichiro Egami and Makoto Kawai, "An Adaptive Multiple Beam System Concept",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 SAC-5, no. 4, May. 1987. 

  4. P.Gabellini, N.Gatti, "Advanced Optimization Techniques for Satellite MultiBeam and Reconfigurable Antenna and Payload Systems", Antennas and Propagation, 2007. EuCAP 2007. The Second European Conference, pp. 1-6, Nov. 2007. 

  5. P. Angeletti, M. Lisi, "A Survey of Multiport Power Amplifiers Applications for Flexible Satellite Antennas and Payloads", Proceedings of the 14th Ka and Broadb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Matera, Italy, 24-26 Sep. 2008. 

  6. A. Mallet, A. Anakabe, J. Sombrin, R. Rodriguez, F. Coromina, "Multi-Port Amplifier Operation for Ka-band Space Telecommunication Applications", IEEE MTT-S International Symposium, pp 1518-1521. June 2006. 

  7. I. Hosoda, T. Kuroda, Y. Ogawa, M. Shimada, "Ka Band High Power Multi-Port Amplifier (MPA) Configured with TWTA for Winds Satellite", IEEE International Vacuum Electronics Conference, IVEC '07, 15-17 May 2007. 

  8. B. Piovano, L. Accatino, A. Angelucci, T. Jones, P. Capece, and M. Votta, "Design and breadboarding of wideband NxN Butler matrices for multiport amplifiers," SBMO Int. Microw. Conf., Aug. 1993, vol. 1, pp. 175-180. 

  9. Kyung-Wan Yu, Man-Seok Eom, Jae-Hyun Lee, and Jae-Moung Kim, "20GHz 2Watts MMIC SSPA," SBMO Int. Microw. Conf., Aug. 1993, vol. 1, pp. 175-1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