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진정법과 전신마취를 이용한 장애환자의 보철치료
Prosthodontic Treat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Dental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원문보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v.12 no.3, 2012년, pp.183 - 191  

김윤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 소아치과) ,  이진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 치과보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poor oral hygiene because of less attention and ability to perform a dental care. So the increased prevalence and severity of dental disease were common oral state. Although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need a adequate dental treatment, it is often very dif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에는 장애 환자에서 치과진정법과 전신마취를 동반한 보철치료를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보철수복 후에 환자의 정기검진을 시행하였으나, 협조가 어려워 구강 내 보철물의 교합관계나 치태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가 잇솔질을 습관화 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것과 장애 환자에서 치태관리의 중요성과 양치질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은 구강 건강에 대하여 어떤 경우가 많은가? 장애의 종류와 특성, 정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애인은 장애에 따른 의과적인 치료와 재활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과치료는 소홀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구강 건강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어도 장애나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구강위생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치과질환의 발생빈도도 높고, 질환의 진행도 심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치과치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많이 나타내므로 행동조절에도 문제가 많으며 환자의 이동이 불편하여 치과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1,2].
행동조절은 무엇인가? 지적 장애가 없는 신체 장애인이더라도 뇌성 마비와 같은 경우 정신적 긴장이 신체의 긴장과 불수의 운동을 유발하며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치과치료에 대해 이러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환자에게 필요한 치과치료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심리학적 접근방법, 물리적 혹은 약물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치과치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행동조절이라 한다(Table 1) [5].
장애인 치과치료의 대상은 누구인가? 장애인 치과치료는 그 대상이 비장애인과 별 차이가 없는 경증의 장애에서부터 질환의 진단이 쉽지 않고, 전신관리의 필요에 따른 의학적인 전문성이 요구되거나, 행동조절 및 치료의 어려움으로 특수기술과 장비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까지 매우 다양하다. 시각장애, 청각장애와 같은 감각 기관의 장애나 신장장애, 심장장애와 같은 내부 신체기관의 장애의 경우 치과 의료인이 각 장애별 치료 시 주의사항을 잘 인지하면 다른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별 무리 없이 치과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대한소아치과학회: 소아.청소년치과학 제4판, 서울, 신흥 인터내셔날, 2007. 

  2. 한국구강보건의료연구원: 장애인의 구강관리실태와 치과의사의 장애인 치과진료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2003; 1-136. 

  3. 이긍호: 장애의 개념 및 장애인의 치과적 문제점.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 92-6. 

  4. 김영재: 장애유형별 치과치료 시 고려사항.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 131-5. 

  5. 이제호: 치과장애인의 행동조절.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1: 97-100. 

  6. 정영진: 장애인의 치과치료 시 전신마취 이용에 관한 통계적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992; 19: 303-12. 

  7. 김설악, 김영남, 김영진 등: 장애인 치과진료 가이드북 ,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68. 

  8. 대한치의학회: 치과진정법 가이드라인 매뉴얼, 서울, 군자출 판사, 2010. pp. 7-27. 

  9. Park HD, Lee CS, Lee SH: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ranasal and oral midazolam.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4; 31: 431-8. 

  10. Shin ZH, Jung CH, Kim HC: Follow-up study of the tic patients. Korean J Child & Adol Psychiatr 1996; 7: 68-76. 

  11. 이제호: 치과 장애인의 행동조절.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 97-100. 

  12. 정준민, 서광석, 이영은 등: 뇌성마비 환자의 전신마취하 치과 치료.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2008; 8: 22-8. 

  13. Morgan GE, Mikhail MS, Murray MJ: Clinical anesthesiology. 4th ed. McGraw Hill Co. 2002. 

  14. 이동현, 김재원, 이상준 등: 정맥하 진정요법에서 Midazolam 단독 사용과 Midazolam, Fentanyl 또는 Propofol 병용 요법의 비교.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2008; 8: 113-7. 

  15. Harushi Y, Terumi A, Satoru I: Management of exaggerated gag reflex using intravenous sedation in prosthodontic treatment. Tohocu J Exp Med 2007; 212: 373-8. 

  16. Loo CY, Graham RM, Hughes CV: Behaviour guidance in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t J Paediatr Dent 2009; 19: 390-8. 

  17. Enger DJ, Mourino AP: A survey of 200 pediatric dental general ansethsia caese. ASDC J Dent Child 1985; 52: 36-41. 

  18. Greene NM, Falcetti JP: A program of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care of mentally retaeded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4; 37: 329-36. 

  19. Smith FK, Deputy BS, Berry FA Jr: Outpatient anesthesia for children undergoing extensive dental treatment. ASDC J Dent Child 1978; 45: 38-41. 

  20. Holst G: The treatment of children under general anesthesia. ASDC J Dent Child 1965; 32: 125-7. 

  21. Caputo AC: Providing deep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for pati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dental office-based setting. Spec Care Dentist 2009; 29: 26-30. 

  22. 서광석, 장주혜, 신터전, 김현정: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다운증후군환자에게 치과치료를 위한 전신마취 시 산소포화도 하강-증례보고-.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9; 5: 18-22. 

  23. 이긍호. 장애인의 구강관리.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5; 1: 1-8. 

  24. 서광석, 신터전, 김현정, 한희정, 한진희 등: 치과적 장애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해 시행한 깊은 진정: 전신마취와 비교한 통계적 고찰.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9; 5: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