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관미주신경실신의 새로운 기전 -삼차신경-심장반사-
New Mechanism of Vasovagal Syncope -Trigeminocardiac Reflex- 원문보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v.12 no.3, 2012년, pp.151 - 155  

윤지영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마취통증학교실) ,  김철홍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마취통증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asovagal reaction i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hypotension and bradycardia associated with the 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llor, sweating and weakness'. The most profound degree of vasovagal reaction results in fainting or syncope. Incidence of vasovagal reactions in the local an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소마취나 발치 또는 정맥로 확보와 같은 모든 종류의 치과치료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혈관미주신경실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치과진료와 관련된 실신의 기전, 적절한 대처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실신의 새로운 기전으로 제시된 삼차신경-심장반사는 상악발치로 인한 자극이 삼차신경절을 통해 삼차신경핵에 전달된 후 뇌간의 망양체(reticular formation)에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서맥과 저혈압을 초래하여 실신에 이르게 되는 가설이다.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관찰결과는 하악보다는 상악 발치에서 흔히 발생하였고, 발치 전/후 보다 발치하는 중에 많이 발생하였으며, 마취가 부족할 경우에 많이 발생하였고 처음에는 혈압이 상승하였으나 곧 혈압이 떨어지면서 실신에 이르게 되는 경과를 보였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에서 실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실신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짧게 자르다’, ‘차단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현대에서 실신은 (1) 일시적인 의식소실, (2) 빠른 자연 회복, (3) 대뇌 영양분 공급의 불충분으로 야기되는 기절을 의미한다[4]. 의학적으로 실신은 ‘체위를 유지하지 못하는 갑작스럽고 짧은 기간의 의식소실이며, 저절로 회복되는 특성을 가진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5].
실신의 공통된 병태생리는 무엇인가? 의학적으로 실신은 ‘체위를 유지하지 못하는 갑작스럽고 짧은 기간의 의식소실이며, 저절로 회복되는 특성을 가진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5]. 실신의 공통된 병태생리는 대뇌혈류의 일시적인 차단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심장학회의 지침에[6] 의하면 일시적인 의식소실의 범위를 그림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Fig.
혈관미주신경실신의 전구증상은 무엇인가? 불안, 통증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자세 변화, 혈당 강하, 전신 상태가 나쁠 때 등 기질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흔히 발한, 창백, 오심 등과 같은 전구증상이 나타난다. 반응성 실신의 기전은 Bezold와 Jarisch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Bezold-Jarisch reflex’라고불렸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Dental Anesthesiology. 2nd ed. Seoul, Koonja. 2010, pp 679-87. 

  2. Fast TB, Martin MD, Ellis TM: Emergency preparedness: a survey of dental paractitioners. J Am Dent Assoc 1986; 112: 499-501. 

  3.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Dental Anesthesiology. 2nd ed. Seoul, Koonja. 2010, pp 689-693. 

  4. Benditt GD, Nguyen TJ: Syncope therapeutic approaches. J Am Coll Cardiol 2009; 53: 1741-51. 

  5. Zurak N, Bilic E: Syncope: facts and fiction. Med Hypotheses 2004; 63: 394-401. 

  6. Moya A, Sutton R, Ammirati F, Blanc JJ, Brignole M, Dahm JB,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yncope (version 2009):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yncop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Eur Heart J 2009; 30: 2631-2671. 

  7. Kapoor WN: Syncope. N Engl J Med 2000; 343(25): 1856-62. 

  8. Edmondson DH, Gordon PH, Lloyd JM, Meeson EJ, Whitehead FIH: Vasovagal episodes in the dental surgery. J Dent 1978; 6(3): 189-95. 

  9. Ganzeboom KS, Colman N, Reitsma JB, Shen WK, Wieling W: Prevalence and triggers of syncope in medical students. Am J Cardiol 2003; 91: 1006-8, A8. 

  10. Brignole M, Alboni P, Benditt D, Bergfeldt L, Blanc JJ, Bloch Thomsen PE, et al: Guidelines on managem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ncope. Eur Heart J 2001; 22: 1256-1306. 

  11. Soteriades ES, Evans JC, Larson MG, Chen MH, Chen L, Benjamin EJ,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syncope. N Engl J Med 2002; 347: 878-85. 

  12. Alboni P, Brignole M, Menozzi C, Raviele A, Del Rosso A, Dinelli M, et al: Diagnostic value of history in patients with syncope with or without heart disease. J Am Coll Cardiol 2001; 37: 1921-28. 

  13. Brignole M, Alboni P, Benditt DG, Bergfeldt L, Blanc JJ, Bloch Thomsen PE, et al: Guidelines on managem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ncope-update 2004. Europace 2004; 6: 467-537. 

  14. Mark AL: The Bezold-Jarisch reflex revisited: clinical implications of inhibitory reflexes originating in the heart. J Am Coll Cardiol 1983; 1(1): 90-102. 

  15. Fenton AM, Hammill SC, Rea RF, Low PA, Shen WK: Vasovagal syncope. Ann Intern Med 2000; 133(9): 714-25. 

  16. Arakeri G, Arali V: A new hypothesis of cause of syncope: trigeminocardiac reflex during extraction of teeth. Med Hypotheses 2010; 74(2): 248-51. 

  17. Campbell R, Rodrigo D, Cheung L: Asystole and bradycardia during maxillofacial surgery. Anesth Prog 1994; 41(1): 13-6. 

  18. Morillo CA: Evidence-based common sense: the role of clinical history for the diagnosis of vasovagal syncope. Eur Heart J 2006; 27: 253-4. 

  19. Sheldon R, Rose S, Connolly S, Ritchie D, Koshman ML, Frenneaux M. Diagnostic criteria for vasovagal syncope based on a quantitative history. Eur Heart J 2006; 27: 344-350. 

  20. Grubb BP: Clinical practice. Neurocardiogenic syncope. N Engl J Med 2005; 352: 1004-10. 

  21. Simon RP: Syncope, In Goldman L: Cecil textbook of medicine. 22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4, pp 202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